• Title/Summary/Keyword: 상호네트워킹

Search Result 10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을 위한 컴퓨팅 미들웨어 기술의 설계

  • 김정기;신창민;유석대;박승민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0 no.5
    • /
    • pp.645-656
    • /
    • 2003
  • 최근에 정보 산업과 이동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를 넘어 컴퓨터의 개념이 매우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동 정보 단말 형태의 PDA, HPC(hand-held PC), 휴대폰 등이 개발되었고, 셋탑박스(set-top box), 지능형 디지털 TV, 인터넷 냉장고 등의 정보가전은 임베디드 운영체제(embedded OS)를 내장하여 컴퓨터로 발전하고 있으며, 제어 및 계측 기기들도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내장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렇게 새롭게 확장된 컴퓨터 시스템들은 인간 생활의 편리성과 다양성을 위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하여 언제 어디서나 통신 및 컴퓨팅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킹(Ubiquitous Networking)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킹에서 필요한 컴퓨팅 미들웨어(Middleware) 기술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미들웨어 기술을 설계한다. 이러한 미들웨어 기술은 편재(遍在)되어 있는 컴퓨팅 장치를 상호 이용하기 위해 컴퓨터의 환경을 탐지하여 저장하고 재이용하는 상황 인식 기술, 편재된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면서 정보를 전달하는 Ad-hoc 네트워킹과 동적 라우팅 기술, 그리고 정보 전달을 위해 제어 코드와 데이터를 패킷 (packet) 형태로 전달하는 협력 메시지(Cooperative Message) 기술 등이 포함된다.

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 표준화 동향 및 발전 전망

  • 전호인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3
    • /
    • pp.13-40
    • /
    • 2004
  • 홈 네트워킹은 다양한 유ㆍ무선 네트워킹 기술을 적용하여 개개인의 생활을 더 윤택하게 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커다란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미래의 신 성장 동력 산업이다. 이를 위해 PLC, IEEE 1394, HomePNA와 같은 유선 홈 네트워킹 기술은 물론 WLAN, WPAN, UWB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킹 기술이 여러 가지의 응용 분야를 무기로 자신의 영역을 차지하려 하고 있다. 따라서 댁내의 기기는 이와 같은 네트워킹 기술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야 하지만, 그 위에 UPnP나 HAVi, Jini, HNCP 등과 같은 미들웨어가 탑재되어야 상호 호환성이 지원된다. 그리고 하나의 표준화된 H/W나 S/W 플랫폼 위에 혼 게이트웨이가 동작하면 집 외부에서 원격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게 되며 응용 분야가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그 위에 유비퀴터스 네트워킹 개념을 도입하여 홈 네트워크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커다란 시장을 이끌어 갈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킹 기술의 표준화 현황에 대해 정리하고,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서의 홈 네트워킹을 위해 반드시 적용해야 할 유비퀴터스 네트워킹 개념과 이로부터 효과를 얻기 위해 집안에 홈 네트워크를 어떻게 수용하게 할 것인지에 대해 논하였다. 끝으로 유비퀴터스 네트리킹을 통한 막대한 시장을 먼저 확보하기 위한 무선 홈 네트워킹 기술의 아키텍처를 정하면서 이를 구현하기 위해 먼저 수행해야 할 Mesh Networking 기술 및 Multi-Hop 네트워킹 기술과 같은 연구분야에 대해 논하였다.(중략)

Mobile Interaction in a Usable-Unified-Ubiquitous (U3) Web Service for Real-time Social Networking Service (실시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사용 가능한-통합적-유비쿼터스 (U3) 웹 서비스에서의 모바일 상호작용)

  • Kim, Yung-Bok;Kim, Chul-Su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5B no.3
    • /
    • pp.219-228
    • /
    • 2008
  • For real-time social networking service, mobile interaction in a usable-unified-ubiquitous (U3) web service was studied. Both as a convenient mobile HCI for real-time social networks and as indexing keys to metadata information in ubiquitous web service, the multi-lingual single-character domain names (e.g. 김.net, 이.net, 가.net, ㄱ.net, ㄴ.net, ㅎ.net, ㅏ.net, ㅔ.net, ㄱ.com, ㅎ.com) are convenient mobile interfaces when searching for social information and registering information. We introduce the sketched design goals and experience of mobile interaction in Korea, Japan and China, with the implementation of real-time social networking service as an example of U3 Web service. We also introduce the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application to the metadata directory service in IP-USN (IP-based Ubiquitous Sensor Network) for a unified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service of social networking and sensor networking.

홈네트워킹 시험 기술

  • 류덕열;김영덕;성종진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0 no.6
    • /
    • pp.824-833
    • /
    • 2003
  • 국내의 초고속인터넷 기반 성숙과 디지털 정보가전 기술의 발전은 가정에서의 홈네트워킹 도입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홈네트워킹 분야에서는 시장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고 기술발전이 유망한 다수의 유·무선 네트워킹 기술들이 혼재되어 복합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존의 네트워킹 장비는 개별 인터페이스와 서비스 위주로 시험되었으나 홈네트워킹 분야의 장비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기술간의 상호 운용성과 VOD, VoIP 등의 다매체, 다기능 서비스에 대한 시험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홈네트워킹 시장에서 주도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네트워킹 기술과 서비스 위주로 홈네트워킹 분야의 기술 요구사항과 시험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아울러, TTA에서 제공중인 홈네트워킹 분야의 인증시험 기술을 소개하였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보안

