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관계

검색결과 1,790건 처리시간 0.03초

쌀가루의 알카리 호화 (Alkali Gelatinization of Rice Flours)

  • 김성곤;이규한;김상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2호
    • /
    • pp.106-109
    • /
    • 1985
  • 일반계(30품종) 및 다수계(22품종) 쌀가루의 알카리 호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쌀가루의 0.2N NaOH에 대하여 품종마다 독특한 점도 증가현상을 보였다. 다수계는 일반계에 비하여 높은 점도를 보였으며, 호화가 용이하였다. 점도 증가속도는 단백질과 아밀로스함량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다수계 품종의 점도 증가 속도는 쌀의 수분 흡수 속도와 정의 상관을 보였다.

  • PDF

필댐의 안전관리를 위한 주요 계측 데이터의 최적 분석기법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an optimal analysis technique of primary measurements for safety management of fill dam)

  • 전현철;윤성규;김지성;임은상;강기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spc1호
    • /
    • pp.1155-11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필댐의 주요계측기인 침투수량계, 정상침하계, 간극수압계의 최적 분석기법을 제안하기 위해 통계분석을 수행하였고, 이와 더불어 저수위, 강우량 데이터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계측기별 기술통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간극수압계는 주성분 분석을 통해 3그룹 또는 2그룹으로 분류가 가능하였고, 저수위가 상관성이 큰 그룹의 경우는 계측기 간의 상관성도 크게 나타났다. 침투수량의 경우는 극심한 비대칭 분포를 보이고 있어 정량적 분석을 위해 분류나무 분석을 통해 무강수, 강수시의 평균 침투수량을 추정할 수 있었다. 정상침하계의 경우는 상관분석 결과 계측기간의 상관성은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저수위계와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지 못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분석하기 위해 EMD분석을 수행 하였다. 필댐의 주요 계측항목으로 간극수압계, 침투수량계, 정상침하계의 거동분석을 위해서는 각각 주성분 분석, 분류나무 분석, 데이터 필터 기법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유사한 계측항목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도의 약장.화계장의 품종간변이 (Varietal Difference of Anther and Fillament Length of Rice)

  • 김현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1-38
    • /
    • 1984
  • 벼의 약과 화계의 길이가 긴 품종을 탐색할 목적으로 8월 상순에 개화하는 통일계 21품종, 일반계 20품종, 일본·만주·IRRI 및 기지 지역에서 도입한 각각 12. 6, 12, 17 품종을 일반 재배하고 당일 개화하는 영화와 내일 개화할 것으로 기시되는 영화를 채취하여 내외영장, 약장, 약폭, 화계장 및 화분직경을 현미경 하에서 micrometer로 측정하여 도입국별 품종군 별로 검토한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약장은 1.1 mm(Akihikari)부터 3.0mm(IR43), 약폭은 0.5mm부터 0.75mm, 화계장은 가장 짧았던 3.3mm(Akihikari)부터 가장 긴 8.1mm(Z97B) 사이에 분포하였다. 2. 약장 및 화계장은 IRRI 품종 중에 긴 것이 많았고, 만주 품종 중에 짧은 것이 많았으며, 통일계 품종은 중간의 것이 많았다. 3. 약장과 화계장 간에는 상관 정도가 낮았고, 약장 및 화계장은 내외영장과 유의 상관이 있었다. 4. 약장이 긴 5개 품종과 화계장이 긴 9개 품종과의 관계를 원시한 결과 양 품종군이 분명히 구별되었으며 IR56과 같이 양 형질이 다 같이 큰 품종도있었다. 5. 개화에 따라 나타나는 각 형질들의 개화직전의 측정치와 개화직후의 측정치간에는 대체로 고도의 유의상관이 있었으며, 화계장만은 개화전과 개화후의 측정치간에 유의상관이 없었다.

  • PDF

비선형 간섭계를 이용한 광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부호기와 복호기 (Nonlinear fiber optic CDMA coder and decoder)

  • 정제명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1호
    • /
    • pp.53-59
    • /
    • 2000
  • 방송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통신망에서 사용 가능한 비선형 간섭계를 이용한 광 부호 분할 다중 접속 (Optical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을 위한 부호기와 복호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부호기와 복호기의 동작 원리는 광섬유 간섭계 내에서 두 개의 광신호가 같이 진행할 때 생기는 비선형 효과인 교차 위상 변조(cross phase modulation)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교차 위상 변조를 통해 WDM 결합기 위치 배열에 따라 임의의 광 펄스-시퀀스를 생성(generation)하고 상관(correlation)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동작 원리를 보이기 위해 기존의 레이저 및 광섬유로 구성되는 Sagnac 간섭계를 이요해서 기초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상관된 출력 값은 예상한 바와 같이 Incoherent 파워 중첩이 아니라 상관된 위상 값의 $sin^2$으로 중앙 첨두치 대 부엽의 위상 비는 2:1이나 출력 값은 3:1이었다.

