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중수소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47초

삼중수소 검출용 광섬유 방사선 센서의 제작 및 특성분석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iber-optic Radiation Sensor for Detection of Tritium)

  • 장경원;조동현;유욱재;이봉수;문주현;박병기;조영호;김신
    • 한국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1-20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무기섬광체와 광섬유를 이용하여 삼중수소 검출용 광섬유 방사선 센서를 제작하였다. 무기섬광체 선택을 위해 $Gd_2O_2S$ : Tb, $Y_3Al_5O_{12}$ : Ce, CsI : Tl을 이용하여 센서팁을 제작한 후, 금속 수소화물 형태의 삼중수소를 이용하여 섬광효율이 가장 좋은 섬광체를 선별하였다. 또한 선정된 섬광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센서를 이용하여 삼중수소 선원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섬광량을 계측하였고 선원의 방사능 세기에 따른 섬광량을 측정하여 표면 방사능 모니터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트리튬($^{3}H$)의 단일(單一) 및 만성섭취(晩性攝取)에 대한 한국인(韓國人)의 내부피복(內部被曝) 선량(線量) 계산(計算) (Calculation of Internal Exposure Dose in Korean Man Resulting from Single and Chronic Intake of Tritium)

  • 김장렬;육종철;하정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8-14
    • /
    • 1983
  • 삼중수소의 단일 피폭과 만성피폭에 의한 한국인의 내부피복 선량을 삼단계형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 모델은 체내수분과 조직체 사이의 삼중 수소의 축적량을 잘 나타내 주는 것이다. 그 결과 삼단계형의 축적 반감기 9, 30과 450일을 사용한 단일 피폭의 총 선량은 1mCi/kg 섭취당 17.64mrad였고 이것의 97%는 체내수분에 있는 삼중수소에 의한 선량이고 나머지 3%는 조직내 삼중수소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1 mCi/day의 삼중 수소를 섭취하는 만성 피폭의 경우, 총 선량은 85.5mrad/day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 대한 최대허용 농도값을 선질계수 1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ICRP의 최대허용 농도값은 약 50%가량 낮게 평가되었으므로 한국인의 최대허용 농도값은 ICRP의 결과보다 약 50%높게 책정되어야만 한다.

  • PDF

삼중수소의 환경방출에 따른 주민선량 규제모델의 비교 (Comparison of the Regulatory Models Assessing Off-Site Radiological Dose due to the Routine Releases of Tritium)

  • 황원태;김은한;한문희;최용호;이한수;이창우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5-133
    • /
    • 2005
  • 삼중수소의 환경방출에 따른 주민선량의 규제이행을 위해 개발된 NEWTRIT모델, AIRDOS-EPA 모델, NRC 모델의 평가 방법을 고찰하고, 활용 가능한 국내 특성자료를 사용하여 예측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들 모델 중에서 가장 최근에 개발된 NEWTRIT 모델만이 tritiated water (HTO) 방출에 따른 organically bounded tritium (OBT)의 영향을 고려한다. 평가결과 삼중수소의 환경방출로 인해 모든 가능한 경로로부터 받게 되는 총 피폭선량은 AIRDOS-EPA 모델의 예측결과가 NEWTRIT모델과 NRC모델에 비해 각각 1.03배, 2.46배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NRC모델로 예측되는 피폭선량이 실제 주변주민이 받을 수 있는 피폭선량을 과소평가할수 있다고 이해해서는 안될 것이다. 왜냐하면 삼중수소의 환경내 거동에 대한 불확실성은 매우 크기 때문에 규제이행을 위한 수학적 모델과 관련 변수 값은 극히 보수적 가정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NEWIRIT 모델로 예측된 식품섭취에 의한 피폭선량에서 우리나라의 주식인 곡류의 상대적으로 많은 섭취로 OBT는 HTO와 거의 대둥한 수준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삼중수소의 환경방출에 따른 총 피폭선량에서 NRETRIT 모델은 AIRDOS-EPA 모델과 유사한 예측결과를 나타내지만, NEWTRIT 모델은 식품섭취에 따른 OBT의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환경으로 방출된 HTO 거동의 현상적 이해 둥에 있어서 보다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삼중수소의 환경방출에 따른 주민선량 규제모델의 비교 (Comparison of the Regulatory Models Assessing Off-Site Radiological Dose due to the Routine Releases of Tritium)

