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업 패턴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5초

대구 상업지역의 시계열적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Time Series Analysis on the Transformation of Commercial districts in Daegu)

  • 이지수;홍원화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31
    • /
    • 2010
  • 본 연구는 대구시의 상업지역의 용도지역변화를 GIS를 사용하여 시대별로 구축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변화의 특성을 고찰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도심기능의 분산과 그에 따른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한 용도지역의 변화형태 그리고 상업시설의 입지형태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분석한 결과 상업지역의 입지에 따른 주변지역의 용도 지역의 변화와 아울러 가로축의 발달과 함께 상업시설의 형태도 선형으로 발달하며 기능을 분산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영종도 112블록의 AMI 데이터를 이용한 물 사용 패턴 분석 (Analysis of pattern of water usage using AMI data in 112 block of Youngjong island)

  • 구강민;한국헌;염경택;전경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3-223
    • /
    • 2018
  • 취수원에서 정수장과 배수지를 거쳐 수용가에 이르기까지 공급되는 급수량을 결정하는데 있어 각 수용가별 물 사용 패턴은 수요량을 예측하여 취수량을 결정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생활용수 추정은 용도별(가정용, 상업용, 공업용 등)로 분류하여 경향성이 나타날 수 있도록 과거 사용실적을 바탕으로 장래 용도별 사용량을 추정한다. 이는 경험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시계열 모형을 이용하는데 수요예측의 실패 가능성이 높으며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원격검침인프라)센서를 영종도 112블록의 528개의 수용가에 설치하였다. AMI는 스마트 미터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원격 검침기를 통해 물 사용량을 자동으로 계측할 수 있다. AMI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종도 112블록의 운북동과 운서동의 각 용도별, 요일별, 그리고 도심지와 농가의 실시간 물 사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운북동과 운서동의 물 사용 패턴은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보이나 도시화된 운서동에 비해 운북동의 물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첨두사용량의 발생시간 또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용과 공공용의 경우 시간별 물 사용량이 요일에 따라 일정한 경향이 있으나 상업용과 공업용은 일정한 사용량을 보였다. 향후 112블록의 관망해석에 실시간 물사용 패턴을 적용하여 효율적으로 급수량 결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물 공급량 예측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 (Data Mining for Water Supply Forecasting)

  • 신강욱;김연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3-23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물 공급량 예측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 적용에 있어서 데이터 마이닝의 효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물 공급분야에 있어서, 물 이용 지역의 특성에 따라 공급량과 이용 시간이 매우 상이한 특성을 나타낸다. 물 이용 지역은 주택지역, 상업지역, 산업단지지역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물 이용 시간의 상이함에 따른 물 공급패턴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특히, 주택지역과 상업지역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물 이용 단위인 블록 단위에서의 물 특성이 불규칙적인 패턴을 나타낸다. 따라서, 각 블록 단위 특성에 적합한 물 이용량을 예측하여 효율적 물 공급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물 이용량 데이터 중 이상 데이타 감지와 이상 데이터 보정을 통하여 물 이용량 예측의 정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블록 단위의 물 이용량에 대한 원시데이타의 효율적인 데이터 마이닝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물 공급지역의 특성에 따른 물 공급 패턴을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제시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된 데이터 마이닝 기법은 딥러닝 예측모델을 적용하여 적합성을 검증하고, 이를 물 공급량 예측알고리즘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상업적 토지이용 패턴의 시공간 변화 탐색을 위한 공간통계 기법 적용 연구 (Research on Application of Spatial Statistics for Exploring Spatio-Temporal Changes in Patterns of Commercial Landuse)