  • PDF

한국 재래 산란계와 도입종 산란계의 육성 초기 성장 능력 비교 연구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between Korean Native Layer Chickens and Imported Layer Chickens at Early Rearing Stage)

  • 김영신;김재환;서상원;김현;변미정;김명직;김지성;이지웅;최성복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83-290
    • /
    • 2012
  • 본 시험은 한국 재래계와 도입종 산란계의 육성 초기 성장능력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계는 유전자원 관리기관에서 종란을 인수하여 부화시킨 암수 병아리 276 수를 이용하였으며, 한국 재래계 2 계통(A, B)과 도입종 산란계 3 계통(C, D, E)으로 총 5 계통의 수정률, 부화율, 육성단계별 체중, 증체량, 사료 요구율 등을 조사하였다. 수정률은 A, B, C, D 및 E계통에서 각각 93.88%, 81.75%, 82.25%, 79.25% 및 71.50% 이었고, 부화율은 5계통에서 각각 95.65%, 86.24%, 88.15%, 90.85% 및 88.11%로 나타났다. 육성률은 0~10 주령에서 A와 E계통에서는 98%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 D 계통은 86.67%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A계통은 육성단계별 체중에서 2주령부터 10주령까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전체 기간 동안에 가장 높은 증체량을 보였다(p<0.05). 정강이 길이는 D계통이 0주령에는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2주령부터 점차 증가하여 10주령에서는 $56.69{\pm}3.27mm$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A계통의 증체량과 정강이 길이 사이의 표현형 상관관계는 0~2주, 2~4주, 4~6주, 6~8주 및 8~10주령에서 각각 0.63, 0.70, 0.55, 0.50 및 0.46으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전 기간의 표현형 상관관계도 0.85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D계통의 증체량과 정강이 길이 사이의 표현형 상관관계도 0~2주, 2~4주, 4~6주, 6~8주 및 8~10주령에서 각각 0.73, 0.55, 0.54, 0.24 및 0.29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 기간의 표현형 상관관계도 0.78로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국 재래계의 종자 산업화를 위하여 육성 후기의 능력 및 산란율 등을 추가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타각적 조절 반응 평가의 임상 기술들의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techniques to assess objectively accommodative response)

  • 류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599-602
    • /
    • 2010
  • 조절반응의 평가는 옵토메트리 검사의 중요한 일부분이다. 본 연구는 조절반응의 타각적인 검사방법인 자동굴절계와 MEM 검영법 및 Nott 동적검영법으로 측정한 검사결과의 상관성과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19~29사이(평균나이 22.22${\pm}$2.43세)의 정상시력을 가진 27명의 대학생을 선정하여 4D(25cm)의 조절자극이 주어진 상태에서 자동굴절계(Shin-Nippon NVision-K 5001)와 MEM 검영법 및 Nott 동적검영법을 실시하여 조절 반응을 측정하였다. 4D의 조절자극에 대한 조절반응은 자동굴절계(Shin-Nippon NVision-K 5001) 3.70${\pm}$0.25D, MEM 검영법 3.58${\pm}$0.30D 그리고 Nott 동적검영법 3.77${\pm}$0.29D로 각각 측정되었다. 3가지 검사는 상호간에 높은 상관성이 있었다(p<0.05). MEM 검영법은 Nott 동적검영법보다 0.19${\pm}$0.13D 더 낮게 측정되었고(p<0.05), 자동굴절계(Shin-Nippon NVision-K 5001) 보다 0.12${\pm}$0.24D 더 낮게 측정되었다(p<0.05). Nott 동적검영법과 자동굴절계(Shin-Nippon NVision-K 5001)로 측정한 값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MEM 검영법으로 측정한 조절반응은 Nott 동적검영법이나 자동굴절계로 측정한 값보다 더 낮았다. 저자는 조절반응을 평가할 때, MEM 검영법을 제외한 Nott 동적검영법과 자동굴절계(Shin-Nippon NVision-K 5001)는 상호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PDF

가중적분법에 의한 반무한영역의 추계론적 유한요소해석 (Stoch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of Semi-infinite Domain by Weighted Integral Method)

  • 최창근;노혁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29-140
    • /
    • 1999
  • 추계론적 해석은 구조계 내의 해석인수에 존재하는 공간적 또는 시간적 임의성이 구조계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확률장은 구족계 내에서 특정한 확률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된다. 구조계 반응에 대한 이들 확률장의 영향 평가를 위하여 통계학적 추계론적 해석과 비통계학적 추계론적 해석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통계학적 추계론적 해석방법 중의 하나인 가중적분법을 제안하였다. 특히 구조계의 공간적 임의성이 큰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반무한영역에 대한 적용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반무한영역의 모델링에는 무한요소를 사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에 의한 해석 결과는 통계학적 방법인 몬테카를로 방법에 의한 결과와 비교되었다. 제안된 가중적분법은 자기상관함수를 사용하여 확률장을 고려하므로 무한영역의 고려에 따른 해석의 모호성을 제거할 수 있다. 제안방법과 몬테카를로 방법에 의한 결과는 상호 잘 일치하였으며 공분산 및 표준편차는 무한요소의 적용에 의하여 매우 개선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최근의 직업성 질환 105 -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 관절변형 및 퇴행성관절염

