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이동

검색결과 978건 처리시간 0.031초

유기산 처리에 의한 카라기난 가수분해물의 제조 (Preparation of Carrageenan Hydrolysates from Carrageenan with Organic Acid)

  • 주동식;조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2-46
    • /
    • 2003
  • 유기산을 이용한 카라기난 분해물의 제조 조건을 검색한 결과, 10$0^{\circ}C$ 이하의 온도는 카라기난을 올리고당의 형태로 분해시킬 수 있는 조건이 아니었다. 반면, 11$0^{\circ}C$와 12$0^{\circ}C$ 온도 조건은 유기산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서는 카라기난을 올리고당화할 수 있는 조건이었으나, 분해율이 알긴산이나 한천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마이크로파 처리나 초음파 처리는 카라기난을 분해하는데 유효한 처리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기산 종류 및 농도, 처리시간에 따라 분해율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전체적으로 유기산의 농도가 높고 처리 시간이 길수록 분해율이 높았다. 12$0^{\circ}C$ 온도 조건에서는 처리시간 90분 이후로는 유기산 농도 0.5%와 0.7%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citrate나 malate가 적절한 유기산으로 판단되었고, 분해율과 올리고당의 생성 정도를 고려할 때, 유기산의 농도는 0.5%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11$0^{\circ}C$이상의 온도에서 얻어진 분해물의 TLC 상의 형태는 유기산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분해 온도가 높을수록 이동도가 큰 저분자 획분이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LC 상에 나타난 획분의 평균 중합도가 5~7 정도인 것으로 보아 올리고당류로 판단된다.

Column-Switching System을 이용한 우유속의 D-아미노산의 미량정량 (Micro-Determination of D-Amino Acids in Milk by using Column Switching System)

  • 이선행;김경희;이영철;김상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57-265
    • /
    • 1995
  •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우유를 전처리하여 이 우유에 포함된 유리 아미노산을 dansyl-chloride로 유도체화시켜 C-18 컬럼을 이용한 역상 LC법으로 분리한 다음 표준물 첨가법으로 정량했다. 미량의 D-아미노산의 분리에서는 LC의 Column-Switching System을 이용하였으며 비키랄 컬럼을 통과한 단실 D/L-아미노산에 $Cu(N-benzyl-L-proline)_2$를 이동상에 첨가한 키랄 분리를 수행하여 L-아미노산에서 D-아미노산을 분리 정량했다. 이 방법은 우유시료 중에 존재하는 16가지 아미노산의 정량이 가능하며 이중에 12가지의 D-아미노산이 column switching 방법을 통한 키랄 분리로 정량이 가능하다. 우유 100 mL에 총 유리 아미노선이 41.00 mg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했으며, D-아미노산은 D-glutamic acid가 2.05%, D-alanine 2.93%만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 PDF

폐광산지역의 오염특성 조사와 평가를 위한 지구화학적 접근방법 (Geochemical Approaches for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Abandoned Mine Sites)

  • 이평구;조호영;염승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1호
    • /
    • pp.35-4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폐광산지역의 오염특성 조사와 평가를 위한 지구화학적 접근방법에 대하여 정리ㆍ기술하였다. 폐광산지역의 주요 오염원은 갱내수, 광석, 광미 및 선광을 위해 사용한 화학약품 등이고 산성광산배수의 배출, 광산폐기물의 유실, 유해성 침출수의 배출, 광미와 분진의 분산 등에 의해 중금속이 이동/확산되어 주변토양, 퇴적물, 지표수, 지하수, 생태계에 광역적/지속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오염원, 주변 토양, 지표수, 지하수 등에 대한 화학분석, 광물학적분석, 광산산성배수 예측실험, 물리/지화학탐사와 같은 현장실험 등의 방법을 이용한 조사를 통해 폐광산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잠재적이고 실제적인 영향이 조사$.$평가 되어야한다.

