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살포시기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9초

농약의 안전사용기준

  • 한국농약공업협회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2권8호
    • /
    • pp.87-92
    • /
    • 1981
  • 농약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하여 농약으로 인한 부작용을 미연에 막는일은 앞으로 농약사용에 있어 중요한 일이며 사용과정에서 잔류량이 허용치를 넘지 않도록 지키는 것 또한 중요하다. 농약의 잔류량은 농약의 종류와 제제형태, 사용시기, 살포농도, 살포회수, 종류와 품종, 재배방법 또는 살포한 후 수확이나 식용할때까지의 기간등에 따라 달라지며 사용방법등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농약의 약효를 의심하기전에, 농약을 범인시하여 불신하기전에 이 기준을 제대로 지켜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 PDF

백침계 모이 측지발생 촉진을 위한 생장조정제 이용 효과 (Effects of Growth Regulator for Promoting Lateral Shooting in White-Spine Cucumber(Cucumis sativus L.))

  • 이재한;권준국;강남준;정호정;박진면;강경희;최영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5-279
    • /
    • 2005
  • 백침계 오이는 측지착과형으로 주지착과형인 국내용 오이와 차이가 있어 백침계 오이의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측지발생을 높여야 가능하다. 그러나 백질계 오이의 재배시기는 대부분 동절기로 저온 및 일조부족 등의 불량한 환경조건 때문에 측지발생이 떨어진다. 본 연구는 생장조정제를 이용하여 백침계 오이의 측지발생을 촉진하기 위하여 BA의 농도 및 살포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BA $30mg{\cdot}L^{-1}$을 살포한 것은 농도 장해증상이 억제작형에서는 나타났으나, 반촉성작형에서는 경미하게 나타났다. 측지발생은 BA $10mg{\cdot}L^{-1}$ 살포하는 것이 BA $30mg{\cdot}L^{-1}$ 살포하는 것 보다 많았고, 처리시기는 본엽 10매, 15매 전개되었을 메 살포한 것이 본엽 5매 전개되었을 때 살포한 것보다 많았다.

스프링클러시스템을 이용한 밤나무흑벌 방제에 관한 연구 (Use of Sprinkler System for Control of Dryocosmus kuriphilus on Chestnut Orchards)

  • 정상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98-601
    • /
    • 2006
  • 밤나무림내에 sprinkler system을 고정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적정한 시기에 일시에 그리고, 간편하게 약제를 살포함으로써 밤나무의 주요해충인 밤나무흑벌(Dryocosmus kuriphilus)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목적으로 2003년부터 2년간 경남 산청군 신안면에서 본연구가 수행되었다. 공시약종은 carbaryl 50% WP, 1,500배액을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밤나무흑벌 성충의 우화시기는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약35일간이며, 우화최성기는7월상순의 약 5일간이었다. 밤나무흑벌의 우화 및 산란시기에 Carbaryl 50% WP 1,500배액의 수관살포는 밤나무흑벌에 탁월한 방제효과가 있었다. 즉 매일살포구의 평균 충영형성율은 3.0%, 2일간격 살포구의 평균 충영형성율은 12.8%로서 이들은 무처리구의 평균충영형성율 82.9%와 비교하여 각각 96.4% 및 84.5%의 높은 방제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수관부위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한지형잔디에 설부병 방제에 대한 살균제, 노즐타입 및 살포약량의 평가 (Evaluation of Fungicides, Nozzle Type, and Spray Volume on Control of Typhula Blight on Cool Season Turfgrass)