  • 김규상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249호
    • /
    • pp.19-32
    • /
    • 2009
  • 이 역학조사는 J피혁 토글 공정 근로자 중 일부에서 손가락 관절이 휘는 등 근골격계 질환 의심자가 발견되어 위 증상과 작업내용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노동부가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 역학조사를 의뢰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조사의 목적은 첫째로 역학조사 의뢰내용인 근골격계 질환 의심자의 작업과의 관련성 규명이며, 둘째로 근골격계 증상 조사와 진찰을 통해 근골격계 질환의 진단과 작업환경 개선안을 도출하며, 넷째로 대상 사업장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있다.

  • PDF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에서의 수종간(樹種間) 상관관계(相關關係)와 공변이관계(共變異關係)의 분석(分析) (Analysis of Inter-Species Association and Covariation in a Natural Deciduous Forest)

  • 김지홍;권기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360-368
    • /
    • 1991
  • 신갈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종(優占種)인 활엽수림(闊葉樹林)에서 출현하는 37가지 목본식물(木本植物)에 대한 수종간(樹種間) 상관(相關)(association) 관계(關係)와 공변이(共變異)(covariation) 관계(關係)를 $X^2$ 검정(檢定)을 이용하여 분석(分析)하였다. 50개의 $20m{\times}20m$ 정방형(正方形) 표본구내(標本區內)에서 각 수종(樹種)의 출현(出現) 비출현(非出現)이 매개변수(媒介變數)가 되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 단풍나무는 고로쇠나무 및 음나무와 고도(高度)(${\alpha}$=0.01)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갖고 있으나, 소나무와는 고도(高度)의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갖고 있었다. 졸참나무와 음나무, 참회나무와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와 다릅나무, 다릅나무와 산벚나무, 그리고 생강나무와 느릅나무는 상호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수종(樹種)의 밀도(密度)와 흉고단면적(胸高斷面積)으로 비교된 공변이(共變異)의 분석(分析) 결과는 상관관계(相關關係)와 매우 부합되는 바가 많았다. 더우기 표본구(標本區)에 생존(生存)하는 수종(樹種)의 개체수(個體數)와 흉고단면적(胸高斷面積)이 매개변수(媒介變數)가 됨으로써 상관관계(相關關係)보다는 공변이관계(共變異關係)를 맺고있는 수종(樹種)들의 쌍(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천이(遷移)의 초기(初期) 혹은 중반단계(中盤段階) 수종(樹種)인 소나무는 대부분의 천이(遷移) 후기(後期) 수종(樹種) 혹은 극성상(極盛相) 수종(樹種)들과 부(負)의 공변이관계(共變異關係)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생태학적(生態學的)인 정보(情報)들은 생태계(生態界) 분류(分類), 활엽수(闊葉樹) 혼효림(混淆林) 조성(造成), 그리고 미래목 선정등의 보육(保育)작업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고저항 전도체의 전기기계적 상관작용과 작용응력 예측이 가능한 긴장재의 제안 (Electromechanical Relation of Conductive Materials with High Electrical Resistance and Its Application to the Estimation of In_situ Stress of Structural Tendons)

  • 지광습;전기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2A호
    • /
    • pp.363-370
    • /
    • 2006
  •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에 현재 작용하고 있는 응력을 계측하는 방법으로서 고저항 전도체의 전기기계적 상관작용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사용 고저항 전도체를 선택하기 위해 탄소섬유와 금속계 열선의 특성을 일반적인 응력제어와는 달리 변형률제어를 통해 실험적으로 연구했다. 탄소섬유의 경우 변형 초기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포물선 형태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재하-제하시 상관관계의 기울기가 일정하지 않아서 본 목적에는 부합하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속계 열선은 거의 전 구간에서 탄성 재하, 제하 및 재재하시 일정한 선형 상관계수를 보여 본 목적에 매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속계열선의 전기기계적 상관관계를 예측하기 위해 완전소성론에 기초한 간단한 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금속계 열선을 이용한 긴장력 측정이 가능한 긴장재를 최초로 제안했다. 본 연구의 부수적인 결과로서 함침되지 않은 탄소섬유의 경우, 특정 변형률 이후 추가 변형에 대해 거의 선형적인 전기기계적 상관관계를 갖는 새로운 경향을 발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