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아질 변연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5초

다양한 중합광도에 따른 복합레진의 미세 경도와 변연 누출도 (Microhardness and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the change of curing light intensity)

  • Soo-man Park;Dong-Hoon Shi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5호
    • /
    • pp.363-371
    • /
    • 2001
  • 심미성 수복재 중합시 사용되는 광원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선택되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요인들은 앞으로도 논란의 여지를 많이 남겨두고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합법들이 제각기 독특한 장점들을 갖고 있기 때문에 최적의 중합법 결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합광의 강도(50, 100, 200, 300, 400, 600mW/$\textrm{cm}^2$)와 중합시간(10, 20, 40초)을 다양하게 변화시켰을 때 복합레진의 미세경도와 미세누출도가 어떠한 양태를 보이는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A3 색상의 혼합형 복합레진인 국산 DenFil과 미세입자형 복합레진인 Esthet X를 사용하였다. 중합 1일 후 복합레진의 Vickers 경도는 다이아몬드형 압흔 길이를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미세누출도는 1% methylene blue용액을 이용한 방법과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수복물과 치질간의 최대 이개도 평가법의 두 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세경도는 시편 상면이 하면에 비해 단단한 양태를 보였으며 상, 하면에 관계없이 혼합형 복합레진인 국산 DenFil이 미세입자형 복합레진인 Esthetx에 비해 높은 경도치를 보였다. 2. 모든 미세 경도 실험에서 너무 낮은 광도(50mW/$\textrm{cm}^2$, 100mW/$\textrm{cm}^2$)로 중합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미세 경도를 보였다(p<0.05). 3. 상면의 경우, DenFil은 중합시간과 관계없이 200mW/$\textrm{cm}^2$ 이상의 광도에서 대조군(600mW/$\textrm{cm}^2$ 광도로 40초간 중합)과 유의차 없는 미세경도치를 보였으나, Esthet X는 200mW/$\textrm{cm}^2$ 이상의 광도로 40초 동안 중합한 군에서만 대조군과 유의차 없는 미세경도치를 보였다. 4. 하면의 경우 DenFil은 300mW/$\textrm{cm}^2$ 이상의 광도로, Esthet X는 200mW/$\textrm{cm}^2$ 이상의 광도로 각기 40초 동안 중합한 군에서만 대조군과 유의차 없는 미세경도치를 보였다. 5. 법랑질 변연부에서는 색소 침투가 전혀 없었으나 상아질 변연부에서는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모든 시편에서 색소 침투를 보였다. 6.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지만 저광도에서 우수한 미세누출도를 보였으며 색소 침투법과 최대 이개도 평가법간에는 상관성이 매우 낮았다 (p=0.801).

  • PDF

복합레진 수복 시 재접착 술식이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EBONDING PROCEDURES ON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 이미애;서덕규;손호현;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3호
    • /
    • pp.164-172
    • /
    • 2010
  • 복합레진 수복시, 일반적으로 연마, 산부식, 수세 및 건조 단계를 거쳐 저점도 레진을 적용하는 재접착 술식을 통해 예상되는 수축간극을 봉쇄한다. 그러나, 이 과정은 재접착제 적용 이전에 물이나 잔사가 간극을 매워버릴 수 있어 그 효과가 의심된다. 본 실험에서는 연마 단계 이전, 즉 복합레진을 중합한 직후에 재접착제를 도포한다면 변연누출을 더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35개의 발거한 대구치에서 협면과 설면에 교합면 변연은 법랑질에, 치은측 변연은 상아질에 위치하는 5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와동은 Z250 (3M ESPE, USA)로 충전하였고, 접착제로는 $Adper^{TM}$ Single Bond 2 (3M ESPE)을 사용하였다. 재접착제로는 Biscover LV (Bisco, USA) 레진 전색제와 ScotchBond Multi-purpose system (3M ESPE)의 접착제, 및 점도가 낮은 실험용 접착제를 연마 전 또는 일련의 연마 및 산부식 후 수복물의 변연에 적용하였다. 2% 메틸렌 블루 용액에 네 시간 동안 침적한 뒤 교합측 및 치은측 변연에서의 색소 침투 깊이를 광학 입체 현미경으로 측정하였다. 재접착제의 점도와 변연미세누출의 상관관계도 평가하였다. 재접착 술식, 재접착제, 및 변연의 위치, 그 각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재접착 술식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에는 세 가지 재접착제를 사용한 재접착군에 비해 치은측 변연에서 미세누출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p < 0.05). 대조군과 재접착군의 미세누출의 차이는 교합측 변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연마 및 산부식 후 치은변연에 재접착제를 적용한 경우에서 약한 음의 상관관계(r = -0.326, p = 0.041)를 보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접착제의 점도와 미세누출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치경부 마모증 수복시 상아질 접착제가 변연누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NTIN BONDING AGENTS ON MARGINAL LEAKAGE FOLLOWING RESTORATION ON THE CERVICAL ABRASION)