  • 황원태;김은한;한문희;최용호;이한수;이창우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464-473
    • /
    • 2005
  • 삼중수소의 환경방출에 따른 주민선량의 규제이행을 위해 개발된 NEWTRIT 모델, AIRDOS-EPA 모델, NRC 모델의 평가 방법을 고찰하고, 활용 가능한 국내 특성자료를 사용하여 예측결과를 비교하였다. 이들 모델 중에서 가장 최근에 개발된 NEWTRIT 모델만이 tritiated water (HTO) 방출에 따른 organically bounded tritium (OBT)의 영향을 고려한다. 평가결과 삼중수소의 환경방출로 인해 모든 가능한 경로로부터 받게 되는 총 피폭선량은 AIRDOS-EPA 모델의 예측결과가 NEWTRIT 모델과 NRC 모델에 비해 각각 1.03배, 2.46배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NRC 모델로 예측되는 피폭선량이 실제 주변주민이 받을 수 있는 피폭선량을 과소 평가할 수 있다고 이해해서는 안될 것이다. 왜냐하면 삼중수소의 환경내 거동에 대한 불확실성은 매우 크기 때문에 규제이행을 위한 수학적 모델과 관련 변수 값은 극히 보수적 가정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NEWTRIT 모델로 예측된 식품섭취에 의한 피폭선량에서 우리나라의 주식인 곡류의 상대적으로 많은 섭취로 OBT는 HTO와 거의 대둥한 수준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삼중수소의 환경방출에 따른 총 피폭선량에서 NEWTRIT 모델은 AIRDOS-EPA 모델과 유사한 예측결과를 나타내지만, NEWTRIT 모델은 식품섭취에 따른 OBT의 영향을 고려함으로써 환경으로 방출된 HTO 거동의 현상적 이해 등에 있어서 보다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실시간 삼중수소 검출을 위한 단위 양성자 교환 막 전기분해 기초연구 (Fundamental Study of Unit Proton Exchange Membrane Electrolysis for Realtime Detection of Tritium)

  • 채종민;유상석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226-234
    • /
    • 2018
  • Even though the nuclear power plants has many advantages, safety issues of nuclear power plants are crucial factors of reliable operation. A tritium detector is a useful sensor to analyze amount of exposed radiation from the nuclear power plants. Currently, concentration of underwater tritium is measured precisely but it takes very long time. Since electrolysis is extracted hydrogen from the coolant of nuclear power plant, it can motivate to develop new type of real-time sensor. In this study, Proton Exchange Membrane (PEM) electrolyzer is studied for candidate as preprocessor of real-time tritium detector. Characteristics of the unit PEM electrolyzer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A simulation model is developed to understand physical behavior of unit PEM electrolyzer under dynamic operation.

Membrane을 이용한 삼중수소 제거 촉매탑 설계

  • 김광신;손순환;송규민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427-432
    • /
    • 1998
  • 중수속의 삼중수소 제거 공정인 액상 촉매 교환 반응에서 중수의 촉매 표면 응축에 의한 성능 저하가 큰 문제의 하나로서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촉매탑이 고안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membrane을 사용하여 중수와 촉매를 분리시킴으로써 촉매 성능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촉매탑의 설계를 시도하였다. 세 가지 촉매탑이 고안되었는데 sheet type의 membrane을 사용한 multilayered type 과 double spiral type, hollow fiber membrane을 사용한 hollow fiber cartridge type 등이다. multilayered type은 구조가 단순하여 scale-up이 용이하고 double spiral type은 다른 type보다 유로의 blocking 문제가 작고 hollow fiber cartridge type은 최대의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 PDF

삼중수소 제거를 위한 다공성 고분자촉매 담체의 제조 특성

  • 강희석;이한수;정흥석;안도희;손순환;정양근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3)
    • /
    • pp.435-440
    • /
    • 1996
  • 삼중수소 제거 공정에 이용되는 소수성 고분자촉매의 담체인 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의 제조 특성을 실험하였다. 스티렌-디비닐벤젠 고분자담체의 제조시 담체의 표면 특성에 대한 중합용액의 안정화 영향을 실험한 결과 약 40~55$^{\circ}C$의 범위에서 2시간 이상 용액을 안정화 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또한 후처리 방법은 담체를 건조시키기 전에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우수한 기공 특성을 나타내었다. 담체의 입자 크기는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낮을수록 더 크게 생성되었지만 용액의 점도가 증가하면 계면활성제의 영향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꾸찌법을 이용한 자체 발광 유리관용 형광체 열화 특성 (Degradation Characteristics Phosphor Used in Self-Luminous Glass Tube with Taguchi Method)

  • 김경화;윤문영;권오환;염충섭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77-382
    • /
    • 2003
  • 본 연구의 대상인 자체발광 유리관은 밀봉된 유리관 내의 삼중수소에서 방출되는 베타입자와 유리관 내벽의 형광체와의 발광반응 메카니즘을 이용한 것이다. 자발광체는 삼중수소의 자연 붕괴와 형광체의 열화에 의해서 형광 효율이 감소되어 자발광체를 제조한 날로부터 지속적으로 휘도가 줄어들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발광체 제조 시 형광체의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형광체 열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온도, 온도 유지 시간, 공정 시 필요한 분위기를 다꾸지 방법에 의한 실험계획법으로 3인자 3수준의 교호작용을 고려하여 형광체의 음극선 발광 특성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