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삶의 질 개선

Search Result 49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tudy of the Influence of a Park Project within Unpleasant Facilities on Residents'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 - Targeting Maru Park (Tancheon Sewage Treatment Center) - (혐오시설 공원화에 따른 주민만족도가 커뮤니티 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마루공원(탄천 물 재생센터)을 대상으로 -)

  • Choi, Bong-Soo;Cho, Yeong-Eun;Kang, Eun-Jee;Kim, Yong-Ge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2 no.6
    • /
    • pp.39-49
    • /
    • 2014
  • Unpleasant facilities have been unwelcomed by residents within the region since they are considered to negatively influence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region. Yet recently, a park project within these unpleasant facility areas has begun to improve the negative impression of the region and th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has been shown to be very high. Also a park project within unpleasant facilities is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mmunity, including resolving conflicts and building mutual friendships among residents by creating pleasant living condition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ark project within unpleasant facilities changes the satisfaction level of local residents and affects the sense of community. In order to do so, surveys were given to visitors of Seoul Maru Park, which was turned into a park from a sewage treatment cente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fter the sewage treatment center was recreated as Maru Park, citizen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very high. The sense of community that the visitors feel was found to be high in general, but the 'sense of connection and neighbor bonds' turned out to be lower compared to the 'sense of settlement and belonging.'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visitor satisfaction on the sense of community. As a result, in the division of 'sense of settlement and belonging,' the satisfaction with ecological health was affected the most, followed by satisfaction with scenic beauty, whereas satisfaction with cleanness had no influence. In the division of 'sense of connection and neighbor bond,' none of the satisfaction with cleanness, ecological health and scenic beauty showed any influence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 a park project within unpleasant facilities bring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ense of settlement and belonging,' yet in order to improve the 'sense of connection and neighbor bond,' which is not influenced by the project, the adequate facilities and activity program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to change the residents' of sense of community.

A Study on the Legisl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its Application - The Indian Companies Act 2013 - (기업의 사회적 책임 입법과 적용에 대한 고찰 -인도 회사법 개정과 적용 경험을 중심으로-)

  • Kim, Bong-chul;Park, Jong-ho
    • Journal of Legislation Research
    • /
    • no.53
    • /
    • pp.455-489
    • /
    • 2017
  • The new system o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in the Indian Companies Act became overnight sensation to the worldwide. However there has been very few studies which are analyzing a purpose of it under the context of Indian societies. This paper examines the circumstance whether the CSR activities is functioning well or not. And verifying problems regarding it and suggesting supportive measures are a target of this paper. Though Indian government already established CSR legislation, they did not stipulate the penalty clause. And that became why corporations were poorly perform on CSR activities in first year of enforcement. Furthermore, There is a proclivity that corporations lack an understanding for which activities could be recognized into the CSR. And they excused that they had no time for themselves to adjust an abruptly changing business landscape. With all, unlike rosy expectations, corporations only showed little interests to the area where the investment or attentions from the media are expected. Fortunately, incumbent legislative is fully aware of it and exploit their best resources to various social fields. Despite the doubts that they originally did not have any intention to introduce the penalty clause, they are handling problems in ways that corporations can be invited in public programs. They also need to request the service sectors to take a leading role of it, which could provide the financial, or telecommunication service to the people in rural province. Thus, the fact that there was a substantial rise in terms of the amount of CSR expenses in 2015 provides a supporting evidence to the endeavors of the government. In doing so, we could finally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wo-fold goals shown in this paper; maturing settlement of this legislation and development of Indian society.

