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삼중수소

Search Result 237, Processing Time 0.06 seconds

A Study on Groundwater Age Dating Methods Using Tritium (삼중수소를 이용한 지하수 연령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 오진석;김선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2 no.2
    • /
    • pp.49-57
    • /
    • 1995
  • Areas of Chungyang in Chungcheongnamdo, Cheju island and Georgia in U.S.A. were selected to calculate their groundwater ages and dispersion parameters using tritium. Piston flow model, Completely mixing model and Dispersion binomial model which calculate men residence times, and Dispersion normal model and Dispersion model(C$\_$FF) which calculate mean residence times and dispersion parameters simultaneously were applied. Since the input data, tritium concentrations of rainwaters, lack in part, tritium input function was prepared using the correlation of tritium concentrations of rainwaters of Pohang, Korea and Ottawa, Canada. Similar results of PFM and DBM reflect the intrinsical similarity of two models, assumption of low dispersion. The ages of sites of showing relatively higher tritium concentrations than other sites in the sam, region were not calculated by CMM. Since the calculations of DNM and DM(C$\_$FF/) provide the combination of wide ranges of parameters and groundwater ages, the ranges of dispersion parameters were narrowed down under the assumption that ages calculated by PFM and DBM are correct. Since large variation of tritium concentrations of outflows in a same region may reflec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ach groundwater flow regime, using only one specific model on a whole region is not recommended.

  • PDF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수소동위원소 분리기술

  • 김광락;구제휴;나정원;정흥석;성기웅;김용익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8 no.1
    • /
    • pp.93-101
    • /
    • 1996
  • 수소동위원소의 실험과 취급 및 삼중수소 제거시설의 운용이나 더 나아가서 핵융합소재의 관리기술을 위해서는 수소동위원소분만 아니라 그들의 이성질체들에 대한 정성 및 정량분석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이 중요한 분석수단으로 활용되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순도 $H_2및$ $D_2의$ 수소동위원소 기체를 대상으로 하고 상용의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기를 사용하여 분리컬럼 분위기를 액체질소온도로 유지하고 헬륨 케리어기체를 특별제작된 진공-시료주입장치를 통해 펄스주입하여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실험을 수행하였다. 10%함량의 염화망간으로 부분 비활성화 시킨 산화알루미늄을 고정상으로 선정하여 이성질체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었으며 흡착후 분리용리시간이 단축된 비교적 좋은 수소동위원소 분리조건을 실증하므로서, 저농도 수소동위원소의 정량분석과 고순도 수소동위원소의 분리 및 농축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 PDF

Analysis of Parameters for the Off-Site Dose Calculation Due to HTO, oBT, and Radioactive Carbon Ingestion (국내 원자력발전소 주변 삼중수소 및 $^14C$ 섭취선량 평가 경로인자 분석)

  • 이갑복;정양근;방선영;엄희문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361-367
    • /
    • 2004
  • For assessment of tritium and radiocarbon ingestion dose to off site individuals, water, hydrogen, and carbon content of main farm produce of Korea were investigated to replace the existing data in K-DOSE60, the Offsite Dose Calculation Manual (ODCM) of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KHNP). Main items and weighting factors of farm produce were determined with the nationwide food intake data in 2001, 2002. Main farm produce were sampled around Kori, Wolsong, Ulchin, Younggwang nuclear power sites, Content of each produce was multiplied by weighting factor and summed up to make the weighted mean group value For grains, water, hydrogen, and carbon conten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ata currently used in K-DOSE60, but root vegetables had 3.5 times more hydrogen, and leafy vegetables and fruits had 0.7∼1.3 times more or less water, hydrogen, and carbon contents than K-DOSE60.

  • PDF

튜브형 촉매탑을 이용한 수소 동위원소 분리

  • 손순환;송규민;김광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433-438
    • /
    • 1998
  • 수소와 물 사이의 촉매교환공정은 중수 생산 및 삼중수소 분리를 위해 개발되어 왔다. 국산 소수성 촉매를 이용하여 새로운 튜브형 촉매탑을 고안하고, 수소와 물 사이의 수소 동위원소 분리를 실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국산 소수성 측매는 Styrene Divinyl Benzene Copolymer 담체에 백금을 담지한 촉매로써, 모양은 실린더형이며, 직경이 4mm이다. 촉매 작용을 하지 않는 충전물은 wire mesh ring(3mmx3mm)이고, 튜브는 PCI사 membrane(PVDF)이다. 촉매합의 직경은 2.5cm, 높이는 35cm였고, 온도는 333k, 압력은 0.1MPa였다. 기상 촉매반응만 시켰을 때 촉매탑이 정상상태에 도달되는데 약 3-5시간이 필요했으며, 액체 흐름이 있는 경우가 훨씬 짧았다. 촉매탑의 분리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소 동위원소 분리실험에서 얻은 기체 농도를 이용하여 물질전달계수(Kya)를 계산하였다. Kya는 0.2-0.5 sec$^{-1}$였으며, 액체와 기체 유속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 PDF

숫자로 보는 KSTAR - KSTAR 실험환경

  • 국가핵융합연구소 편집실
    • 핵융합뉴스레터
    • /
    • s.46
    • /
    • pp.26-26
    • /
    • 2010
  • 지구상에서 태양과 같이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비슷한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원자핵들이 서로 반발하는 핵력을 이기고 핵융합 반응을 인공적으로 유지시켜주기 위해서는 연료인 중수소와 중수소(또는 삼중수소)를 플라즈마 상태로 만들어 입자들의 에너지를 높여주고 자기장에 의해 이 플라즈마를 가두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