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후 우울 경험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7초

산후우울증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인 (Psychosocial Risk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 박시성;한귀원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124-133
    • /
    • 1999
  • 연구목적 : 산후우울증은 여러 요인이 관여하여 발생하며, 이들 위험요인에는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인이 포함된다. 이전의 여러 연구결과들을 통해 산후우울증의 위험요인이 알려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산후우울증을 대상으로 위험요인을 연구한 경우는 별로 없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산후우울증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일신기독병원을 방문한 출산 후 약 6~8주에 있는 산모 1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산후우울증의 위험요인에 대하여 조사하고 산후우울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설문지는 이전 연구들을 통해 알려진 위험요인들을 참고하고 산모들의 스트레스와 관계되는 요인들을 추가하여 작성하였다. 산후 우울증을 평가하기 위해 EPDS(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를 번안해서 사용하였고, 산후우울의 정도는 측정된 EPDS 접수에 따라 판단하였다. 결과 : 총 대상 산모 119명 중 EPDS에 의해 산후우울증으로 진단될 수 있는 고위험군은 16명으로, 13.45%의 빈도를 보였다. 고위험군에서는 과거 우울증상을 경험한 경우와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경우가 저위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또 과거 우울증상을 경험하였던 군, 임신중 우울과 불안증상을 경험한 군, 임신 및 산욕기동안 스트레스 생활사를 경험하였다고 보고한 군, 결혼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군, 그리고 나이가 많을수록 EPDS 접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산모의 교육수준, 종교, 직업의 유무, 임신과 출산에 따른 직업중단 희망임신 여부 분만방법 수유방법, 유아의 입원여부, 그리고 기대했던 유아의 성별 및 실제 유아의 성별은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산후우울증은 산후에 비교적 높은 빈도로 발생 가능하며, 우울증의 과거력, 임신동안 우울과 불안증상의 경험, 스트레스 생활사, 결혼생활에 대한 낮은 만족도, 그리고 산모의 연령과 같은 요소들이 산후우울증의 위험요인이었다. 임신과 산욕기 동안 산모에 대하여 적절히 정신의학적으로 개입함으로서 조기에 산후우울증을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으며, 산후우울증으로 인하여 산모와 유아에게 미치는 다양한 손실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국내 산후 비만과 산후 우울증 관련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on Postpartum Obesity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Korea)

  • 구정은;김규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429-438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산후 복과 산후 우울증 및 스트레스 등의 실태조사를 통해 원인을 분석하고, 산모의 사회적 고립를 예방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전국에 거주하는 1살 이하의 자녀를 둔 주 대상인 20-40대 여성을 표본으로 선정하였고, 총 11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산모들의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으로 사회 경험을 묻는 말에서는 91.1%(102명)가 사회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8%(9명)만이 사회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사회경험유 91.1%(102명), 사회경험 무 8%(9명) 사회 복귀를 여부를 묻는 질문에서는 17.9%의 산모가 복귀하였다고 응답하였고, 54.5%의 산모는 복귀하지 않았으며, 18.8%의 산모는 출산 휴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전과 후의 BMI 변화와 일반적 특성의 교차분석(카이제곱 검정) 산모들의 BMI 증가 수준을 살펴본 결과 Table 3과 같이 BMI가 평균 이하로 증가한 산모가 55%, 평균 이상으로 증가한 여성이 45%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임신과 출산으로 인해 여성들은 신체적 변화로 인해 과체중이 될 확률이 높다. 연구결과-임신과 출산으로 산후비만은 산후 정신적, 신체적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중요한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모비만관리와 우울증관리에 적극적인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산후우울증에서 위험인자로서의 가족응집성-적응력 평가 : 예비적 연구 (Evaluation of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as Risk Factor of Postpartum Depression : Preliminary Study)

  • 김보라;서신영;장성운;이상혁;최태규;김용우;조성준;육근영;류미;김묘정;김근향;육기환
    • 정신신체의학
    • /
    • 제17권1호
    • /
    • pp.15-22
    • /
    • 2009
  • 연구목적 : 산후 우울증은 10~15%의 산모가 경험하는 흔한 질환이다. 본 예비적 연구의 목적은 산후 우울증과 산전 위험요인으로 가족 적응력 및 응집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 24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출산 전후의 시기에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임신 36~40주에 산전 위험요인에 대한 질문지, Edinburgh 산후 우울증 척도(EPDS), 가족 적응력-응집성 평가 척도(FACES), Beck 불안 척도(BAI) 등을 시행하였다. 출산 후 4~6주에 구조적 면담으로 미니 국제신경정신인터뷰를 시행하여 산후 우울증을 진단하였으며 산후 위험요인에 대한 질문지, EPDS, BAI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 산후 우울증 군과 비 산후 우울증 군을 비교한 결과, 여러 v위험 요인 중 가족 적응력 및 응집성, 산전 우울증상 및 임신 중 기분 변화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상 임신 중 기분변화, 낮은 가족 적응력-응집성 평가 척도 총점 및 각 하위 척도 점수가 산후 우울증의 유의한 연관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산후 우울증에 있어 낮은 가족 적응력 및 응집성이 유의한 연관성을 가진 요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예비적 연구로 연구 대상 수가 적어 상기 결과가 지지되기 위해서는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분만경험과 산후 우울이 출산 후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hildbirth Experienc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Women after Birth)

  • 여정희;전나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19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fluence of childbirth experienc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women after birth. Methods: Two hundred and eleven postpartum women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on their childbirth experience during their admission and on their postpartum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between one to three weeks after birth. Initial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 to May 30, 2011 at two obstetric hospitals in Busa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women's childbirth experience and postpartum depression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fter birth. The model explained 50% of the variables.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childbirth educators should include strategies to increase a positive childbirth experience and to decrease postpartum depression in thei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women's quality of life.