Effect of Aprepitant in Patient with Gastroparesis and Related Disorders (위마비증과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 환자에서 Aprepitant의 효과)

  • Jung, Kyoungwon;Park, Moo In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
    • v.72 no.6
    • /
    • pp.325-328
    • /
    • 2018
  • 위마비증(gastroparesis)이나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chronic unexplained nausea and vomiting)으로 인한 구역과 구토에 대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장관 촉진제에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고, 여러 부작용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본 연구는 위마비증이나 연관 증후군 환자에서 구역과 구토 증상을 줄이기 위한 aprepitant(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일반적인 치료에 불응성 위마비증 환자에서 새로운 약제 사용을 시도해볼 수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본 Aprepitant for the Relief of Nausea (APRON) 연구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기 위하여 최근 2년 이내 위내시경이 정상이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 식후 만복감(postprandial fullness), 팽만감(bloating) 그리고 명치부 통증(epigastric pain)을 유발하는 증상과 함께 만성적인 구역이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 중 4시간의 위배출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관적인 지표로 0점에서 45점까지 보이는 9-증상 Gastroparesis Cardinal Symptom Index(GCSI)가 2주 이상 총 21점 이상이며, 0-100 mm의 visual analog scale (VAS)의 7일간의 구역 증상 평균 25 mm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주일에 3일 이상 narcotics를 사용하였거나 와파린이나 pimozide, terfenadien, astemizole, cisapride를 복용하였던 환자, 2배 이상으로 간 효소 수치상승을 보이거나 Child-Pugh score 10점 이상, aprepitant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그렇지만 metoclopramide나 erythromycin을 안정적으로 사용 중인 환자는 제외되지 않았다. 위배출 검사는 2시간에서 60% 이상 남아 있거나 4시간에서 10% 이상 남아 있는 경우에 지연된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지연된 위배출 검사 결과 자체는 환자의 등록 기준에 포함되진 않았다. 등록 기준에 포함된 환자는 1:1로 무작위 배정되어 하루 한 번 125 mg의 aprepitant 복용군과 위약군으로 나누어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약제 복용 4주간 2주 간격으로, 그리고 복용 후 2주 뒤까지 구역 증상의 호전 정도와 약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환자가 방문하는 동안 GCSI를 포함한 Patient Assessment of Upper GI Symptoms (PAGI-SYM),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daily VAS,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 그리고 정신 측정 도구와 삶의 질 도구인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15와 Short Form 36 version이 측정되었다. 구역에 대한 aprepitant와 위약의 치료 효과의 일차적 판정은 이전 항암 요법에 대한 aprepitant 연구와 같이 28일 평균 VAS 25 mm 미만이거나 치료 전 7일간의 VAS와 비교하여 28일 치료 기간 동안 25 mm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이차 결과는 구역의 매일 시간, 치료 중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PAGI-SYM score의 개선 등으로 확인하였다. 2013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26명의 환자가 등록되어 aprepitant군 63명, 위약군 63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전체의 57%인 72명에서 위배출 지연이 보였으며, 나머지 43%에서는 정상 또는 빠른 위배출 소견을 보여 만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구역과 구토에 포함된 환자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9%에서 당뇨를 가지고 있었으며, 8%에서 수면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aprepitant군은 59명, 위약군은 63명이 연구를 끝까지 종료하였다. 일차 결과에서 aprepitant 군 46%, 위약군 40%의 구역 호전을 보여 두 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상대 위험도 1.2, 95% CI: 0.8-1.7; p=0.43). 그러나 일차 분석의 두 가지 척도(28일 평균 VAS 25 mm 미만과 기저 VAS보다 평균 28일 VAS의 25 mm 이상 감소)를 모두 함께 고려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aprepitant군이 37% (22/59)로 위약군의 17%(11/63)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구역의 호전을 보였다(상대 위험도 2.1, 95% CI: 1.1-4.1; p=0.01). 또한 이차 분석을 살펴보면 aprepitant군에서 PAGI-SYM 중증도 지수로 확인하였을 때, 구역(1.8 vs. 1.0; p=0.005)과 구토(1.6 vs. 0.5; p=0.001)의 중증도 및 매일 구역 시간의 감소를 보였고, 28일 동안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증가 소견을 보였다. 다른 이차 결과 분석에서 aprepitant군이 PAGI-SYM 중증도 지수의 GCSI 종합 점수(1.3 vs. 0.7; p=0.001), 상당한 증상호전, 구역 구토의 세부 점수, 팽만감 세부 점수 그리고 위식도 역류 증상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고, 매일 일기로 표현한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에 상복부 통증 중증도, 전체 증상 그리고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의 종합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다. 연구 중 발생한 부작용은 주로 경증과 중등도 정도의 부작용이 주로 발생하였지만, aprepitant군(35% vs. 17% 위약군, p=0.04)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위마비증 또는 위마비증 유사 증후군으로 인한 만성 구역 및 구토 환자의 무작위 시험에서 aprepitant는 VAS 점수를 통한 주요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는 구역의 중증도를 호전시키지 못하였지만 다른 이차적 결과에 대해서는 위약군에 대하여 호전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aprepitant에 효과적인 반응을 보이는 위마비증 환자를 감별하는 추가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terminants of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Elderly Households (고령자 가구의 소비특성 및 소비패턴 결정요인)

