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태계측

검색결과 948건 처리시간 0.022초

소형풍동을 이용한 단동 비닐온실의 열손실 분석 (Analysis on Heat Loss of Single-span Greenhouse Using Small-scaled Wind Tunnel)

  • 김영화;김형권;이태석;오성식;유영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3-79
    • /
    • 2020
  • 본 연구는 일정한 풍환경하에 온실 피복재 관류전열손실을 분석하기 위하여 온실 열손실 분석용 소형 풍동을 제작하고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모형온실을 적용하였을 때의 관류전열손실을 분석하였다. 소형 풍동은 시험부 측 공기흐름이 정상상태를 유지하고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풍동의 각 요소를 반영하여 구성하였으며 송풍부, 확산부, 정류부, 축소부, 시험부로 구성하였다. 소형 풍동의 형태는 개방형, 토출식으로 결정하였고, 시험부 규격은 제작하고자 하는 모형온실의 규격과 상사비율, 시험부의 단면 폐쇄율을 감안하여 결정하였다. 상사비율을 풍동실험에 적용할 모형은 농업시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단동 비닐온실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형풍동 내 풍속을 조절함에 따라 나타나는 모형온실 피복재의 관류전열계수는 피복재 면을 크게 지붕면과 측벽면, 앞뒷면으로 나누고 각 면별 계측 데이터를 평균 내어 산출하였다. 지붕면은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전열계수도 증가하나 증가폭이 감소하는 구간은 배치각도에 따라 1-2ms-1과 2-3ms-1으로 구분되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측벽면의 전열계수가 증가하는 폭이 큰 구간은 0-1ms-1 구간인 것으로 판단된다.

터널 굴착으로 인한 터널인접 절리암반 투수계수 감소를 고려한 터널 내 지하수 유입량 산정방법 (Groundwater inflow rate estimation considering excavation-induced permeability reduction in the vicinity of a tunnel)

  • 문준식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33-34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절리 암반 내 터널굴착 시 지하수 유출량 예측량이 실제 계측치와 큰 차이가 나는 이유 중 하나인 터널주변 절리암반의 투수계수의 감소 현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재 터널 설계 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하수 유출량 산정식은 터널주변 암반이 등방, 균질하고 일정한 투수계수를 유지한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터널주변 절리암반의 투수계수는 터널주변 유효응력 상태에 따라 변화하며, 절리 내 지하수 흐름에 따라 다시 터널주변 유효응력 분포가 영향을 받는 수리-역학적 상호거동을 보인다. 터널굴착 직후 터널 접선방향 유효응력이 응력집중과 간극수압 감소로 인해 급증하고 그에 따라 절리의 닫힘현상이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터널인접 절리암반 링 구간에서 투수계수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터널인접 링 구간 내에서 상당히 큰 간극수압 감소가 발생하게 되어 터널주변 간극수압 분포는 등방 균질의 절리암반으로 가정한 산정식과 큰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절리암반의 수리-역학적 상호거동의 개념을 도입하여 터널주변 간극수압 분포와 터널 내 지하수 유입량 산정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수치해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태풍 무이파 내습시 서남해안 해양관측부이 기상파랑자료 비교 연구 (Comparison of Weather and Wave Data from Ocean Observation Buoys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during Typhoon Muifa)

  • 윤한삼;권준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0-176
    • /
    • 2012
  • 본 논문은 서남해안 4개의 해양관측부이에서 계측된 해상 기상 및 파랑 자료를 수집하여 태풍 무이파 내습전후의 해상상태를 분석하였다. 태풍이 목포 서쪽 약 230 km 부근 해상에 위치할 때(2010년 8월 7일 21시) 기압 저하에 의한 해수면 상승량은 칠발도 25.64 cm, 거문도 16.43 cm, 거제도 9.60 cm로 산정되었다. 또한 최대파고 발생 시점 비교 결과, 특징적으로 거문도가 칠발도에 비해 약 7시간 앞서 발생하였다. 태풍 내습시 칠발도 해역에서 저수온 현상이 발생하였는데 이는 파랑에너지의 감소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태풍 내습시 풍향과 파향은 S 및 W계열이 발달함으로써 바람이 해수를 해상에서 연안(해안) 방향으로 수송하는 외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태풍 내습시 각 부이별 기상 및 해양 요소를 상호 비교한 결과, 마라도 부이는 칠발도 부이 결과와는 음의 상관성을, 거문도와 거제도 부이와는 양의 상관성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삼육대 및 서울여대 재학 중인 일부 여대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영양섭취상태 및 신체계측 비교 연구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Physical Status according to the Residental Type among College Women in Seoul Women's University and Sahmyook University)