  • 구본욱;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2권2호
    • /
    • pp.55-63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dentin bonding agents on marginal leakage. V-shaped cavities were prepared on the faciocervical area of 140 extracted human teeth. In Groups of twenty cavities, they were restored as follow: Group 1 with enamel bonding resin and Silux, Group 2 Scotchbond and Silux, Group 3 enamel bonding resin and Heliomolar, Group 4 Dentin Adhesit and Heliomolar, Group 5 enamel bonding resin and Durafill, Group 6 Dentin Adhesive and Durafill, Group 7 Chembond. All specimens were thermocycled alternatively at $4^{\circ}C$ and $60^{\circ}C$ of 2% methylene blue dye solution, and sectioned faciolingually with diamond disk under water spray. The sectioned specimens observed with stereo microscop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groups filled with Scotchbond-Silux or Dentin Adhesit-Heliomolar had appeared lesser marginal leakage compared with the groups with enamel bonding resin-Silux or enamel bonding resin-Helimolar. 2. The group filled with Dentin Adhesive-Durafill did not show the reduction of the marginal leakage compared with the group with enamel bonding resin-Durafill.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our dentin bonding agents. Scotchbond showed the greatest marginal sealing ability, and Dentin Adhesit was the next. The marginal sealing ability of Dentin Adhesive was the worst.

  • PDF

IS 지식에 대한 IS 실무자와 전공 교수 간의 인식 차이 분석

  • 이현우;이혜진;고석하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81-299
    • /
    • 2007
  • IS/IT 분야 실무자가 지니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지식과 전문 기술들을 '지식/능력 영역'과 '소프트웨어 전문 기술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각 세부 항목을 명세하였다. 그리고 분류된 두 영역에 대하여 IS/IT 분야 실무자가 생각하는 필요한 지식 및 전문 기술들의 중요도와 IS/IT 전공 교수가 생각하는 IS/IT 실무자에게 필요한 지식 및 전문 기술들의 중요도를 조사하여 두 그룹간의 인식차 비교를 시도하였다. 조사지역은 실무자는 충청지역 및 수도권 지역에 분포하는 SI 업체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IS/IT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는 실무자 본인의 일장에서 IS/IT 실무자가 갖추어야 된다고 판단되는 지식 및 전문 기술들의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그와 더불어 그들이 수행하는 IS 활동에 대하여 투자한 시간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세가지 그룹으로 구분하여 실무자 전체와 세 그룹간의 비교가 가능하도록 조차되었다. 비교 결과, 지식/능력 영역에서는 IS 실무자들이 상대적으로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 '특정 조직', '운영체제에 대한 지식'에 대해 더 높은 중요도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전문 기술 영역에서는 실무자보다 전공교수가 생각하는 중요도가 보편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전공 교수는 '프리젠테이션 도구', '객체지향 언어(C++, Java 등)'에 4점 대의 높은 점수를 주어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 하는 인지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실무자 그룹에서는 특별히 중요시 여기는 항목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고 보편적인 값이 median 값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현재 실무자들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IS/IT 환경에서 본인의 경력경로 (career path)을 위해 무엇이 중요한 갓인지 아직 명확히 하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자세한 비교/분석 및 해석은 현재 진행 중이며, 여러 흥미로운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된다.합형 파괴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상아질 접착제의 접착단계/과정이 결합내구성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접착과정의 단순화가 반드시 접착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없다.는 저작 운동 잔에는 2군에서 Heliomolar가 Pyramid보다 변연적합도가 우수하였고 (p < 0.05) 그 외의 군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저작 운동 후에는 모든 군에서 재료간 유의차가 없었다. 각 부위별 변연적합도를 비교하면, 저작 운동 전 Pyramid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는 4군이 2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 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eliomolar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 2, 4군이 1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저작 운동 후 Pyramid에서는 교합면 변연에서는 3군이 1, 2군에 비해 높은 변연적합도를 보였고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Heliomolar에서는 교합면에서 2, 3, 4군이 1군에 비해 변연적합도가 높았으며 (p < 0.05), 인접면과 치은면에서는 군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복합레진을 간헐적 광중합시킴으로써 변연적합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시장에 비해 주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해 왔다고 볼 수 있다.36.4%)와 외식을 선호(29.1%)${\lrcorner}$ 하기 때문에 패스트푸드를 이용하게 된 것으로 응답 하였으며, 남 여 대학생간에는 유의한 차이(p<0.05)가 인정되었다. 응답자의 체형은 ${\ulcorner}$적당하다${\lrcorner}$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이 이러한 음식을 즐겨 먹었으며(49.5%), 그 다음은 뚱뚱한 경우도 비교적 많이 먹고