  • Kim, Jinhun
    • 한국노년학
    • /
    • v.36 no.3
    • /
    • pp.905-926
    • /
    • 2016
  • Although the concept of the elderly varies depending on scholars and laws, as consumption expenditure is deeply associated with income due to the nature of this study, 55 years old was set as the low limit standard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on Age in Employment and Employment Promotion for the Aged Act and the elderly households were limited to single-elderly person household and an elderly couple family household for this study. It is considered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s a significant analysis subject in terms of social welfare because it could be understood as an expressed need which was a reflection of desir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households by stereotyping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derly households, and find the determining factors for consumption patterns and thus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policies through the expressed needs of the elderly households. K-means of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by putting the consumption expenditure of the elderly households to investigate inherent structural type of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derly households, which were the investigation subjects. As a result, four groups were stereotyped and named as below: 'health care-centered type', 'saving-centered type', 'livelihood-centered type', and 'food expenses-centered typ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cision of consumption pattern of the elderly households.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the elderly households faced all different needs and problems and thus there is a need for various approach plans to solve this situation. In particular, although the elderly have been viewed as economically poor people so far,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also kind of prepared households through saving. Overall, livelihoodcentered type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and, as a factor that influenced this, marital state and household income played an important rol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more active efforts to increase the income of the elderly households are needed. In addition, age, owning of house and subjective health state were found to also have significant influence. Through these results of the study, the elderly's own improvement of awareness on health, presentation of overall standard for health state of the elderly, securement of the elderly's access to cultural life, and financial management coordination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jobs suitable for the elderly, and dissemination of communal life household, which is a cooperation residential type, were presented as institutional task in the conclusion.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lexible Working Hours (유연근로시간제 개선에 대한 연구)

  • Kwon, Yong-man;Seo, Ei-seok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 /
    • v.4 no.2
    • /
    • pp.97-108
    • /
    • 2021
  • Labor contracts appear in form as an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labor products and wages, but since they transcend the level of simple barter, they can be economically identified as "trading" and can be identified as "rental." From a legal point of view, a legal device that legally supports and imposes binding force on commodity exchange relations is a contract. Such a labor contract led to a relationship in which wages were received and a certain amount of time was placed under the direction and supervision of the employer as a counter benefit to the receipt of wages. Since working hours are subordinate hours with one's labor under the disposition authority of the employer, long hours of work can be done for the health and safety of workers and furthermore, it can be an act that violates the value to enjoy as a human being.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needs to be shortened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enjoyment of workers' culture so that they can expand and reproduce, but users' corporate management labor and production activities should also be compatible compared to those pursued by capitalist countries. Working hours can be seen as individual time and time in society as a whole, and long hours of work at the individual level are reduced, which is undesirable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n increase in products due to an increase in production time at the social level can help social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orking hours in terms of finding the balance between these individual and social levels. If the regulation method of working hours was to regulate the total amount of working hours, flexibility and elasticity of working hours are a qualitative regulation method that allows companies to flexibly allocate and organize working hours within a certain range of up to 52 hours per week.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horten working hours, but expand and implement the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compan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lexibly operate the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 which is currently limited to six months, handle the selective working hours by agreement between employers and workers, and expand the target work of discretionary working hour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new types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Legal Response and Future Tasks regarding Oil-Spill Damage to Korea - Focusing on the Hebei Spirit oil-spill (한국의 해양유류오염피해에 대한 법적 대응과 과제 - HEBEI SPIRIT호 유류유출사고를 중심으로 -)