  • 신정엽;이경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32-647
    • /
    • 2007
  • 많은 지리적 현상은 시간 변화에 따라 동적인 공간 패턴을 보이며, 이러한 동적인 공간 패턴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많은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간 패턴의 변화를 연속 또는 누적 측면에서 다루기보다는 특정 시점이나 기간 동안의 정적인 공간 패턴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시간 변화 과정에서 수반되는 공간 프로세스의 관성(inertia)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현상의 공간패턴을 탐색하는 새로운 공간통계 탐색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사례연구에 적용하는데 있다. 즉, 새로운 공간통계량을 제안하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을 통해 새로운 통계량의 z-값을 산출한 뒤, 시간 변화에 따른 공간 패턴의 변화를 누적 방식으로 탐색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간 패턴을 측정하는 J 통계량과 CUSUM 통계량이 결합된 방법을 제안하고, 사례연구로 최근 200년 동안 미국 뉴욕 주의 이리 카운티(Erie County)의 상업적 토지이용의 공간 패턴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시공간 패턴 변화 탐색 방법을 통하여 새로 구성된 공간통계량을 단위시간마다 누적적으로 반영하여 공간패턴의 연속적인 변화추이의 효과적인 탐색이 가능하였다.

시공간패턴분석기법을 이용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의 상업용도 확산지역 도출 - 서울시 북촌 사례를 중심으로 - (Using Space-Time Pattern Analysis to Detect Commercial Diffusion Area in Gentrified Area - Focused on the Case of Bukchon in Seoul -)

  • 김동현;박진아
    • 국토계획
    • /
    • 제53권7호
    • /
    • pp.23-37
    • /
    • 2018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proliferation of commercial uses in the area where Gentrification occurs. In order to cope with such a diffusion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diffusion area accurately. Gentrification has a feature that occurs locally in a short time. Therefore, this study used the space-time pattern analysis to derive the diffusion area of commercial uses in Bukchon, a typical gentrified area in Seoul. Among the space-time pattern analysis, space time permutation statistics used in this study can derive the convergence phenomenon of time and space in a particular case with only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has been three proliferation area in Bukchon, one started in 2007, other in 2013 and the other in 2014. In the earliest area, independent shops were the most popular, and the majority of them were restaurants. However in latter areas, there has been more chain stores and clothing stores than earlier a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pace time pattern analysis can be used as a tool to analyze the proliferation by gentrification because it can derive accurate location and timing of the diffusion.

상업 패턴을 포함한 의류 DIY 패키지 개발 (The Development of Clothing DIY Packages Including Commercial Patterns)

  • 이은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33-345
    • /
    • 2023
  • The rising demand for fashion do-it-yourself (DIY) products that cater to individual preferences and which allow for creative expression has highlighted the need for systematic organization within the clothing society.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identifying and discussing clothing DIY packages and proposes a systematic package model comprising essential raw materials, commercial patterns, and production instructions. Four key elements have been emphasized to differentiate and enhance the product. Firstly, highly practical commercial patterns have been developed to facilitate easy transformations - from blouses to dresses. Furthermore, the versatility of these patterns has been optimized so as to allow their utilization as outerwear, increasing their efficiency. Secondly, to accommodate diverse body shapes, the package offers six different sizes, providing users with a range of options tailored to their specific measurements. Thirdly, detailed production instructions are provided, supplemented by a Q&A bulletin board. The instructions are available in a printed format, featuring actual photographs on A4 paper, while video production instructions are accessible via a QR code, ensuring comprehensive guidance. Lastly, the basic package comprises clothing patterns, production instructions, fabrics, and labels, providing a complete toolkit for clothing DIY enthusiast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hobby sewing field and to establish a practical resource for the clothing DIY package industry.

설계 패턴 재사용 라이브러리 구현 (Implementation of Library for Design Pattern Reuse)