  • PDF

와동 세척제가 상아질 결합제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VITY DISINFECTANT ON THE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OF DENTIN BONDING AGENTS)

  • 송승호;이주현;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95-603
    • /
    • 2005
  • 와동 형성시 박테리아에 감염된 상아질이나 법랑질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는 것은 수복학적 측면에서 볼 때 잠재적 문제점이 된다. 수복물 하방에서의 박테리아의 활동에 의해 술후 과민반응, 치수의 염증. 이차 우식 등이 진행될 수 있다. 와동세척제는 와동 형성 후 잔존 박테리아의 제거를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상아세관에 잔유물을 남겨 상아질 결합제와 치질간의 긴밀한 결합을 방해하여 미세누출을 증가시키고 결합강도를 약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2% 클로르헥시딘을 함유하는 와동 세척제인 $Consepsis^{(R)}$(Ultradent, USA)가 $Adper^{TM}$ $Scotchbond^{TM}$ Multi-Purpose(3M ESPE, USA), $Adper^{TM}$ Single Bond(3M ESPE, USA), $Adper^{TM}$ $Prompt^{TM}$ $L-Pop^{TM}$(3M ESPE, USA)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발거된 제 3대구치 120개를 이용하여 $Consepsis^{(R)}$ 와동 세척제를 사용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전단결합강토 측정과 수복물 변연에 나타나는 미세누출 정도를 색소 침투 평가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onsepsis^{(R)}$ 와동 세척제의 사용 유무는 $Adper^{TM}$ $Scotchbond^{TM}$ Multi-Purpose, $Adper^{TM}$ Single Bond, $Adper^{TM}$ $Prompt^{TM}$ L-Pop의 전단결합강토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Consepsis^{(R)}$와동 세척제의 사용 유무는 $Adper^{TM}$ $Scotchbond^{TM}$ Multi-Purpose, $Adper^{TM}$ Single Bond, $Adper^{TM}$ $L-Pop^{TM}$ $L-Pop^{TM}$의 미세누출 양상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