  • Han, Sang-Woon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7 no.3
    • /
    • pp.89-120
    • /
    • 2008
  • With petroleum being a major source of energy in Korea, the quantity of petroleum transported via ocean routes is on its way up due to increased consumption. Due to the increase, more than 300 cases of pollution caused by petroleum occur annually. Moreover, the number of oil-spill accidents is also on the rise. Causes of such accidents, not including the disposal of waste oil on purpose, turn out to be human error during navigation or defects in the vessels, showing that most accidents are caused by humans. Therefore, to prevent future oil spills, it is imperative that navigation efficiency be enhanced by improving the quality of navigators and replacing old vessels with newer ones. Nevertheless, such improvements cannot occur overnight, so long- and mid-term efforts should be made to achieve it institutionally. As large-scale oil-spill accidents can happen at anytime along the coastal waters of Korea, it is necessary to set-up institutional devices which go beyond the compensation limit of 92FC. The current special law regarding this issue has its limits in that it prescribes compensation be supplemented solely by national taxes. Therefore, the setting-up of a new 'national fund' is recommended for consideration rather than to subscribe to the '2003 Convention for the Supplementary Fund'.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a National fund be created from fees collected from oil companies based on the risks involved in oil transportation and according to the profiteers pay principle. In addition, a public fund should be created to handle general environmental damage, such as the large-scal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which is distinct from the economic damage that harms the local people. The posterior responses to the large-scale oil spill have always been unsatisfactory because of the symbolic nature of the disasters included in such accidents. Oil-spill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ecause they are caused by human beings. But once they occur, they inflict long-term damage to both human life and the natural ecosystem. Therefore, the best response to future oil-spills is to work to prevent them.

  • PDF

Trend Analysis of Barrier-free Academic Research using Text Mining and CONCOR (텍스트 마이닝과 CONCOR을 활용한 배리어 프리 학술연구 동향 분석)

  • Jeong-Ki Lee;Ki-Hyok You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9 no.2
    • /
    • pp.19-31
    • /
    • 2023
  • The importance of barrier free is being highlighted worldwid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barrier-free research trends using text mining.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help with research and policies to create a barrier free environment. The analysis data is 227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1996 when barrier free research began to 2022. The researcher converted the title, keywords, and abstract of an academic thesis into text, and then analyzed the pattern of the thesis and the meaning of the data.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barrier-free research began to increase after 2009, with an annual average of 17.1 papers being published. This i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the barrier-free certification system that took effect on July 15, 2008. Second, results of barrier-free text mining i) As a result of word frequency analysis of top keywords, important keywords such as barrier free, disabled, design, universal design, access, elderly, certification, improvement, evaluation, and space, facility, and environment were searched. ii) As a result of TD-IDF analysis, the main keywords were universal design, design, certification, house, access, elderly, installation, disabled, park, evaluation, architecture, and space. iii) As a result of N-Ggam analysis, barrier free+certification, barrier free+design, barrier free+barrier free, elderly+disabled, disabled+elderly, disabled+convenience facilities, the disabled+the elderly, society+the elderly, convenience facilities+installation, certification+evaluation index, physical+environment, life+quality, etc. appeared in a related language. Third,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cluster 1 was barrier-free issues and challenges, cluster 2 was universal design and space utilization, cluster 3 was Improving Accessibility for the Disabled, and cluster 4 was barrier free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for vitalizing barrier-free research and establishing a desirable barrier free environment.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