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업시설

Search Result 35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Reliability Modeling and Analysis on the High Intensity Discharge (HID) Lamps Ballast (고압방전램프용 안정기의 신뢰도 모형과 분석)

  • Park, Tae-Keun;Lee, Young-Joo;Jeong, Hee-Suk;Kim, Jeong-Su;Kim, Jin-Sheon;Chun, Suk-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669-673
    • /
    • 2005
  • HID 램프란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s의 약어로서 고압 방전램프라 하고, 대규모 공간의 조명이 필요한 공공시설, 산업시설, 상업시설 이외에 스포츠 시설 등 폭넓은 용도에 대응하고 있다. HID 램프는 부성저항 특성으로 인하여 직접 전원에 접속하기 때문에 램프 전류가 흐르게 되면 급격히 전류가 증가하여 전류의 흐름이 매우 불안하게 된다. 따라서 이것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전원과 램프사이에 전류 제한장치인 안정기(Ballast)로 램프전류를 적절하게 제어할 필요가 있다. 본 고에서는 안정기를 구성하는 구성 재료와 부품이 사용 중에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는 열화요인과 이에 대한 수명의 관계를 중심으로 안정기의 수명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Disaster Evacuation Support in Indoor Space (실내공간의 재난 대피지원 통합관제체계 구축 방안 연구)

  • Lee, Jong-Hoon;Jung, Tae-ho;Son, Min-Ho;Py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225-226
    • /
    • 2020
  • 현대 사회에서는 재난의 유형과 피해가 다양해지고 이에 따른 위험성이 증가하여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운영 및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건축물의 대형화, 복잡화로 인하여 대규모 상업시설 및 다중이용시설은 실내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재난 발생 시 안전한 대피 경로를 파악하여 이동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 발생 시에 대규모 시설 내에서 이용자가 안전한 대피경로를 확인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통합관제체계 구축 방안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통합관제체계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연계하여 재난 발생 시, 시설 이용자에게 안전한 대피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실내 공간에서의 대패를 지원할 수 있다.

  • PDF

Simulation of Discharge according to the Impervious Area Ratio in Commercial District of Urban Area by SWMM (SWMM 모형을 이용한 도시.상업지역의 불투수면적비에 따른 유출모의)

  • Park, Sung-Chun;Kim, Myoyng-Geol;Kim, Young-Myung;Chang, Nam-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78-882
    • /
    • 2008
  •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 현상으로 경작지나 녹지와 같은 투수 지표면이 대단위 주택단지나 도로, 상업지구 등의 도시시설 및 산업화에 따른 공장시설과 같은 불투수 지표면으로 변화되어 도시의 불투수 지표면의 구성비가 증가되므로 이로 인해 침투량과 증발산량이 감소하며 지하수 유출량을 감소된다. 또한 도시유역의 조도계수의 감소로 도달시간이 단축되어 첨두홍수량이 증가하게 되는 등 도시유출특성이 변화되어 홍수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지구를 대상으로 불투수면적비의 변화에 따라 유출모의를 실시하였다. 유출모의를 위한 대상지구의 유역 및 관로 시스템의 제원은 수치지도와 관망도를 이용하여 유역을 구분한 후 배수 관망, 유입구 제원, 맨홀 등 관로시스템 자료 및 유역의 지표면과 지하 배수시설 및 토지이용상태를 조사하여 유역의 불투수지역(Impervious area) 및 투수지역(pervious area)으로 구분하였다. 불투수면적비에 따른 유출량과 유출률, 첨두유량, 기저시간의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모의 값의 정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2008년에 측정한 실측자료를 통해 매개변수를 최적화를 실시하여 SWMM모형으로부터의 모의 값과 실측자료를 비교 분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 of Urban Entertainment Center in multi-anchor and exposure time - Focusing on Cheongryanri station and Yongsan station - (집객시설과 노출시간에 따른 도심 엔터테인먼트형 복합상업시 설(UEC)의 특징에 관한 연구 - 청량리역과 용산역을 중심으로 -)