Micro-CT를 이용한 복합 레진 수복물 미세 누출도의 정량 분석 (Quantitative Micro-CT Evaluation of Microleakage in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 이상익;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22-233
    • /
    • 2007
  • 치과 수복 재료 검사 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것은 치아와 수복물 사이의 미세누출에 대한 평가이다. 미세 누출을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들 대부분은 많은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 개발된 미세 단층촬영법(micro-CT)을 이용하면 시편을 비파괴적으로 처리하여 특정 밀도에 해당하는 부분의 3차원적 영상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면 정확하고 정량적인 미세누출 평가도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micro-CT를 사용하여, 레진 수복물의 미세 누출도를 정량적이고 비파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내고, 이 새로운 방법을 기존의 색소 침투법과 비교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위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두 종류의 상아질 접착 시스템의 미세누출도가 평가되었다. 사람의 건전 소구치 40개를 임의로 20개씩 두 군으로 나누고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Group 1 : $Adper^{TM}$ Singe Bond 사용 후 제 V급 와동 레진 수복, Gourp 2 : $Adper^{TM}\;Promp^{TM}$ L-pop 사용 후 제 V급 와동 레진 수복 모든 치아의 5급 와동은 $Filtek^{TM}$ Supreme으로 수복하였다. 그 후 각 군 중 10개의 치아는 micro-CT를 사용하여 미세 누출도를 평가하고, 나머지 10개는 기존의 색소 침투법으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Micro-CT를 사용한 경우, 1군은 2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적은 양의 미세 누출을 보였다(p<0.01). 2. 기존의 색소 침투법을 사용한 경우에서 1군은 2군보다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p<0.01). 3. 두 군간의 미세 누출도는 micro-CT를 사용한 방법에서 더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4.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법랑질 변연 부분보다 상아질 변연 부분에서 더 많은 미세 누출을 보였다.

  • PDF

In vivo에서 습윤접착과 상아질 교원섬유용해가 변연누출에 미치는 영향 (IN VIVO EFFECT OF WET BONDING AND COLLAGEN DISSOLUTION IN ACID CONDITIONED DENTIN ON MARGINAL LEAKAGE)

  • 황수진;김명수;이광원;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1호
    • /
    • pp.254-26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gree of marginal leakage that is made by wet bonding to dentin and dissolution of dentinal collagen layer in vivo and in vitro.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to 32 cat's canine teeth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he following 4 groups : Group 1 (not acid conditioned) ; Group 2 (acid-conditioned and blot-dried) ; Group 3 (acid-conditioned and air-dried for 30 seconds) ; Group 4 (acid-conditioned and retreated with 10% NaOCl solution). The acetone-based primer and bonding agent of All Bond 2(Bisco Inc., U.S.A.) and composite resin(Z-100, 3M. Dent. Prod., U.S.A.) were then applied. The resin collar and cap attached to each specimen and 50% silver nitrate solution was placed inside the resin cap for 3 hours. After the canine tooth was resected in level of cervical third, specimens were highly polished and observed the degree of the dye penetration on incisal and gingival margi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marginal leakage in all the groups between in vivo and in vitro. 2. In vivo, the degree of leakage on the gingival margin showed the lowerest in group 4 and followed by group 2, 3 and group 1 with ascending order.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all the groups(p>0.05). 3. In vitro, the degree of leakage on the gingival margin showed the lowerest in group 2 and followed by group 4, 3 and group 1 with ascending ord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p>0.05). 4. The marginal leakage of the incisal margin in vitr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1 than the remaining groups(p<0.05).

  • PDF

수종 상아질 접착제의 제 V급 와동에서의 미세 변연누출에 관한 비교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EFFECT OF ALL-BOND 2, GLUMA, SCOTCH BOND MULTI-PURPOSE)