  • 김행곤;김지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7권1호
    • /
    • pp.48-62
    • /
    • 2001
  • 다양한 플랫폼 상에서 응용 시스템에 대한 개발, 배포, 운영의 고생산성과 고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의 체계적인 재사용 접근과 자동화된 도구의 지원이 요구된다. 함수나 클래스 라이브러리에서 설계 패턴과 프레임워크, 그리고 최근의 상업적인 비즈니스 컴포넌트에 이르기까지 여러 재사용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기대만큼의 확실한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설계 패턴은 설계 경험에 대한 캡슐화된 빌딩 블록으로 개발 응용의 표준화된 아키텍쳐 제공을 통해 응용 도메인의 한정성과 클래스 수준의 재상용의 복잡성을 극복할 수 있다. 응용 개발의 표준 아키텍쳐로서의 웹을 통한 재사용 요소들의 공유는 여러 개발자들에 의한 다양한 도메인 요소로서의 전개와 동적이며 실시간적인 라이브러리 관리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웹 환경 하에서 자동화된 설계 패턴 재사용 환경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For Reuse 관점에서 서버 상에 각 도메인별 패턴 라이브러리를 구축하며 With Reuse 관점에서 패턴 검색, 이해, 획들 그리고 재구조화를 통한 응용으로의 재사용 지원기를 구축한다. 본 시스템은 패턴의 공유에 의한 유사 도메인 응용의 표준화를 유도하고 사용자의 패턴 재정의에 의한 자생적을 확장 가능한 패턴 라이브러리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위해 도메인 분석을 통한 패턴의 행위와 의도를 기준으로 설계 패턴들을 분류, 카탈로깅하여 재사용 라이브러리를 제시한다.

  • PDF

상업용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을 위한 빌딩 시스템 모델링 (Building System Modeling for Commercial Fuel Cell Generation System)

  • 조경흠;최규영;강현수;이병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266-26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실제 사무용 빌딩에서 많이 사용하는 부하를 조사하여 종류와 시간대별 부하 패턴을 전기적으로 모델링하였고, 일반 저항 부하모델과 연료전지의 입력전류 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빌딩부하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족압 감지/분석 센서시스템 기술동향

  • 허근섭;이춘영
    • 제어로봇시스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5-30
    • /
    • 2011
  • 착용형 재활 로봇, 스마트 보철기구, 일상생활 동작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는 보행 패턴의 감지와 분석을 위한 센서 시스템을 On-Shoe 타입, Off-Shoe 타입, 보행 인식 상업용 시스템으로 구분하여 동향을 살펴본다.

국내 COVID-19 확산과 용수 사용량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omestic COVID-19 Spread and Water Usage)

  • 정기문;강두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55-55
    • /
    • 2021
  • 지난 2019년 말부터 계속해서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는 COVID-19로 인해, 인간 생활을 둘러싼 사회 및 산업 구조가 다양하게 변모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0년 2월 발생한 1차 대유행을 기점으로, 2020년 8월 2차 대유행 및 2020년 12월 3차 대유행을 겪었으며, 그 과정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개인위생 권장, 사회적 거리두기 등 강력한 예방수칙들이 도입되어 왔다. 특히 COVID-19의 심각성에 따라 단계적으로 발효되는 방역대책 및 사회적 거리두기는 개인뿐만 아니라 상업, 산업 등 대부분의 생활양식을 계속해서 변화시켰으며, 다양한 인프라 시설의 운영 및 관리에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연구기관에서는 이러한 봉쇄령(Lockdown) 정책의 영향으로 물관리 분야에 위기가 닥쳐올 것으로 예견하였으며, 국내의 경우 서울시상수도사업본부 조사에 따르면 가정용수 사용량이 3.4 % 증가하고, 상업 및 공공부문 용수 사용량이 25 %까지 감소하는 등 기존 물 사용 패턴과 상이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COVID-19 확산이 용수 사용량에 미치는 대표적인 영향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변화로 구분할 수 있다. 1) 사회적 거리두기 강도에 따른 물 사용량의 급격한 증가와 감소 등 용수 이용규모의 변화, 2) 상업 및 공공부문의 물 수요에서 생활부문 물 수요로 옮겨가는 등 용수 사용처의 변화, 3) 순간 최대 물 사용시간 등 용수 사용패턴의 시간적 변화 등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별, 수요처별 용수 사용량 등의 상세한 데이터 확보가 가능한 국내 지역을 대상으로, COVID-19의 확산 및 그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단계적 시행이 용수 사용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사회적 대응방안에 따른 물 사용량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COVID-19 확산 상황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상수도 공급방안 마련에 기여하고, 또한 지금까지 물리적 재난 대응에 편중되었던 물 위기 관리 패러다임을 사회적 재난 대응 분야까지 확장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