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하지의 둘레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하지 석고붕대제거후 정상측과 석고붕대 적용측의 상하지의 둘레, 피부두겹두께 및 하지근력의 비교 (Comparison of the circumference, skinfold thickness and leg strength of normal limb with those of casted limb following removal of leg cast)

  • 최명애;박미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6-6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ircumference and skinfold thickness of upper and lower limb and the leg strength of the casted limb with those of the normal limb after removal of a leg cast.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orthopedic patients who had had long and short leg casts or splints due to tibial, fibulal, metatarsal, calcaneus fracture or ankle sprain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ho had the cast on for less than 40 days and those for over 41 days. Circumference and skinfold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limb on the side on which the cast was ap-plie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alateral side after removal of the cast. Circumference and skinfold thickness of the upper and lower limb, and leg strength for those in a cast for under 40 day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ver 41 days for both the side to which cast was applied and the contralateral side. Measurements were made after removal of the cast. Skinfold thickness was measured by fat caliper, circumference was measured by tape and lower extremity strength was determined with flat foot pressing on an electronic digital health meter in the sitting posi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leg on the side on which the cast was applied, when measured after the cast was removed,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the normal side, 93.88%, 93.11% each. 2. Skinfold thickness of the quadriceps and gastrocnemius on the side on which the cast was applied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ose of the normal side when measured after removal of the cast, 85.98%, 82.85% respectively. 3. Leg strength on the side where the cast was applied was significantly 1ss than that on the normal side, 60.20%. 4.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ircumference of upper and lower limbs, skinfold thickness or leg strength on the side where the cast was applied between the group which had the cast applied for under 40 days and the group that had it applied for over 41 days. 5.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rm and lower leg on the normal side for the group that had the cast applied for over 41 day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group that had the cast application for under 40 days. T 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ircumference of the forearm and upper leg, skinfold thickness and leg strength in the normal side. From thes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muscle atrophy was apparent in the casted limb compared to the normal limb,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rm and lower leg, and leg strength on the normal side increased after removal of the cast in the group which had the cast on for more than 41 days.

  • PDF

DICOM 영상을 이용한 외이도 음향해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oustic Analysis Method of the External Ear Canal Using DICOM Images)

  • 김형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73-79
    • /
    • 2019
  • 머리 측두부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 영상을 이용한 외이도 길이, 상하 굴곡각도, 내 외경 비율에 따른 음향민감도를 외이도 모델링으로 시뮬레이션하고 측정하였다. 실험은 인간 가청주파수 기준으로 200Hz씩 증가하면서 1 파스칼의 압력으로 일정하게 전달된 주파수를 고막 음향크기로 나타내어 그 측정값들을 선형과 이차곡선 회귀분석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외이도 길이는 길수록, 외 내경 둘레의 비율은 높을수록 낮은 주파수에서 빠른 음향적 반응을 나타내었다. 회귀분석을 이용한 메타모델의 음향민감도 상관관계는 외이도 길이가 77%, 외 내경 비율 5%의 영향으로 나타났지만 상하 굴곡각도는 특별한 관계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로써 인간의 청각음향 민감도는 외이도 길이가 길수록, 외 내경 둘레의 비율 차이가 높을수록 낮은 주파수에서 빠르게 반응하는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3차원 의료영상을 이용한 인체 외이도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External Auditory Canal Using 3-Dimensional Medical Imaging)

