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지하천

Search Result 36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Hydraulic Stability Evaluate with River Restoration (하천 복원을 위한 수리안정성 검토 가이드라인 개발)

  • Oh, Ji-eun;Kim, Byeong-chan;Lee,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77-47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도시 농촌 및 산지하천의 각 하천 유형별 특성에 어울리는 하천 식생복원을 위해 가능한 한 최적의 식생모델수종을 구축한 후, 수종의 식생 밀도 등에 의해 변화될 흐름특성 및 홍수위 변화 등의 수리안정성을 검토하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landform relieves on mountains and valleys with bedrock types (기반암별 산지와 곡지의 지형 기복 특성과 유형)

  • Lee, Gwang-Ryu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1 no.4
    • /
    • pp.1-17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landform relieves on 12 bedrock whole(W) areas and 24 mountain(M) and valley(V) areas. Based on this result,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 between bedrocks and landform relief were classified as follows. 1) gneiss-height M and granite-height W, M, V areas show active stream incision for uplift. However these areas have relatively low relief and grade compared to high altitude, because effect of denudation don't pass on whole slope. 2) gneiss-height W, V, gneiss-mid M, schist M, granite-mid M, volcanic rock W, M, sedimentary rock-height(conglomerate) W, M, V, sedimentary rock-mid (sandstone and shale) M, limestone W, M areas have active stream erosion and mass movement, but landform relieves are on the high side, because these have resistant bedrock and geological structure against weathering and erosion. 3) gneiss-mid W, V, schist W, V, granite-mid W, V, volcanic rock V, sedimentary rock-mid W, V, sedimentary rock-low(shale) M, limestone V areas landform relieves are on the low side, because these have weak resistance and active weathering, mass movement, erosion, transportation and deposit. 4) gneiss-low W, M, V, granite-low W, M, V, sedimentary rock-low W, V areas landform relieves are very low, because these don't have active erosion and mass movement as costal area with low altitude.

Movement of falling spheres in open-channel flow (개수로 흐름에서 구체의 침강이동)

  • Park, Ho Kook;Park, Sang Deog;Yoon, Min Woo;An, Khe 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2-256
    • /
    • 2018
  • 호우 시 산지하천 유역에서 빈발하는 토석류에 따라 하천 흐름에 들어온 전석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물체는 하류로 이송되거나 하상에 퇴적하여 기존 흐름과 하상을 변화시키는 교란요인이 된다. 따라서 산지하천 흐름에서 전석의 영향을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나 이는 유속, 전석의 크기와 형상, 유입조건, 부유사 농도 등 수 많은 변수들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 경로를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이 연구는 유리와 철로 된 구형물체가 개수로 흐름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조사한 것이며 흐름의 수심, 물체의 크기와 초기침강조건을 고려하여 수리실험을 실시하고 물체의 이동경로와 유하거리를 분석하였다. 개수로 흐름에 유입한 구형 물체는 침강에 의한 항력과 유수에 의한 항력을 동시에 받는다. 이 힘은 물체의 형상, 유수의 점성, 난류, 물체와 물의 밀도차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며 구체의 이동경로와 시간을 좌우한다. 실험결과 개수로 흐름에서 낙하중인 구형물체는 하상에 가까워질수록 흐름방향 이동거리가 증가하였다. 물체의 수중무게가 작을수록 유수 중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고 이동거리가 더 크며, 구체에 작용하는 초기항력에 따라 초기 낙하각도와 이동거리가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산불로 인한 해양 환경 오염원에 대한 미역(Undaria pinnatifida)의 활력 측정

  • 강세은;최재석;홍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03-204
    • /
    • 2001
  • 산불의 발생은 산림 내에서 낙엽, 낙지, 초류, 임목 들의 연소로서 산불재 및 질소, 인 ,칼륨 등의 식물 영양염류와 토사 등이 산지에서 이탈되어 하천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산지와 해양이 인접한 지형에서는 하천에서의 자정작용 없이 곧바로 해양으로 유출되어 해양생물의 생태계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해양 생태계에서는 하천의 오염원 유입으로 인하여 일차적으로 강 하구의 고착생물 즉 해조류들에 영향을 줌으로써 해양환경 오염에 대한 indicator 생물로서 이들 해조류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중략)

  • PDF

Flood Runoff Computation for Mountainous Small Catchments using Rainfall Runoff Model (강우-유출모형을 활용한 소규모 산지 유역의 유출량 산정)

  • Chang, Hyung Joon;Lee, Hyo 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62-362
    • /
    • 2022
  • 최근 급증하는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인하여 소규모 산지 지역의 돌발홍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물적 및 인적 피해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재해 저감 대책 마련을 수립하고 있으나 소규모 산지 유역 같은 경우 계곡 및 하천부는 제방 증고 및 하상 정리 등과 같은 인위적인 대책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북 지역의 소규모 산지 유역 중 우암산 및 백화산을 대상으로 유역 내 계곡 및 하천부에 대하여 WMS (Watershed Modeling System) 강우 유출모형을 활용한 침수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우암산 및 백화산 소유역에서 재현빈도 50년 이상의 강우 발생 시, 침수가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 되었으며, 등산객이 이용하는 등산로 및 시설물에 위험성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소규모 산지 유역에 대한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안전한 관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