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첨판막 수술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19초

삼첨판막에 국한된 심내막염 환자의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Surgical Management of Tricuswpid Valve Endocarditis)

  • 김준현;서동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55-58
    • /
    • 1998
  • 삼첨판막 심내막염 환자에 있어서 항생제에 반응않거나 심부전이 심할 경우 수술적 치료가 권고된다. 그러나 특히 약물중독 환자에서 조기 인조판막 심내막염의 발생의 위험이 치료에 있어서 주요한 관심사이다. 37세 남자 환자에서 삼첨판막 심내막염으로 일차적으로 삼첨판막 절제 후 이차적으로 생체판막을 거치한 단계적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심장 자상 후에 발생된 삼첨판막 폐쇄부전의 삼첨판막 성형술 - 1예 보고 - (Tricuspid Valve Repair for Tricuspid Valve Insufficiency Following a Cardiac Stab Injury - One case report -)

  • 김동현;이승진;이철세;이길노;이석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5호
    • /
    • pp.376-379
    • /
    • 2007
  • 51세 환자가 3개월 전에 심장 자상으로 본원에 입원하여 심장봉합수술을 받았다. 이후 별다른 소견 없이 지내다가 약 2개월 전부터 발생된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심장초음파상 심한 삼첨판막 페쇄부전이 관찰되었으며 삼첨판막의 건삭치환술과 판윤 성형술을 실시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심장 자상 후에 발생된 삼첨판막 폐쇄부전을 판막성형술로 치료하였기에 증례보고를 하는 바이다.

삼첨판막절개아 심실중격결손증의 수술 이후의 삼첨판막의 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f Electrocardiographic Change and Tricuspid Competence after Temporary Detachment for Closur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 정성운;박준호;김종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9호
    • /
    • pp.633-637
    • /
    • 2003
  • 일시적인 삼첨판 절개법은 좋은 시야를 제공하고 심실을 열지 않고 심실중격결손의 폐쇄수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외과의는 삼첨판막의 폐쇄부전의 염려로 주저하게 된다. 특히 최근의 교과서에서는 일시적인 삼첨판 절개법은 장기성적의 발표가 예외적인 방법으로만 기술되어 있고 더 이상의 분석이나 기술이 되어 있지 않다. 대상 및 방법: 1985년부터 1994년까지 수술받은 11명으로부터 술 전의 자료, 술 후 경과, 최근 심초음파와 심전도를 토대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심초음파에서 삼첨판폐쇄부전은 없는 경우가 9명, 미세한(trivial) 경우가 2명이었고, 심전도상 의미있는 심전도블록은 없었다. 결론: 삼첨판 절개법은 심실중격결손의 폐쇄수술을 시행하는 데 안전하며 향상된 시야를 제공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며, 삼첨판 이상이나 심전도상에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Ebstein 기형 교정의 변형 술식 (A Modified Technique in Surgical Correction of Ebstein Anomaly)

  • 윤석원;윤태진;박정준;서동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11호
    • /
    • pp.817-821
    • /
    • 2002
  • Ebstein기형은 수술적 교정을 위한 여러 가지 변형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지만 수술 후 잔존하는 삼첨판막 역류와 우심부전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본원에서는 심방조동이 동반된 Ebstein기형을 가지고 있는 19세의 남자 환자에 있어서 주름 성형술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삼첨판막 성형술을 시행하였고 양 방향성 상대정맥 -폐동맥 단락술 및 하대정맥 삼첨판 협부의 냉동절제 등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문헌고찰과 더불어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Cone 재건술을 이용한 엡스타인 기형의 삼첨판막 성형술 - 1예 보고 - (Cone Reconstruction for Tricuspid Valve Repair in a Patient with Ebstein's Anomaly - A case report -)

  • 이철;곽재건;이창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509-512
    • /
    • 2009
  • 엡스타인 기형은 다양한 형태의 삼첨판막 및 우심실의 이상을 나타내는 선천성 심기형이다. 동반되는 삼첨판막의 역류를 교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성형술식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은 전염만을 이용한 단일판막화 술식이다. 저자들은 엡스타인 기형을 가진 31세 여자 환자에게 세개의 판막엽들을 모두 이용하는 cone 재건술로 삼첨판막 성형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엡스타인 기형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조기 및 중기 결과 (Early and Mid-term Results for Repair of Ebstein's Anomaly)