  • 장태현;장석원;정근화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0-170
    • /
    • 2011
  • 설부병에 원인이되는 Typhula species 대하여 살균제의 감수성을 실내에서 연구하였다. 살균제, 노즐타입 및 살포약량에 대한 효과와 살균제의 살포시기(이른가을과 늦가을)에 대한효과 위스콘신에서 겨울동안 설부병에 대한 약제의 방제 효과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모든 살균제는 Typhula spp.의 8균주에 대하여 실내 PDA 배지 상에서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8균주에 대한 균사생장 저지효과는 propiconazole $1.0{\mu}g$ (a.i) / ml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Typhula incarnata 2균주는 T. ishikariensis 6균주(3품종)보다 모든 살균제에서 더 감수성을 보였다. 2년 동안 포장시험에서 7개 농약을 2지역에서 살포하였으나, 무처리구에서만 병 발생이 심각하였다. Propiconazole이 설부병 방제에 2년 동안 2곳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약제 살포용 노즐타입이나 살포약량은 두 곳 시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살제 살포시기도 설부병 방제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제지슬러지의 시용이 묘포의 단풍나무 초기생장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per Mill Sludge Application on Early Growth of Acer palmatum Thunb.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orest Nursery)

  • 박현;이돈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9-45
    • /
    • 1998
  • 유기성 폐기물의 재활용은 떠오르는 연구분야로서, 슬러지와 같은 재활용 가능한 유기성 폐자원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그러나, 완숙기법은 시간 및 공간적인 문제와 연관된 경제성문제로 인하여 실용성이 없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어서, 속성부숙기법이나 미숙된 슬러지의 활용방법이 준비되어야만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임업에서의 슬러지의 활용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단풍나무 묘포장에 슬러지를 살포할 때 적합한 양과 시기를 찾아보고자 실시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제지공장의 슬러지를 사용하였으며, 일부는 질산암모늄을섞어 탄질률을 40이하로 낮추었다. 최대 살포량은 1 ha당 년간 7톤에 달하였으며, 살포시기는 봄과 늦여름이었다. 슬러지 살포는 1년동안 수목의 생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없었다. 슬러지 처리가 토양의 화학성에 특기할만한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였으므로 처리한 슬러지의 양은 수목의 생장을 촉진하기에는 너무 적은 양이었던 것으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토양수는 늦여름에 슬러지를 처리한 조사구에서 구리의 양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하수 오염의 위험성을 고려한다면 슬러지의 처리시기를 신중하게 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단기적인 결과를 얻기 보다는 산림생산성과 같은 장기적인 개념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슬러지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소량의 미숙한 슬러지를 생육기에 임업묘포나 산림지역에 살포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만하다.

  • PDF

약제별 및 살포시기별 자두 검은점무늬병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Different Types of Chemicals with Different Spraying Schedules on Plum Bacterial Black Spot)

  • 류영현;이중환;권태영;김승한;김동근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49-353
    • /
    • 2012
  • 자두 검은점무늬병은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에 의한 세균성 병해로 과실표면에 검은 반점형태의 병징이 발생하여 과실 상품성을 저하시켜 자두 재배농가에 큰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데 이러한 자두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효과적인 약제 방제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몇 종의 화학약제와 살포체계를 구성하여 휴면기중에는 동제 약제를 그리고 과실생육기중에는 항생제계열 약제를 살포하였는데 과실생육기중에서의 항생제계열 약제살포는 휴면기중의 동제 약제살포보다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자두의 개화만개 10일 후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의 항생제계열 약제살포는 93%의 높은 방제가를 얻을 수 있었는데 비해서 휴면기중의 동제 약제살포는 26-42%의 낮은 방제가를 얻는데 그쳤다. 또한 항생제계열 약제의 처음 살포시기가 개화만개 후 20일이나 30일 보다는 개화만개 후 10일에서 더 높은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사과 '후지'에서 유기 칼슘화합물의 수관살포가 과실의 무기성분 농도, 동녹 발생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ee-spray of Organic Calcium Compounds on the Mineral Nutrition Concentration, Russet Occurrence and Fruit Quality in 'Fuji' Apple at Harvest)

  • 문병우;이영철;정혜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47-59
    • /
    • 2012
  • 사과 '후지'에서 유기 칼슘화합물(ACa)을 수관살포 농도별 및 생육후반기 횟수별 처리한 후 과실의 칼슘농도, 동녹 발생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기간중 ACa 수관살포의 적정농도는 엽에는 125배에서 1,000배, 과실에서는 125배 이었다. 생육기간중 ACa 500배 수관살포 적정횟수는 엽에는 1회 (9월 25일) ~ 3회 (9월 25일, 10월 5일, 15일), 과피에는 1회 (9월 25일), 과육에서는 2회 (9월 25일, 10월 5일) ~ 3회(9월 25일, 10월 5일, 15일)이었다. ACa 생육후반기 농도 및 살포 횟수 수관살포에 의한 약해발생은 육안으로 발견하지 못하였다.