  • 최경순;신경옥;허선민;정근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1호
    • /
    • pp.86-9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idence types ((1) parent house, (2) dormitory or boarding home, (3) boarding home w/o food) on the dietary habits and health status of college women (20-23 y). Overall, 46.1% of college women reported that they were economically middle class and spent 200,000-390,000 won. Additionally, 17.4% of college women considered themselves healthy, while 33.8% reported that they were not healthy. Furthermore, 32.0% of college women had experience to control their weight and 39.8% reported that they exercised to control their weigh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eight and weight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residential type, but the amount of skeletal muscles mass ($21.0\;{\pm}\;2.6\;kg$) of the subjects that lived in dormitory or boarding home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than that of women who lived at home. Additionally, 30.8% of students that lived in private residences, 25.0% of students that dwelled in dormitory or boarding homes and 27.7% of students that boarding home w/o food had three regular meals every day (p < 0.05). It has been reported that 18.3% of college students eat processed and instant foods due to their convenience. In the present study, intakes of energy, protein, fat, vitamin A, vitamin $B_1$, vitamin $B_2$, vitamin $B_6$, niacin, vitamin C, vitamin E and folic acid for the subjects who lived in dormitory or boarding hom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who lived in private residences (p < 0.05). Additionally, intakes of iron, calcium, and zinc were lower in the subjects that boarding home w/o food (p < 0.05). Finally, the blood glucose level was $84.7\;{\pm}\;13.0\;mg/dL$, and differed significantly by residential types (p < 0.05); however, the average glucose levels of all subject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90-110 mg/dL).

충격계수 응답스펙트럼을 이용한 단경간 교량의 내하력 평가 (Load Carrying Capacity Evaluation of Single Span Bridge using Impact Factor Response Spectrum)

  • 이후석;노화성;박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730-736
    • /
    • 2016
  • 이전 연구에서 기존의 재하실험을 통한 교량의 공용 중 내하력 평가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충격계수 응답스펙트럼과 그에 따른 내하성능 변화 추정 방법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방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용 중인 단순지지 단경간 교량에 대한 현장 동적특성 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상시 교통하중 상태에서 무선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교량의 고유진동수 도출이 가능한 수준의 동특성 응답을 획득할 수 있었다. 대상 교량의 가속도 데이터로부터 동적거동은 1차 모드에 지배되며 준공 당시에 비해 공용 기간의 증가로 인해 고유진동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계수 응답스펙트럼으로부터 대상 교량의 발생 가능한 최대 충격계수를 추정하였다. 도출된 이전 및 현재의 고유진동수와 충격계수를 바탕으로 성능감소계수를 적용한 내하력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성능변화를 추정하였다. 이전에 비해 공용내하력이 감소하였으나 설계 활하중을 상회하여 내하성능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시 교통하중 하에서의 가속도 계측 데이터와 충격계수 응답스펙트럼을 이용하는 제안된 내하성능 변화 추정 방법은 실제 교량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공강판 전단연결재로 보강된 강관말뚝 머리의 인발실험 (Pull-out Test of Steel Pipe Pile Reinforced with Hollow Steel Plate Shear Connectors)