  • 이창하;황성욱;임홍국;김웅한;김종환;이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4호
    • /
    • pp.284-29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엡스타인 기형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조기 및 중기 성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총 2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심 연령은 11.4세(4일$\~$50세)이었다. Grade 3 이상의 삼첨판막 폐쇄부전을 동반한 환자는 21명$(72.4\%)$이었다. 수술 방법은 삼첨판막 성형술 및 주름성형술 14예, Carpentier성형술 7예, 삼첨판막 치환술 4예, 체폐동맥 단락술 2예, 삼첨판막 성형술 1예, Fontan수술 1예이었으며,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이 5예에서 추가적으로 시행되었다. 신생아기에 수술을 받은 2명 중 1명은 양심실 교정을 받았고, 또 다른 1명은 체폐동맥 단락술을 시행 받았다. 조기 사망례를 제외한 28명의 환자들 중 21명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으며$(75\%)$, 평균 추적기간은 37.6개월(3개월$\~$11.3년)이었다. 결론: 1명$(3.4\%)$의 조기 사망과 1명의 만기 사망이 발생하였다. 4명의 환자들에서 재수술이 시행되었다. 2명은 삼첨판막 재치환술을 시행 받았고, 2명은 삼첨판막 재성형술을 받았다.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1명의 환자중 grade 3 이상의 삼첨판막 폐쇄부전을 보인 환자는 2명이었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현저한 증상의 개선을 보였다. 삼첨판막 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을 제외하고 Kaplan-Meier 방법으로 산출한 삼첨판막과 관련한 재수술이 없을 확률은 1년 및 5년에 각각 $94.7\%,\;79.0\%$이었다. 결론: 대부분의 환자에서 판막 성형술이 가능하였으며, 이의 중기 성적은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장기간의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현저한 증상 및 혈역학적 개선을 보였다. 다섯 명의 환자들$(17\%)$에서 양방향성 상대정맥-폐동맥 단락술이 시행되었으며, 이의 적응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및 추적 관찰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중심정맥 협착 환자에서 우측 쇄골하정맥에 삽입한 스텐트의 우심실 이동으로 인한 삼첨판막 폐쇄부전 치험 (Tricuspid Valve Insufficiency due to Intracardiac Migration of a Stent Inserted into Rt. Subclavian Vein to the Right Ventricle after the Treatment of Central Venous Stenosis)

  • 조성호;조성래;박억숭;김종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739-742
    • /
    • 2010
  • 투석중인 40세의 만성 신부전 환자가 우측 쇄골하정맥 협착증으로 지역병원에서 2개의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경과 관찰 중 한 개의 스텐트가 우심실로 이동하면서 삼첨판막 폐쇄부전이 발생하였다. 경피적으로 스텐트 제거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여 개흉 성장수술로 제거하면서 삼첨판막 성형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재수술 시 우측 개흉을 통한 삼첨판막 치환술 -1예 보고 (Tricuspid Replacement through Right Thoracotomy in Reoperation - A case report -)

  • 김혁;한산웅;정원상;강정호;전순호;이철범;김영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0호
    • /
    • pp.714-716
    • /
    • 2005
  • 우측심장이 매우 확장되어 있는 경우 정중흉골 재절개는 대량출혈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일차 수술에서 정중흉골절개를 통하여 수술했던 환자에서 우측개흉은 삼첨판막에 쉽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다.

기능성 삼첨판막부전증에 대한 삼첨판후판륜주름술(Davila Technique)의 중장기결과 (Mid-term and Long-term Outcomes of Posterior Plication Annuloplasty(Modified Davila Annuloplasty) for Functional Tricuspid Regurgitation)

  • 이미경;김종헌;김민호;조중구;최종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80-585
    • /
    • 2008
  • 배경: 기능성 삼첨판막부전증의 수술치료에 여러 방법의 판륜성형술이 이용된다. 저자들은 기능성 삼첨판막부전증에 삼첨판후판륜주름술(posterior annular plication technique; Davits technique)을 이용하고 그 중장기결과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6년 8월까지 기능성 삼첨판부 전정도가 2도(판막부전 범위, $1{\sim}4$도) 이상이거나 판막부전증이 2도 미만이더라도 삼첨판판륜이 직경 5.0cm 이상으로 늘어난 58예의 성인환자들(남, 22예; 여, 36예)에서 후판륜주름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26예(44.9%)가 3도 이상의 기능성 삼첨판부전증을 가지고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승모판막치환술이 시행되었고 이 중 20예(34.5%)는 대동맥판막치환술도 같이 시행되었다. 결과: $101.4{\pm}51.6$개월의 추적기간 동안에 기능성 삼첨판막부전증은 28예(49.1%)에서 거의 완전히 소실되거나 흔적만 보였고, 8예(14.0%)에서 2도 이상 3도 미만을 보였으며, 2예(3.5%)에서는 3도의 삼첨판막부전을 보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삼첨판막 부전정도는 평균 $2.66{\pm}0.73$에서 $0.82{\pm}0.89$로 호전되었다(p<0.0001). 삼첨판막에 대한 재수술이나 판막부전 정도가 수술 전보다 더 악화된 예는 없었다. 결론: 기능성 삼첨판막부전증에 대한 변형식 Davila 후판륜주름술은 의의 있는 중장기적 결과를 보였으며 유용한 수술방법으로 생각된다.

흉부외상후 발생한 삼첨판막 역류증에 있어서 새로운 건삭형성 및 판막링을 이용한 판막성형술 - 1례보고 - (Severe Tricuspid Regurgitation Following Blunt Chest Trauma : Successful Repair by PTFE Chordal Replacement and Ring Annuloptasty)

  • 원태희;원용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33-536
    • /
    • 1997
  • 이화여자대학교 흉부외과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흉부둔상에 의한 삼첨판막 역류증 환자에 있어서 mE를 사용하여 새로운 건삭을 만들어 주고 판막링을 이용하여 판막륜 성형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3층 높이의 건물에서 떨어져서 응급실을 방문했으며 심에코 검사상 전유두근의 파열에 의한 심한 삼 첨판막 역류증의 소견을 보였으나 증상이 경미하여 퇴원하였다. 그러나 호흡곤란 및 심비대가 증가하여 외 상후 4개월에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후 시행한 심에코상 삼첨판막 역류증은 보이지 않았고 호흡곤란도 사라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