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업적 우주활동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Research for Space Activities of Korea Air Force - Political and Legal Perspective (우리나라 공군의 우주력 건설을 위한 정책적.법적고찰)

  • Shin, Sung-Hwan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18
    • /
    • pp.135-183
    • /
    • 2003
  • Aerospace force is a determining factor in a modem war. The combat field is expanding to space. Thus, the legitimacy of establishing aerospace force is no longer an debating issue, but "how should we establish aerospace force" has become an issue to the military. The standard limiting on the military use of space should be non-aggressive use as asserted by the U.S., rather than non-military use as asserted by the former Soviet Union. The former Soviet Union's argument is not even strongly supported by the current Russia government, and realistically is hard to be applied. Thus, the multi-purpose satellite used for military surveillance or a commercial satellite employed for military communication are allowed under the U.S. principle of peaceful use of space. In this regard, Air Force may be free to develop a military surveillance satellite and a communication satellite with civilian research institute. Although MTCR, entered into with the U.S., restricts the development of space-launching vehicle for the export purpose, the development of space-launching vehicle by the Korea Air Force or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is beyon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MTCR, and Air Force may just operate a satellite in the orbit for the military purpose. The primary task for multi-purpose satellite is a remote sensing; SAR sensor with high resolution is mainly employed for military use. Therefore, a system that enables Air Force,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and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to conduct joint-research and development should be instituted. U.S. Air Force has dismantled its own space-launching vehicle step by step, and, instead, has increased using private space launching vehicle. In addition, Military communication has been operated separately from civil communication services or broadcasting services due to the special circumstances unique to the military setting. However, joint-operation of communication facility by the military and civil users is preferred because this reduces financial burden resulting from separate operation of military satellite. During the Gulf War, U.S. armed forces employed commercial satellites for its military communication. Korea's participation in space technology research is a little bit behind in time, considering its economic scale. In terms of budget, Korea is to spend 5 trillion won for 15 years for the space activities. However, Japan has 2 trillion won annul budget for the same activities. Because the development of space industry during initial fostering period does not apply to profit-making business, government supports are inevitable. All space development programs of other foreign countries are entirely supported by each government, and, only recently, private industry started participating in limited area such as a communication satellite and broadcasting satellite, Particularly, Korea's space industry is in an infant stage, which largely demands government supports. Government support should be in the form of investment or financial contribution, rather than in the form of loan or borrowing. Compared to other advanced countries in space industry, Korea needs more budget and professional research staff. Naturally, for the efficient and systemic space development and for the prevention of overlapping and distraction of power, it is necessary to enact space-related statutes, which would provide dear vision for the Korea space development. Furthermore, the fact that a variety of departments are running their own space development program requires a centralized and single space-industry development system. Prior to discussing how to coordinate or integrate space programs between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and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it is a prerequisite to establish, namely, "Space Operations Center"in the Air Force, which would determine policy and strategy in operating space forces. For the establishment of "Space Operations Center," policy determinations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Joint Chief of Staff are required. Especially, space surveillance system through using a military surveillance satellite and communication satellite, which would lay foundation for independent defense, shall be established with reference to Japan's space force plan. In order to resolve issues related to MTCR, Air Force would use space-launching vehicle of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Moreover, defense budge should be appropriated for using multi-purpose satellite and communication satellite.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needs to appropriate 2.5 trillion won budget for space operations, which amounts to Japan's surveillance satellite operating budges.

  • PDF

THE POSSIBLE IMPACT OF EUROPEAN COMMUNITY AIR TRANSPORT POLICY ON AVIATION INDUSTRY IN ASIA (EC항공운송정책(航空運送政策)이 아시아 항공산업(航空産業)에 미치는 영향(影響))