산후 우울 경험에 관한 연구 -근거 이론적 접근- (The Experience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 A Grounded Theory Approach)

  • 배정이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7-12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substantive theory about the experience of postpartum depressi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ed was rounded theory. The interviewees were eight others who had experienced postpartum depressio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udiotape recording done by the investigator over a period of twelve months. he data were analyzed simultaneously by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in which new data were continuously coded into categories and properties according to Strauss and Corbin's methodology. Analysis the grounded data resulted in 28 concepts being identified. Eight categories emerged from the analysis. The categories were regret, loss of freedom, isolation of oneself, heartache, loss, emotional upset, avoidance, recovery. These substantive categories are consistent with precious research results. Causal conditions included : regret, loss of freedom. Phenomena : heartache, loss, emotional upset. Context : isolation oneself. Intervention condition : avoidanc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 desire for recovery. Consequences : recovery. These categories were synthesized into the core concept-The process of filling the empty loss of self. The process of the experienced postpartum depression was ① change after delivery, ② searching for a reason for depression, ③ effort to recover from postpartum depression, ④ recovery from postpartum depression and return to previous life. The process of recovery from postpartum depression was proceeded by ① support from others, especially husband, ② resolution of stressful life events, ③ reconstructing of life goals and resolution strategies, ④ acceptance of depression and seeking psychiatric treatment. Seven hypothes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① Mothers who experienced stressful life event and economic problem are more depressive. ② Mothers who have conflict with parents are more depressive. ③ The more somatic symptoms, the more depression. ④ Social support facilitates recovery from postpartum depression. ⑤ Mothers who have lower self-esteem are more depressive. ⑥ Mother's role overload disturbs recovery from postpartum depression. ⑦ Ideal maternal identity facilitates recovery from postpartum depression. Through this substantive theory, nurses can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ostpartum depression management.

  • PDF

산후 우울 경험에 관한 연구 -Q 방법론적 접근- (A Study on the Postpartum Depression Experience : Q-Methodological Approach)

  • 장혜숙;김수진;김정선;김흥규;최의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917-929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ypes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by using Q-methodological approach. As a way of research, 55 statements concerning postpartum depression were se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postpartum mothers and literature review. 30 women were chosen as a subject group for the study, with opinions shown in 55 statements divided into 9 scales by forced distribution. PC QUANL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nd Q-factors were analyzed by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s a result, postpartum depression experience was classified into 5 types. There are "Role-Strain Type", "Unattributional Depression Type", "Psychosomatic Symptoms Type", "Self-Compassion Type", and "Role-Crisis Type". Type I was named "Role-Strain Type", referring to the strain generally experienced by mothers with regard to the new role as a mother and as a social member. Type II was named "Unattributional Depression Type", referring to the symptom experienced by people who were in a state of vanity and a sense of loss. They often break into tears for no specific reasons. In case of Type III, people in a state of "Psychosomatic Symptoms Type" develop physical symptoms after suffering from inherent emotional conflict. Type IV was named "Self-Compassion Type" refers to the symptom shown by those who feel pity for their children and for themselves. And they show inability to cope with the reality properly. Type V was named "Role -Crisis Type", which is experienced by people who have a burden and a severe fear of their own job and their children in their mind, also showing serious conflict with maternal role. Futhermore, it was carried out to examine structure of postpartum depression in terms of degree of depression and adjustment ability. Type I showed mild degree of depression and relatively good adjustment ability. Type II showed broad range of degree in depression and moderate adjustment ability. Type III showed moderate depression and relatively low adjustment ability. Type IV revealed relatively serious degree of depression and the lowest adjustment ability. Type V revealed very serious degree of depression and the lowest adjustment ability. As a result,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postpartum depression. Type I is considered to be a normal depression sympton which most mothers generally experience, followed by Type II, Type III, Type IV and Type V, each of which show increasingly worse degree of depression and lower adjustment ability. In conclusion, it seems to b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distinct symptoms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ose types, so that it could lead to more individual nursing approach.cteristics and structure of those types, so that it could lead to more individual nursing approach.

  • PDF

정신병적 우울증 양상을 나타낸 Sheehan씨 증후군 1례 (A Case of Sheehan's Syndrome Mimicking Psychotic Depression)

  • 정종현;홍승철;이성필;한진희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1호
    • /
    • pp.118-122
    • /
    • 1997
  • 저자들은 13년전 심한 산후 출혈 후에 서서히 진행된 성선, 갑상선, 부신피질호르몬결핍증상과 함께 피해망상, 환청과 이에 따른 행동, 심한 불면증, 정신운동의 지체, 사회적 철퇴 등의 증상을 보인 51세 여자환자의 증례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일견 심한 정신병적 우울증의 양상을 보여 정신과에 입원하였으나 자세한 병력 청취 및 임상양상의 관찰로 내과적 질환에 의한 정신증의 가능성이 고려되었고, 호르몬 검사상 범뇌하수체기능 부전소견과 저혈당증 및 저나트륨혈증 등을 나타내 Sheehan시 증후군의 진단이 가능하였다. 갑상선과 부신피질호르몬의 투여 기타 보존적인 치료에 의해 정신과적증상을 포함한 제반 임상증상이 1주이내에 호전되었다. 저자들은 본 증례의 보고를 통해 정신과 환자에 대한 임상적 접근에서 간과되기 쉬운 내재된 내과적 문제의 감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