  • 이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85-29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유공강판 전단연결재로 보강된 강관말뚝의 인발실험을 통하여 구조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인발실험에 앞서 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압축장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되는 철근 및 철판의 항복하중, 인장강도 및 연신율 등의 재료적 특성을 미리 파악하였다. 유공강판 전단연결재로 보강된 강관말뚝의 인발실험은 2,000kN 용량의 UTM을 이용하여 0.01mm/sec 재하속도의 변위제어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계측을 위하여 철근 및 유공강판 중앙에 strain gauge를 부착하였으며, 가력판과 충전콘크리트 사이의 상대변위 측정을 위하여 변위계(LVDT)를 설치하였다. 유공강판 전단연결재로 보강된 실험체의 항복하중은 각각 923.8kN과 981.1kN으로 기존 설계법에 의하여 제작된 실험체의 항복하중인 641.7kN에 비하여 1.44배 ~ 1.53배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공강판 전단연결재로 보강된 실험체의 극한하중은 각각 1004.4kN과 1055.5kN으로 기존 설계법에 의하여 제작된 실험체의 극한하중인 813.7kN에 비하여 1.23배 ~ 1.29배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유공강판 전단연결재로 보강된 실험체의 항복변위 및 극한상태의 변위는 기존 설계법에 의하여 제작된 실험체에 비하여 각각 0.61배 및 0.42배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공강판 전단연결재로 보강된 강관말뚝은 강성은 증가하고 상대변위 및 변형률은 낮게 측정되어 기존 말뚝머리 보강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적절한 보강방법임 알 수 있었다.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후 예후에 관한 후향적 고찰 (THE RETROSPECTIVE STUDY ON THE PROGNOSIS OF CLASS III MALOCCLUSION TREATMENTS)

  • 성재현;권오원;김상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5-187
    • /
    • 1998
  • 본 연구는 치료후 빈번한 재발로 인해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후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교정치료후 관찰기간동안 측모와 교합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된 안정군(Stable group, n=12)과 그렇지 않고 재발의 경향을 보인 재발군(Relapse group, n=13)으로 나누고, 초진시 계측항목을 이용한 t-test, 상관분석 그리고 판별분석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하악골의 전후방적인 위치와 관계를 나타내는 항목인 SNA, SNB, ANB, Angle of convexity 그리고 APDI에서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여주지 않아(p>0.05) 두 군간 전후방적 인 골격 형태에 있어서는 차이가 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 교합평면의 경사도와 관련된 항목인 Wits, AB to Occlusal plane angle 그리고 Occlusal plane to Mandibular Plane angle에서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여(p<0.05)재발군의 교합평면이 안정군에 비해 전하방으로 많이 경사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상하치열관계를 나타내는 항목인 Overjet에서 안정군이 재발군에 비해 절대치로 더 커(p<0.01) 전후방 골격부조화에 의한 것이 아닐 경우 치열의 전후방부조화가 클수록 치료후 예후가 좋음을 알 수 있었다. 4. 상관분석결과 Overjet과 Occlusal plane to Mandibular plane angle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p<0.001, p<0.01). 5. 판별에 기여도가 높은 3항목 즉 Overjet, AB to Occlusal paine angle 그리고 Articular angle을 이용한 판별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할 때 본 연구에 사용한 표본의 88%를 올바르게 판별할 수 있었다.

  • PDF

악교정술을 요하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KELETON ON ORTHOGNATHIC SURGICAL GASES WITH SKELETAL GLASS III MALOGGLUSION)

  • 임한호;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9-201
    • /
    • 1998
  •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학생 중 안모형태와 교합상태가 양호하고,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교합자 74명 (남자 38명, 여자 36명)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조선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악교정 수술을 통한 교정치료가 필요하다가 진단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성인 45명 (남자 23명, 여자 22명)을 실험군으로 하여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하고 Burstone & Legan방법에 의해 각각의 계측항목별로 남여를 비교 분석하여 악교정 수술이 필요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환자의 악안면 골격 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는 함몰된 안모를 지니고 있었고 (P<0.001), 여자에서 뚜렷한 상악골 열성장 (P<0.nt)과 하악골 과성장 (P<0.01)을 보인 반면, 남자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고 상,하악골 연조직의 전,후방적인 비교에서는 특징적으로 남자는 하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전방돌출 (P<0.001), 여자는 상악골 연조직의 과다한 후퇴 (P<0.001)을 보였는데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는 하악골 과성장, 여자는 상악골 열성장에 의해 주로 기인됨을 알 수 있다. 2. 골격성 III급 부정 교합을 지닌 남여 모두에서 특징적으로 MP-HP 각과 genial angle이 커서 하악골의 전하방 과성장을 보인 반면, ramus height는 남여 모두에서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으며, 상악중절치는 순측경사, 하악전치는 설측경사 되어 있었는데 이는 악교정 수술을 위한 술전교정 치료시 이러한 치성보상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각 골격구조내에서 치아들이 적절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것을 의미한다. 3. 여자에서 상안면고경에 비해 하안면고경이 특징적으로 짧았고, 남자의 lower facial throat angle이 특징적으로 작았다. 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남자에서는 하악골의 과다한 하방 성장및 긴 목, 여자에서는 하악골의 전방으로의 과다성장및 짧은 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초분광 단파적외선 영상 기술을 이용한 고추의 수분스트레스 측정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Drought Stress Measurement Method for Red Pepper Leaves using Hyperspectral Short Wave Infrared Imaging Technique)