  • 김형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467-473
    • /
    • 2017
  •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과 3차원 의료 영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이도의 해부학적 특징들을 비교하였다. 실험은 연령과 성별이 다른 63귀의 영상을 이용하여 외이도의 횡축 길이, 내부 직경 둘레, 상하부 굴곡 각도를 측정한 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외이도 형태는 연령과 성별 뿐 만 아니라 동일인의 좌.우 에서도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 비교에서 남자 35귀, 여자 28귀에 대한 평균 길이는 남자가 4.75mm 길게 나타났다. 외이도 직경 둘레는 하부 굴곡 각도를 중심으로 내측이 외측 보다 평균 37.2% 감소된 형태로 나타났다. 상하부 굴곡 각도는 상부가 평균적으로 $25.7^{\circ}$ 높았으나 4귀에서 하부 각도가 높고, 연령이 낮은(4~14세) 8귀에서 상하부 굴곡 각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성장하면서 외이도 굴곡 모양이 변화됨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기존 귀본 채취를 통한 간접 측정과 물리적 방법에 의한 직접 측정과 비교하여 안전성과 정밀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이는 3차원 의료 영상 표현 기술이 실제에 가깝게 표현할 수 있는 기술 향상 때문이며 더 발전하여 외이도 형태의 표준화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는 측정 방법이라 판단된다.

유방보존술 후 방사선치료에서 수술 흉터와 삽입된 클립을 이용한 전자설 추가 방사선 조사야 평가 (Evaluation of Electron Boost Fields based on Surgical Clips and Operative Scars in Definitive Breast Irradiation)

  • 이레나;정은아;이지혜;서현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36-242
    • /
    • 200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기 유방암환자에서 보존적 수술 후 전자선을 이용한 추가방사선 조사 시 조사야의 범위 결정에 수술상흔 및 외과적 클립이 미치는 역할을 분석하였으며 이상적인 조사야 범위 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기 유방암 환자로 병소를 제거한 후 외과적 클립을 $4{\sim}7$개 삽입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전자선의 치료 에너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피부에서부터 흉부벽까지의 거리(SCD)와 병변 조직의 가장 뒤쪽에 위치해 있는 클립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수술시 삽입된 클립들을 simulation 필름 상에서 연결하여 방사선학적 tumor bed로 정의하였다. 방사선 조사야의 범위는 3가지 방법에 의해 simulation 필름에 그렸다. 임상방사선 조사야(CF)는 수술 상흔 둘레로 3 cm의 여유를 주었고, 외과적방사선 조사야(SF)는 클립주위로 2 cm의 여유를 주었으며, 마지막으로 이상적 방사선조사야(IF)는 수술 상흔과 클립을 모두 포함하여 2 cm의 여유를 주었다. 그려진 조사야들의 면적을 측정하기 위하여 치료계획 컴퓨터에 입력되었고 측정된 면적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삽입된 클립들을 CT상에서 그려 넣었고 클립들의 3차원적인 선량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선량체적표를 얻었다. 결과: SCD와 가장 깊이 삽입된 clip까지의 거리의 평균차이는 $0.7{\pm}0.56cm$이다. 12명의 환자의 경우 깊이의 차이가 있다. 수술 상흔과 클립들의 평균 위치의 변화는 상방으로 1.7 cm, 하방으로 1.2 cm, 내측으로 1.2 cm, 그리고 외측으로 0.9 cm이다. CF의 면적은 20명의 환자 중 6명의 경우 SF보다 크고 IF보다 크다. SF 와 IF의 면적 차이는 15의 환자에서 5%보다 작다. CF 조사야를 이용할 경우 15명의 환자들에 대해 1개 또는 3개의 클립들을 조사야 내에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클립들의 선량분포를 볼 때 17명의 환자들이 처방선량의 80% 미만을 받는 즉 선량적으로 부적절한 선량을 받는 클립들이 있었다. 결론: 수술 상흔을 중심으로 방사선 조사야 범위를 결정 할 경우 병변의 상하 부위를 적절히 포함하지 못하므로 병변 조직의 충분한 선량을 전달하지 못하였다. 외과적 클립만을 이용할 경우는 수술 상흔을 모두 포함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즉 수술 상흔과 외과적 클립을 모두 포함하는 본 기관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전자선 추가 조사야를 그린다면 정상조직의 부작용 및 지리상으로 병변조직의 빠트림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