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학연

검색결과 544건 처리시간 0.025초

산학연 통합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System for Industry-Academy-Research Cooperation)

  • 신동석;정기호;이재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03-40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산학협력 지원사업의 성과를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위한 통합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iPMS : 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System)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iPMS 시스템은 수행된 과제에 대한 결과 및 현황에 대하여 손쉽고 다양한 형태로 검색하는 기능 및 보고서 출력 기능을 제공하고, 산학협력 지원사업에 대한 성능 평가 및 사후 관리의 방법을 제공해 준다. iPMS는 부산-울산 산학협의회를 통하여 운영 중이며, 산학연 과제 관리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경제와 지역대학: 일자리 창출을 중심으로 (Local Economy and Local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Job Creation)

  • 김선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390-398
    • /
    • 2018
  • 본 연구는 지역경제와 지역대학의 산학협력효과를 일자리창출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도 한국의 산학연 연구개발사업이 국내 부문별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2014년 산업연관 연장표를 이용하여 생산 및 고용유발효과를 추정하였다. 생산유발의 부문별 파급효과로는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 관련부문의 생산증가가 10조 6,130억 원, 교육서비스업 9조 5,080억 원, 정보통신 및 방송업 1조 2,500억 원, 전력, 가스, 및 증기업 8,990억 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렇게 유발된 생산증가액은 약 30.2조 원으로 최초 지출액의 약 1.5배로 추정되었다. 고용유발효과로는 역시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 부문이 13,691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교육서비스 부문이 13,026 명, 그리고 정보통신 및 방송업 부문이 1,287명의 순으로 총 35,000여명의 유발효과를 보였다. 이들의 효과를 종합하여 보면 2018년도 정부의 산학연 연구개발사업비 지출로 연간 창출되는 생산과 고용창출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분야는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분야, 교육, 정보통신 및 방송업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학연 연구개발사업은 일자리창출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는 이들 첨단산업기술 분야에 지역대학과의 산학연 협력을 통하여 일자리 창출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본다.

투입 및 산출 분해모형을 활용한 산학연 협력연구의 효율성 분석 (An Efficiency Analysis of Industry-University-Public Research Institute Collaborative Research: Employing the Input-Output Itemization Model)

  • 김홍영;정선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473-484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 정부에서 '13~'15년에 지원한 정부연구개발사업중 산학연 협력연구 과제를 대상으로 협력유형을 주관기관별로 유형화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효율성 분석을 위해 6단계에 걸쳐 순수연구개발과제만을 분류하였으며, 투입과 산출변수를 다양한 조합의 투입과 산출변수를 분해 모형을 만들어 투입과 산출변수간의 효율성 차이점을 분석하기 위해 하여 산출지향 규모수익가변(VRS: Variable Return to Scale)의 DEA 모형으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산출변수와 관련 있는 과학적, 기술적, 경제적 성과 모형의 효율성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계층적 군집분석으로 클러스터를 확인하고, 클러스터별 강점과 약점에 맞는 산학연 협력유형별 정부 연구개발예산의 투자 포트폴리오 및 투자전략을 제시하였다. 효율성 분석결과 주관기관별 산학연 협력유형의 효율성은 각 모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대기업과 출연연구기관이 상대적으로 효율적이고, 중견기업, 중소기업, 그리고 대학은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층적 군집분석결과 3개 유형의 클러스터가 형성되었으며, 클러스터별로 논문, 특허, 기술료 사업화에서 강점과 약점이 있는 협력유형이 나타나서, 이에 대한 차별적인 투자전략을 제시하였다.

과학기술자의 공동연구에 대한 인식 조사 (A Survey of the Thought of Scientist on Research Collaboraion)

  • 설성수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1998년도 춘계정기학술대회
    • /
    • pp.5-5
    • /
    • 1998
  • 1980년대 이후 과학기술자들의 공동연구가 산학연 혹은 학제간 공동연구라는 형태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최근에는 네트워크이론으로 까지 발전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산학연 공동연구는 연구결과의 산업적인 활용 촉진을 위한다는 성격이 강해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했지만, 학제간 공동연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럼에도 기술혁신학회와 같은 경우는 학제간 공동연구 촉진을 학회의 중요한 추진방향으로 잡고 있을 정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제간 공동연구를 중심으로 국내 과학기술자들의 공동연구에 대한 인식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연구를 수직적인 공동연구와 수평적인 공동연구로 나누고, 수평적인 공동연구를 학제간 연구라 규정한다. 또한 학제간 연구를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해 과학기술자들의 인식과 행태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분석대상은 과학기술계 전 분야의 3,184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 PDF

대전 역세권의 산학연 연계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A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Impact Area Around Dae-Jun Rail Transit Station in Relating with the Industry-University-Institute Collaboration)

  • 윤용기
    • 교육시설
    • /
    • 제15권4호
    • /
    • pp.14-2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newal methods of Dae-jun railway station areas, focusing on the domestic/foreign case studies of the railway station areas and the possibility of the Industry-University-Institute collaboration in this area.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the revitalization for the impact area around rail transit station in the aspect of urban spatial structure, mixed land use, type of facilities and exchanging transit system of mass traffic etc, as well as such non-physical aspects as Industry-University-Institute collaboration and administrative planning. It does so by strengthening ties between hardware and software studies of urban planning and University Facilities planning.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strategy for the renewal of impact area around the rail transit stations.

공공연구기관 산학연 협력의 공간적 특성 분석 (Spatial Analysis on the Cooperation Patterns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 최지선
    • 기술혁신연구
    • /
    • 제12권3호
    • /
    • pp.179-203
    • /
    • 2004
  • This paper examines the intra-and inter-regional linkages of public research institutes (PRIs) with various innovation actors in Korea. In spite of the general consensus on the role of PRIs as innovation facilitators as well as creators, the attributes of regional spillover effect of knowledge created by PRIs have not been understood completely. Some argue that PRIs play pivotal role in encouraging intra-regional innovation networks through collective learning process. Others argue that PRIs are not necessarily related to intra-regional knowledge transfer, but play more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innovation linkages. This study attempts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us of innovation linkages of Korean PRIs and to prove how the internal and external attributes of PRIs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spatial innovation linkages. Furthermore, it also tries to draw policy implication from empirical analysis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