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4초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의 방향과 과제 (Direction and Task of the Livable Community Making Policy)

  • 이재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0
    • /
    • 2007
  • 노무현 정부는 2006년부터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을 본격 시행하고 있다. 이 정책은 우리들의 일상생활 공간인 지역사회 또는 지역을 대상으로 공간의 질과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주민의 주도적 노력으로 아름답고, 쾌적하고, 특색있는 지역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 것을 말한다. 이 정책은 한국사회의 질적 발전과 우리들의 일상적 삶의 만족도 증진이라는 양 차원에서 볼 때, 매우 긴요하고 시의 적절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또는 지역의 지리적 특성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 유의하여 이 논문은 지리학 관점에서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 정책을 검토하고, 아울러 새로운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지리학자들이 참여해야 할 과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

살고싶은 도시만들기사업의 실태 조사연구 (A Study on Actual Condition Survey of The Making Livable City)

  • 이민선;정진주;최효승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63-72
    • /
    • 2007
  • Recently, with the policy balance development in the country, Ministries of the government as managers related each of regional projects have prepared pan-governmental support system to achieve Making Livable Area Policy. This study is analysis result of investigation in 2007 authorized cases of MLCP(Making Livable City Project) which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have propelling from city and rural-urban area of town, myeon and dong, to rural area of small village size. Areas chosen for MLCP hav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inhabitants, and to promote successfully project, need to support system and originality for area. Such projects will finally increase the life quality, and make life-spaces wanting to live in the area.

  • PDF

'가족형' 마을만들기 시범사업 사례 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Focused on the National Pilot Project to Make Family-Friendly Communities)

  • 김선미;이승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4호
    • /
    • pp.101-126
    • /
    • 2010
  • This Qualitative case study focused on the National Pilot Project to make family-friendly communities. We examined the basic model of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propos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One of the three local communities selected as family friendly models was chosen for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for its residents. The official performance report shows this project's process, results and future tasks. From the in-depth interview data, we defined the project's characteristics as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collaboration, model transformation from the original family friendly model to the production model, and we found some conflicts among residents upon financial issues and business items. The most important task is the 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corporate body to realize this project's performance through these three years. And this study implicates to elaborate the rural family-friendly community model focused on income creating community redesign, different from the urban model focused on caring.

  • PDF

농촌에서 도시로의 공간구조 변화와 특성 - 부산 북구 화명동을 중심으로 -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 of Spacial Structure from Rural Space to Urban Space : The Case of Hwamyeong-Dong of Buk-gu in Busan)

  • 공윤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7-110
    • /
    • 2013
  • 본 연구는 부산 북구 화명동을 대상으로 농촌에서 도시로의 전환에 따라 나타나는 공간구조의 변화 과정을 고찰하고 화명동 내외부의 관점에서 획일화, 위계화 등 공간구조의 재구성에 따른 문제점과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도시공간의 팽창으로 농촌에서 도시로 변한 화명동은 고유의 자연환경, 자연마을 등이 사라지고 주거, 상업지역 등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역사적, 구체적 장소는 사라지고 개발과 발전이라는 명목 하에 전국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아파트를 중심으로 연출되는 공간의 균질화와 획일화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주민들의 힘과 노력으로 지켜낸 화명동 고유의 역사와 관습, 기억과 흔적들 그리고 생태하천으로 변모시킨 대천천 등에서 화명동만의 특이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또한 동질적인 농촌공간이었던 화명동은 아파트 공급주체와 규모, 산업시설의 종류와 분포, 주민들의 구성 등의 측면에서 이질적이고 다층적인 도시공간으로 변하였으며 이는 공간뿐 아니라 주거, 교육, 문화 등의 세분화, 위계화를 야기하고 있었다. 특히 대규모 아파트밀집지역으로 개발된 화명3동은 화명2동과 큰 격차를 드러냈으며 과거 중심지였던 화명2동은 주변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화명2동에는 생태주거공동체와 교육문화공동체를 중심으로 살기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한 주민들의 움직임과 노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