  • Cheng, Chia Jui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4
    • /
    • pp.167-176
    • /
    • 1992
  • 1957년에 서명된 로마조약(條約)을 처음 개정한 단일(單一)유럽법(法)이 1987년 7월 1일에 발효(發效)되었을 때 유럽공동체(共同體) 12개 회원국(會員國)들은 공동정책(共同政策)에 의거 상업(商業), 농업(農業), 운송(運送), 금융(金融) 및 기타 관련부분에 있어 단일역내시장(單一域內市場)을 형성하기로 약속했다. 물론 완전한 역내공동시장(域內共同市場)은 자유로운 운송시장(運送市場)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EC조약(條約)은 모든 회원국(會員國)들이 서어비스의 자유에 근거하여 공동운송정책(共同運送政策)을 따를 것을 강제하고 있다. 항공운송(航空運送)에 있어서의 목표도 역시 다른 모든 경제활동의 목표와 마찬가지로 로마조약(條約)이 적용되는 공동운송정책(共同運送政策)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종합적인 공동체항공정책(共同體航空政策)의 작업에는 운임(運賃), 공급량(供給量), 시장진출(市場進出) 및 경쟁상(競爭上)의 일괄적인 자유화 조치 이상의 것을 내포하고 있다. 그것은 국가장벽으로 방해되지 않는 공동체(共同體)의 항공운송망(航空運送網)의 개발과 확장뿐만 아니라 경제(經濟), 안전(安全), 환경(環境) 및 사회적(社會的) 요인(要因)들 간에 합리적인 균형을 이루는 공동체항공운송정책(共同體航空運送政策)의 개발을 위한 공동항공운송정책(共同航空運送政策)의 공식화(公式化)를 요한다. 1987년의 항공(航空)에 관한 일괄입법조치, 1989년의 제 2 차 항공(航空)에 관한 일괄입법조치 및 1992년 이후로 예정된 제 3 차 일괄입법조치에 따라 EC는 초국가적(超國家的)인 항공운송(航空運送) 분야에 있어서의 개방적인 국제경쟁(國際競爭)을 본격적으로 추구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일괄규칙은 EC와 제(第) 3 국(國)들간의 관계에 중대한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EC항공운송정책(航空運送政策)이 아시아 항공산업(航空産業)의 상업운선(商業運船)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는 모든 아시아 국가들이 알아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이론적으로 말해서, 역내공동체(域內共同體) 항공운송(航空運送)의 자유화는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치외법권적(治外法權的)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로마조약(條約)과 유럽사법재판소(司法裁判所)에 의해 형성된 원칙들에 필연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아시아 항공산업(航空産業)은 무차별원칙(無差別原則), 설립(設立)의 자유(自由), 서어비스의 자유(自由) 및 EEC 경쟁법(競爭法)과 같은 제(第) 3 국(國)의 국제항공운송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새로운 원칙과 법률의 출현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실무적인 관점에서, 1992년 이후의 종합적인 공동체항공운송정책(共同體航空運送政策)의 작업에는 항공운화(航空運貨), 시장진출(市場進出), 제(第)3 및 제(第)4의 운륜자유권(運輪自由權), 복수지정(複數指定), 제(第)5의 자유(自由), 캐보타지(cabotage), 손상(損傷)(derogation), 공급량(供給量), 편수(便數), 불정기운항(不定期運航) 및 기타 부문항공기소음(部門航空機騷音), 최저(最低) 안전(安全) 및 사회적(社會的) 조치(措置), 항공종사자면허(航空從事者免許), 감항증명(堪航證明), 운항시간제도(運航時間制度), 컴퓨터 예약제도(豫約制度), 탑승거절보상의 공동최저기준(共同最低基準), 공중혼잡(空中混雜), 공항이착륙시간할당법(空港離着陸時間割當法), 공항시설(空港施設), 정부지원(政府支援 등). 이와 같은 모든 공동체항공운송정책(共同體航空運送政策)의 주요문제들은 아시아 항공산업(航空産業)에 여러 각도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들 가운데, 제(第) 3국(國) 항공사(航空社)들의 역내공동체(域內共同體) 항로(航路)의 접근, 공급량(供給量), 운임(運賃), 제(第)5의 자유(自由) 및 캐보타지가 아시아 항공산업(航空産業)에 관심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아시아 항공사(航空社)들의 EEC시장(市場)에로의 상업운항(商業運航)이 다소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첫째, 복수(複數) 목적지(目的地) 문제이다. 둘째, 항공(航空)서어비스의 운임(運賃) 및 료솔(料率)문제이다. 셋째, 항공운송구역(航空運送區域)에서의 사업에 대한 경쟁원칙의 적용 문제이다. 넷째, 제(第)5 자유(自由) 운륜권(運輪權) 문제이다. 다섯째, 캐보타지(cabotage)문제이다. 끝으로, 유럽 항공사(航空社)들간의 합병(合倂)의 문제이다. 결론적으로 유럽공동체항공운송(共同體航空運送)의 자유화는 1993년까지 공동체(共同體) 역내(域內)와 역외(域外)의 항공운송법제(航空運送法制)의 현재의 모습을 극적으로 바꾸어 놓을 정도로 가속화(加速化)되고 있다. 한편 항공운송(航空運送)의 자유화(自由化)에 대한 EC의 제의는 대담하고 급진적이다. 반면에 그것이 아시아 항공산업(航空産業)에 미칠 영향 또한 중대하다. 의심할 여지없이 항공사(航空社)와 고객들의 이익면에서 EEC와 비(非)EEC국가들의 항공운송산업(航空運送産業)에서 더욱 경제적으로 경쟁적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전세계 항공운송산업(航空運送産業) 운영(運營)의 대부분을 정부가 소유하거나 통제하는 것은 정말로 국제항공운송(國際航空運送)의 발전에 불필요한 장애를 일으킨다. 따라서 國內航空社와 전세계 항공사(航空社)들간의 이해관계의 조화를 협상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마도 아시아 항공사(航空社)들간의 지역적 협조가 미국(美國)뿐만 아니라 유럽으로 부터의 압력 증가에 대해 균형을 이루는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