  • 강창성;박성호;이정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1호
    • /
    • pp.261-274
    • /
    • 1995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marginal microleakage of Class V cavities of All-bond 2 (Wet - bonding system), Gluma (Adhesion of resin to exposed collagen fibers), and Scotchbond Multi-purpose(Mild Etching System). Hundred extracted human teeth divided into a control and three experimental groups consisting of eight teeth. The experimental group was further subdivided into All- bond2, Gluma and Scotchbond MP groups, Vitrebond served as the control. The positive control group consisted of specimens filled with resin and with no etching, primer and bonding procesure. Polished specimens underwent temperature changed from $5^{\circ}C$ to $55^{\circ}C$ a thousand times. After thermocycling, speciemens were placed in 2 % methylene blue dye solution for 24 hours in an incubator set at $37^{\circ}C$. The teeth were sectioned buccolingually and the degree of dye penetration was observed with a stereomicroscoped(*20).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Both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lower degree of dye penetration on enamel than on dentin margins(p<0.05) 2. Gluma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degree of dye penetration than All-bond 2 on enamel margins(p<0.05) Scotchbond MP also exhibited a lower degree of dye penetration than All-bone 2 but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luma and Scotchbond MP exhibited a similar degree of dye penetration. 3. The degree of dye penetration of All-bond 2, Gluma and Scotch bond MP showed no statistically singnificance on enamel margins bu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control using Vitrebond. 4. All-bond 2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degree of dye penetration than Gluma on dentin margins. All- bond 2 and Scotchbond MP showed a similar degree of dye penetration. 5. The degree of dye penetration of All-bond 2, Gluma and Scotchbond M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on dentin margins. There was neither a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 control.

  • PDF

광중합형 충전용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상아질 변연누출에 관한 정량분석 (DENTINAL MICROLEAKAGE STUDY ON THE LIGHT CURABLE RESTORATIVE GLASS IONOMER CEMENT)

  • 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2호
    • /
    • pp.832-838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mount of marginal microleakage of 2 light curable GI cements(Fuji II LC & VariGlass), which contain some resin components. 4 volunteers kept on acrylic resin plates, which contained dentin disks with cavities filled with test materials for 2 weeks. The time when polishing was done(5 minutes and 24 hours after filling) and the use of protective agents were varied, so 8 groups with each 6 specimens were tested. After having specimens(disks with cavities filled with materials) penetrated with 1% Methylene Blue solution, specimens were stored in 40% nitric acid solution for 4 days to extract adsorbed dye material. Supernatants of centrifuged samples were diluted 5 times and Spectrophotometer was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absorption. Dye concentration was calculated through the pre-obtained Linear Regression Curv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best result was seen in groups (PF24, PV24) which were protected and polished 24 hours later and the opposite phenomenon was seen in groups(NF24, NV24) which were held without protection and polished 24 hours later. Groups polished S minutes later showed moderate leakage pattern. 2. Groups polished 5 minutes later showed similar leakage amount irrespective of using of protective agent.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lower values were seen in VariGlass than in Fuji II LC groups, So It was considered that VariGlass may be more resistant to early moisture attack than Fuji II LC. 3. In groups polished 24 hours lat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terials but was definite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use of protective agent. If the cement in which polishing will be done 24 hours later, Protective agent should be used to cover the surface.

  • PDF

상아질 표면처리가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변연누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HE DENTINE PRETREATMENT ON THE MARGINAL LEAKAGE OF A GLASS IONOMER CEMENT)

  • 조정희;홍찬의;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7권1호
    • /
    • pp.95-103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dentin pretreatment on the marginal leakage of a glassionomer cement. 1n this study, 60 molars with sound and healthy crown portion were used. The dentin surface of these teeth were exposed and polished with 600 grit silicon carbide paper. Square - shaped cavities were prepared on the flattened dentin surfaces and these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dentin pretreatment procedures. Group I : Dentin pretreatment with distilled water as a control group. Group II : Dentin pretreatment with 5%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Group III : Dentin pretreatment with Ketac conditioner. Group IV : Dentin pretreatment with 40% polyacrylic acid. The degrees of dye penetration in the cavity walls were assessed using a stereoscope at ${\times}40$ magnification according to the maximum dye penetra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Mann - Whitney U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ll groups showed varying depth of dye penetration. 2. Distilled water group showed the most severe marginal leakage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P<0.05). 3. 40% polyacrylic acid group showed the least amount of marginal leakage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P<0.05).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oup I(distilled water) and Group IV (40% polyacrylic acid)(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 I(distilled water), Group II(sodium hypochlorite), Group III(Ketac conditioner) (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