  • 박은수;조병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0-5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수분스트레스 반응을 최적으로 계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해 초분광 단파 적외선 영상기술을 적용하였다. 수분스트레스에 노출된 고춧잎의 단파적외선 분광영상을 획득하고 ANOVA 분석을 이용하여 수분스트레스 반응을 가장 잘 반영하는 파장영역을 선정하였다. 고춧잎의 단파적외선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ANOVA 분석을 수행한 결과 수분스트레스 판별을 위한 최적 파장은 1449nm으로 물분자의 광흡수 영역대와 거의 일치하였다. 최적 파장에서의 고춧잎 상대반사값을 가우시안 회귀분석을 통해 정상군과 토양흡착수압이 -20kPa과 -50kPa일 때의 스트레스군을 구분할 수 있는 임계값을 계산하고 이 값을 기준으로 단파적외선 영상을 이진화하여 수분스트레스 반응을 판단할 수 있는 최종영상을 구축하였다. 결과 영상에서 정상군과 스트레스군의 토양흡착수압이 -20kPa인 잎의 경우 스트레스 반응을 보인 픽셀이 72%이었고, -50kPa인 잎에서는 스트레스 반응을 보인 픽셀이 84%로 12%차이가 났다. 정상군과 스트레스 강도가 다른 시료의 경우 영상의 결과가 명확히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나 단파적외선 영상기술이 고춧잎의 수분스트레스 상태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기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촌지역(農村地域) 노인(老人)들의 신체계측(身體計測) 및 임상검사(臨床檢査)에 의한 건강상태(健康狀態) 평가(評價) (Evaluation of the Health Status of the Aged in rural Area by Anthropometry and Clinical Laboratory Tests)

  • 조성억;예민해;박정한;천병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0권1호
    • /
    • pp.16-25
    • /
    • 1985
  • To evaluate the health status of the aged in rural area, 476 men and women of 65 years old and older among the residents of Gunwee County in Kyungpook were examined at the county health center between 4th and 22nd of June, 1984. Physical examination included measuring height, weight, chest circumference and blood pressure and chest x-ray. Laboratory tests were done for serum cholesterol, glucose and GOT, and urine glucose and protein. The mean heights of male and female were 160${\pm}$7.0cm and 147.7${\pm}$6.9cm, respectively. The height decreased as the age increased. The mean body weight of male was 53.5${\pm}$7.8kg and 46.7${\pm}$7.5kg for female and the older, the eighter. The mean chest circumference of male was 85.4${\pm}$7.5cm and 79.5${\pm}$79cm for female and it had no remarkable differences by age group. The average height, body weight, chest circumference, and serum cholesterol level of the age 65 years and older in rural area were lower than the standard this may be due to undernutrition of the aged. The mean diastolic and systolic blood pressure of male were 75.9${\pm}$13.5 mmHg/126.3${\pm}$24.1 mmHg and those for female were 73.1${\pm}$13.9 mmHg/125.8${\pm}$32.4 mmHg. Both male an d female in the age group of 65-69 years showed the lowest mean blood pressure. Among the study population 18.3% the borderlin hypertension and 14.3% had hypertension. Average hemoglobin level of the male(12.5${\pm}$0.8 g/d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11.6${\pm}$0.8 g/dl) (p < 0.01). Mean serum G.O.T. level was 25.2${\pm}$8.7 IU for male and 23.6${\pm}$7.5 IU for female and all of the study population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Mean serum glucose level was 110.4${\pm}$16.0 mg/dl for the male and 110.5${\pm}$15.7 mg /dl for the female and 41.4% of the study population were above the normal limit of serum glucose level. However, there was only one person she had glycosuria. Hyperglycemia could be due to non-fasting before the test. Two of the study population had proteinuria and five persons (1.05%) were diagnosed as pulmonary tuberculosis by the chest x-r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