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당히 신뢰할 수 있는 제 3자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Fair Private Matching with Semi-Trusted Third Party (STTP를 활용한 공평한 비밀 매칭)

  • Kim, E-Yong;Hong, Jeong-Dae;Cheon, Jung-Hee;Park, Kun-So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4
    • /
    • pp.446-450
    • /
    • 2008
  • Private Matching is the problem of computing the intersection of private datasets of two parties without revealing their own datasets. Freedman et al.[1] introduced a solution for the problem, where only one party gets private matching. When both parties want to get private matching simultaneously, we can consider the use of Kissner and Song[2]'s method which is a privacy-preserving set intersection with group decryption in multi-party case.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protocols for fair private matching. Instead of group decryption we introduce a Semi-Trusted Third Party for fairness. We also propose an update procedure without restarting the PM protocol.

Fair Private Matching with Semi-Trusted Third Party (STTP를 활용한 공평한 Private Matching)

  • Kim, E-Yong;Hong, Jeong-Dae;Cheo, Jung-Hee;Park, Ku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a
    • /
    • pp.290-291
    • /
    • 2007
  • Private Matching은 각기 다른 두 참여자가 가진 데이터의 교집합을 구하는 문제이다. 이때 각 참여자는 교집합은 공유하되 그 이상의 정보는 감춰지기를 원한다. 우리는 Kissner와 Song의 다항식 덧셈에 의한 교집합 계산 방법에 상당히 신뢰할 수 있는 제3자(Semi-Trusted Third Party)를 도입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Private Matching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STTP의 저장능력을 활용할 경우 프로토콜을 다시 시작하지 않고도 Private Matching을 갱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 PDF

Risk Assessment Program of underground buried Pipeline Development (지하매설배관의 위험성평가 프로그램 개발)

  • Kim Tae Wook;Sung Jun Sik;Cho Yong 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4 no.2 s.10
    • /
    • pp.37-45
    • /
    • 2000
  • The underground buried pipelines of Natural gas are relatively safer than any other pipelines of chemical plants, because Natural gas is non-corrosive fluid. But Natural gas is supplied normally the downtown area. So, it may be a disaster because of corrosion which is caused interference facilities, environment and third party accident which is caused facilities construction. Especially,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out and inspect damages of pipeline because of buried pipelines. Therefore this paper approached to select and manage risk region pipelines according to introduction of underground buried pipeline's risk concept. Risk was indicated three parts - corrosion factor, design and construction factor, maintence and management factor - in this paper, Therefore qualitive risk of pipelines showed score as quantitative number. Also it was thought to be helpful in confidence and safety management that the concept of key index and failure supplementation measures to cost introduces this program. We developed this risk assessment program using visual basic tool and interfaced GIS.

  • PDF

특집: 결산 2009, 축종별 배합사료산업 결산 - 양돈산업 결산

  • Min, Seung-Gi
    • 사료
    • /
    • s.42
    • /
    • pp.20-25
    • /
    • 2010
  • 2009년은 그야말로 새옹지마(塞翁之馬 : 인생에 있어서 길흉화복은 항상 바뀌어 미리 헤아릴 수 없다)와 같은 한 해로 기억에 오래 남을 듯 하다. 2008년 말에 2009년 양돈산업을 전망할 때 미국발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국내산 돈육 공급량 부족과 환율상승 및 급변으로 인한 돈육 수입량 부족, 그리고 수급 불균형으로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역대 최고의 돈가를 예상했고, 실제로 3월에 지육가격이 5,000원/지육kg(전국 비육돈 평균시세)을 상회하면서 성수기에 돈가가 6,000원/지육 kg에 육박할 것이라 기대했었다. 그러나 4월 미국에서 발생한 신종인플루엔자가 초기에 돼지에서 유래된 인플루엔자라고 보도되면서 돈육소비량이 급감하였고 이로 인해 성수기에 돈가가 오히려 하락하는 기현상을 보였다. 다행히 신종플루가 돼지와 무관하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소비가 회복되었고 돈가 또한 회복되어 올해는 역대 최고의 돈가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고, 여기에 국제곡물시세가 안정되면서 사료가격도 여러 차례 인하되어 양돈 농장의 수익성은 상당부분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신종플루 사망자가 증가하면서 지금도 여전히 돈육소비가 위축되어 있어 막연히 호황을 기대하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돈가의 급등과 급락, 외부요인에 의한 경제환경의 변화로 인한 환율의 변동 및 소비량의 변화는 2009년 양돈산업에 대한 불안감을 증폭시켜 높은 돈가와 수익성에도 불구하고 전체 산업의 규모가 커지지는 못했다. 여기에 국산 돈육에 대한 소비자들의 무한 신뢰로 인해, 2008년 12월 돈육 원산지 표시제 확대 실시로 국내산 돈육 수요가 증가 하여 여전히 75% 가량의 국산 돈육 자급율을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맛의 차별화 및 도축, 유통의 안전성에 대한 확고한 신뢰 구축을 위한 브랜드 돈육 유통의 확대가 소비자의 기대치만큼 자리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친환경적인 양돈산업 육성 및 분뇨 처리 관련하여도 뚜렷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어, 양돈 농가의 입장에서는 규모의 확장 및 신규 진입이 극도로 제한되어 있고 일부 지역에서는 사업의 존폐를 결정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그간 대한민국 양돈 산업의 경쟁력에 발목을 잡고 있던 낮은 생산성 문제와 소모성 질병에 의한 높은 폐사율 문제 또한 아직도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과제이다. <그림 1> 국가별 양돈 농장 생산성 현황에서 보는 바 와 우리나라 양돈 농장의 생산성은 여전히 PSY(모돈당 연간 이유자돈 두수)가 18두에 못 미치고 있어 국제 경쟁력을 논하기 자제 가 부끄러운 실정이다. 여러 가지 내 외부적인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올 2009년은 양돈농가들이 최고의 수익성을 기록한 한 해가 될 것이라는 사실에는 이의가 별로 없을 듯하다. 2년 여간의 고돈가로 인해 대한민국 양돈산업은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밑천이 마련된 셈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2009년 양돈산업 현황을 돌아보고 다가올 미래를 준비한다는 의미에서 우리나라 양돈산업이 집중해야 할 분야를 짚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