  • Kim, Hyeongju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2 no.1
    • /
    • pp.283-290
    • /
    • 2013
  • The change of shopping environment created new emerging type of shopping center after 1990's, Urban Entertainment Center(UEC) in northen America. One hand traditional shopping center was retail-centered, the other hand UEC is entertainment-centered and offers the trinity of synergy. Each components, that are retail, dining and entertainment, play a role of drawing people, extending duration of visiting and making people revisit then the synergy makes commercial profit in shopping center. As northen America many of shopping centers with complex have been built in Korea since 2000 and some projects is planning by the change of shopping environment and regenerating urban. Although the term of "UEC" is used in Korea, it seems to be added entertainment facilities to shopping center without considering on commercial strategy. This study will take a look at mix and duration of visit which ULI stresses in UEC development and comparing with those of Yongsan Station and Chyeongrangri Station which are built recently in seoul, it will get characters and situation of these UECs. Finally, the analysis is to be used as a planning data in UEC development.

A Study on a Survey of Actual Conditions of Children Play Space's Safety Management within Commercial Facilities;Focused on five-place large-scale distribution stores in Seoul (상업시설 내 어린이 놀이공간의 안전관리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서울지역 대형 유통매장 5곳을 대상으로)

  • Hong, Yoon-Mi;Kim, Ji-Soo;Byun, Dae-Ju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7 no.4
    • /
    • pp.66-74
    • /
    • 2008
  • A form of consumption has been changed to a form of pursuing rather qualitative sides than quantitative sides according to an improvement of the living level followed by an increase in national income and to an increase in women's advance to society in modern society. The above change had a lot of effects on children play space, a subsidiary means within commercial facilities. However, partial children play facilities have steady children injury cases by a lack of safety management facilities. Therefore, the study investigated indoor children play facilities installed in large-scale distribution stores as department stores and discount stores out of commercial facilities in Seoul. The study investigated actual conditions and collected picture data with a checklist drawn up on the basis of the safety management standard for three months from April, 2008 to June, 2008 by visiting five places under cooper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grasp actual conditions of safety management of play space within commercial facilities through the contents and picture data of the investigated checklist and to offer basic data in the side of safety management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various indoor children play spaces by proposing security measures for the problem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Visual-Percep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in Commercial Facilities in Regard to its Construction of Space from Real-Time Eye Gaze Tracking (상업시설 공간구성의 실시간 시선추적에 나타난 소비자 시지각 정보획득 특성 연구)

  • Park, Sunmyu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1 no.2
    • /
    • pp.3-14
    • /
    • 2018
  • For satisfying consumer needs, commercial facilities require a variety of sale-related space expressions and eye-catching product arrangements; space composition can also be a direct marketing strategy. The human eye is the sensory organ that acquires the largest amount of information, and an analysis of visual information helps in understanding visual relations between .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are mostly focused on analysis of still frames in experimental images, and there is a lack of studies analyzing gaze information based on mobile images of commercial spac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emotional responses through gaze information of space users in reality using a video of a movement route through a commercial facility. The analysis targeted straight sections of the moving route; based on the data acquired, sectional characteristics of five gaze intensity ranges were examined. As a result, section A, the starting point of the route, had a low gaze intensity, while section B had the highest gaze intensity. This indicates that, starting in section B, the subjects explored the space in a stable way and needed time to adapt to the experimental video. In relation to space characteristics of the gaze-concentrated area, display formats of the right stores in 4 of 6 sections received greater attention. The gaze of consumers was mostly focused on props, and big gaze information was revealed in showcase display formats of the stores. In conclusion, this analysis method can provide highly useful direct design data about merchandise display and merchandise component arrangement based on consumer visual preference.

A history of the greenhouse management of worlds (세계의 시설원예 변천사)

  • 박권우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 no.2
    • /
    • pp.160-176
    • /
    • 1994
  • 우리나라 시설원예의 역사가 비교적 짧은 데 비하여 서양의 시설원예는 우리보다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서양에서 시설원예의 시작은 개인의 취미생활이나 미적 탐구 등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초기에는 식물재배의 한 방편으로 출발했다고 보아야겠다. 그 후 식물에 대해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시설을 이용한 재배가 서서히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시설원예의 상업적인 접근은 유럽의 경우에 19세기 초.중반부터 이루어졌는데 이 시기가 근세로 이어지면서 인구의 팽창과 산업의 발전이 급속히 이루어졌던 시기이기 때문이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