수도(水稻)에 처리(處理)된 유기수은제(有機水銀劑)의 잔류성(殘留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 : 수은제(水銀劑)의 살포시기(撒布時期), 회수(回數) 및 제제(製劑)의 종류(種類)가 약제잔류량(藥劑殘留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organo-mercury residues in rice grain. -2. Studies on the influence of mercury residues according to different formulations, times and date of the organo-mercury fungicide application-)

  • 이동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8권
    • /
    • pp.95-100
    • /
    • 1967
  • 수도(水稻) 도열병방제(稻熱病防除)를 위(爲)하여 사용(使用)되는 유기수은제(有機水銀劑)(PMA)에 대(對)해서 우리나라 주요(主要) 수도장려품종(水稻?勵品種)인 팔달(八達)을갖이고 제제(製劑)의 잔류(殘留), 살포시기(撒布時期) 및 살포회수(撒布回數)가 현미중(玄米中)에 잔류(殘留)되는 수은(水銀)의 양적관계(量的關係)를 시험(試驗)하였다. 1. 제제(製劑)의 종류(種類)가 현미(玄米)의 수은잔류(水銀殘留)에 미치는 시험(試驗)을하였던바 엽도열병방제처리(葉稻熱病防除處理)(7 월(月) 13 일(日))에서는 살포용수은유제(撒布用水銀乳劑)(0.216 ppm)는 살분용(撒粉用) 유기수은제(有機水銀劑)(0.16 ppm)보다 높았다. 2. 약제살포시기(藥劑撒布時期)와 수은잔류량관계(水銀殘留量關係)를 보면 유제(乳劑)에 있어서 7 월(月) 13 일(日)에 처리(處理)한 것(0.216 ppm)은 8 월(月) 13 일(日)에 처리(處理)한 (0.304 ppm)보다낮고 분제(粉劑)에 있어서는 7 월(月) 13 일(日)에 처리(處理)한 것(0.16ppm)은 8 월(月) 13 일(日)에 처리(處理)한것(0.238 ppm)보다낮다. 3. 살포회수(撒布回數)가 수은잔류(水銀殘留)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보면 유제(乳劑)에있어서는 일회살포(一回撒布)(8 월(月) 13 일(日))의 것은 0.304 ppm 이나 이회살포(二回撒布)(7 월(月) 13 일(日) 8 월(月) 13 일(日))의 것은 0.32 ppm 이며 분제(粉劑)에 있어서는 일회사포(一回撒布)(7 월(月) 13 일(日))한 것이 0.238 ppm 이고 이회살포(二回撒布)한 것(7 월(月) 13 일(日), 8 월(月) 13 일(日))은 0.276 ppm 이였다. 4. 수도부위별(水稻部位別) 수은잔류량(水銀殘留量)을 보면 8 월(月) 13 일(日)에 유제(乳劑)를 살포(撒布)한 것은 현미(玄米)에 0.304 ppm, 왕겨에 0.323 ppm 그리고 경엽(莖葉)에는 0.676 ppm, 이 잔류(殘留)되어 있었고 분제(粉劑)를 사용(使用)하였을 때는 현미(玄米)에 0.238 ppm, 왕겨에 0.283 ppm 그리고 경엽(莖葉)에는 0.698 ppm 이 남어있었다. 일반적(一般的)으로 분제(粉劑)는 유제(乳劑)보다 수은잔류량(水銀殘留量)이적고 일회처리(一回處理)한 것은 이회처리(二回處理)한 것보다 잔류량(殘留量)이 낮었다. 7 월(月) 13 일(日에 처리(處理)한 것은 8 월(月) 13 일(日)에 처리(處理)한 것 보다 수은잔류량(水銀殘留量)이 낮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