  • Im, Chae-H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2 no.8
    • /
    • pp.35-50
    • /
    • 2005
  • 무선 네트워킹과 소형화 기술의 발전은 고정된 기반시설이 없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초소형의 센서 노드들을 무작위 배치하여 애드혹 네트워킹을 통해 순간적으로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고 긴밀한 협동 작업을 통해 복잡한 환경감지를 가능하게 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개발을 이루어냈다. 각 센서 노드들은 매우 제한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의 협동작업은 마치 미세한 신경세포 조직이 상호작용하여 동물의 신체활동을 가능하게 하듯이 기존의 네트워킹이나 컴퓨팅에서는 불가능했던 많은 응용들을 가능하게 하여 우리의 생활환경을 스마트한, 지능적인 환경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의 기존 네트워크와의 차별화되는 특징 및 응용에 따른 다양한 보안이슈와 최신 보안기술 연구동향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Networking Business Model In Electronic Market (전자시장에서의 네트워킹 비즈니스 모델)

  • 이경전;전형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44-247
    • /
    • 2000
  • 인터넷이 발전하고 성장함에 따라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는 초기의 단선적인 관계와 집중화된 구조를 탈피하여, 상호 연관적인 관계 및 분산되고 개방적인 구조를 바탕으로 수행되고 있다. 즉, 인터넷의 본질적인 특성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시장구조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시장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이 출현하고 있다.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를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킹 비즈니스 모델은 초기의 비즈니스 모델과는 다른 형태의 정보흐름(Information Process) 및 구조(Architecture)를 가지며, 이로 인해 전자시장(Electronic Market)에서 참여자의 역할 및 사업 전략, 수익모델 등이 변화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네트워킹 비즈니스 모델이 가지는 구조 및 특성을 규명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킹 비즈니스 모델을 분류하여, 네트워킹 비즈니스 모델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A Case Study of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Multimedia System (이종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상호작용)

  • Kim, Jeong-Hyun;Kim, Chun-Seong;Kang, S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59-162
    • /
    • 2005
  • 통신 인프라의 광대역화(고속화)와 더불어 유무선 네트워크, 지상파, 위성 등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하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급속한 인터넷 보급과 병행하여,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멀티미디어 시스템, 네트워킹 인프라를 요구하고 있다. 네트워크와 멀티미디어 시스템 유형에 관계 없이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자는 기술적 요구는 국내외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뚜렷한 형상이 완성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종의 멀티미디어 그리고 다양한 이종의 프로토콜이 포함되는 응용 서비스가 상호 투명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복잡한 기술적 측면이 있으며, 멀티미디어의 네트워킹은 가장 핵심적인 연구항목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종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상호작용에 대해 논의한다.

  • PDF

트랜드리포트 / 주거 개념의 변화 홈네트워킹이 제2의 디지털 혁명을 주도한다.

  • Jeong, Jin-Yeong
    • Digital Contents
    • /
    • no.1 s.92
    • /
    • pp.34-40
    • /
    • 2001
  • 인터넷 기반의 산업들이 발전하고,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점점늘어나고, 네트워크상에서 전송되는 정보가 일반문자 데이터에서 영상이나 음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까지 확장되면서 점점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게 되고, 네트워크의 대역폭에 대한 부족함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점점 더 많은 대역폭을,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으며, 그 결과의 하나로 국내에서는 전 국가적인 사업으로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구축하기에 이르렀다. 전문가들은 네트워크와는 별도로 정보통신 및 정보 가전기기 분야에서,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상호호환성을 가지면서, 쉽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집안에서의 네크워크, 소위 홈 네트워킹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가까운 시일내에 가정내의 모든 기기 들과, 집 외부의 네트워크간에 연결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 PDF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홈 게이트웨이용 칩셋 및 스위치 구조 설계)

  • 최광순;정광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619-621
    • /
    • 2002
  • 최근에 인터넷의 보급이 확산되어지면서, 사용자들의 VOD, 홈 네트워킹과 같은 고품질의 서비스 요구도 증가하게 있는 추세이다. 특히 홈 네트워킹 시스템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댁내의 가전제품과의 상호연결 및 제어까지 할 수 서비스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즉, 이기종 프로토콜을 수용하면서도 이들 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구조의 공통 프로토콜과 새로운 시스템 구조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통프로토콜과 새로운 칩의 구조 및 칩 내부의 패킷 스위칭을 위한 새로운 스위치 구조를 제안한다.

  • PDF

Proxy Server based IoT Interoperability (Proxy Server 기반 사물인터넷 상호운용성)

  • Youn, Jo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997-998
    • /
    • 2016
  • 최근 사물인터넷 서비스 활성화로 인해 다양한 사물인터넷 기술이 개발 중이다. 특히, 사물인터넷, 플랫폼, 시메틱, 네트워킹 기술 등은 여러 표준기구에서 독자적 표준기술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이는 글로벌 서비스 인프라 역활을 수행해하는 사물인터넷 기능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요인이다. 최근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표준기구에서는 각 기술간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이며, 관련 기술을 개발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상호운용성 기술 중 네트워크 측면에서 상호운용성 기술에 대한 문제를 정의하고 필요 기술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