Hansenula polymorpha DL-1이 생산하는 재조합 알부민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ng of Recombinant Human Albumin from Hansenula polymorpha DL-1)

  • 최근범;구선향;임채양;이동희;강현아;이상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48-252
    • /
    • 2001
  • 메탄올 자화효모 Hansenula polymorpha 가 생산하는 재조합 인체 알부민 (human albumin)을 heat treatment ultrafiltration phenyl Sepharose CL-4B Mono Q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수율 60%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재보합 알부민 SDS-PAGE를 수행한 결과 분자량이 65,000 Da으로 나타났고, 본 재조합 알부민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은 Asp- Ala- His- Lys- Ser- Glu- Ala 으로 혈청유래 알부민 및 다른 효모 유래의 재조합 인체 알부민 과 동일함을 보였다. 정제한 재조합 인체 알부민의 아미노산 조성은 총 18종 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고 아미노산 잔기 중 cysteine, arginine lysine 등이 이론치와 일치하였으며, 혈청 알부민과 동일하게 약 pI 4.8 정도 값을 나타내어 H. polymorpha 유래의 재조합 단백질의 전반적인 아미노산 구성이 혈청 알부민과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 PDF

N-hexadecay-L-proline이 코팅된 역상 원심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아미노산 이성질체의 분리 (Centrifugal Liquid Chromatography with Application of the N-hexadecyl-L-proline Coated Reversed Phase for Separation of amino Acid Enantiomers)

  • 이선행;오대섭;이해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49-856
    • /
    • 1992
  • 간단하고, 경제적이고,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리 및 분취하였다. 소수성 아미노산 이성질체를 N-hexadecyl-L-proline이 코팅된 역상 원심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써 분리, 분취하였다. 아미노산 이성질체의 용리 및 분리에 영향을 주는 구리(Ⅱ) 농도, pH, 이동상의 유기용매 종류 및 농도, 원심 액체크로마토그래피의 원형 컬럼의 회전속도 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수 mg의 소수성 아미노산을 분취하였다. 모든 다른 아미노산을 분리 및 분취하려면, 다양한 코팅 리간드에 대하여 연구하여야 한다.

  • PDF

망간, 코발트 및 아연과 2 염기 유기산 사이의 착물 (Complexes of Manganese, Cobalt and Zinc with Dibasic Organic Acids in Aqueous, Ethanol-Water and Acetone-Water Solutions)

  • 최상업;이동재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1-39
    • /
    • 1974
  • $Mn^{++}, Co^{++} 및 Zn^{++}$용액을 실온에서 양이온 교환수지와 2염기 유기산이 들어 있는 용액에 섞어 넣었다. 방사성 금속이온을 추적자로 사용함으로써 금속이온이 수지층과 용액사이에 어떻게 분배되는가를 조사하였다. 이 분배 비율이 유기산이온 농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보아, $Mn^{++}, Co^{++} 및 Zn^{++}$이 수용액, 에탄올-물 및 아세톤-물에서 썩신산, 말론산, 프타르산 및 타르타르산과 사이에 1:1착물을 형성한다고 결론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 이들 착물의 안정도가 다음순으로 증가함을 알았다.$Mn^{++}

  • PDF

저투수성 매체 내 오염물질의 정확산과 역확산: 경계조건에 따른 용질이동 해석해의 소개 (Forward and Back Diffusion from Low Permeability Zone: A Review of Analytical Solutions with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 김창민;양민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1호
    • /
    • pp.99-110
    • /
    • 2020
  • 국외에서는 DNAPL오염부지 정화처리 과정에서 오염된 저투수성 매체를 주요 관리대상으로 고려하며, 저투수성 매체로부터 역확산하는 오염물질과 대수층 오염 지속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 지하수 분야에서는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논문은 저투수성 매체에서 오염물질의 정확산 및 역확산 현상을 소개하고 대표적인 연구사례를 통해 그 중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저투수성 매체의 경계조건에 따른 6개의 정확산 및 역확산 시나리오와 각각의 시나리오에 사용된 해석해를 제시하였다. FI (forward diffusion into infinite domain)와 BI (back diffusion from infinite domain) 시나리오는 저투수성 매체의 깊이를 무한하게 가정한 경우, 정확산과 역확산 시나리오를 나타내며 과거 대다수의 저투수성 매체와 관련된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최근 연구에서는 저투수성 매체의 깊이를 유한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한 경계에서 정확산 시나리오는 FFN(forward diffusion into finite domain with no flux boundary), 역확산 시나리오는 BFN (back diffusion from finite domain with no flux boundary)이다. 또한 저투수성 매체 하부 경계를 통한 오염물질의 이동이 가능할 때 정확산 시나리오는 FFF (forward diffusion into finite domain with flux boundary), 역확산 시나리오는 BFF (back diffusion from finite domain with flux boundary)에 해당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시나리오와 해석해를 사용한 모델링은 저투수성 매체의 깊이 또는 오염 노출 기간 등의 현장 특성에 맞는 오염처리 공법을 선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모델링 결과는 대수층의 정화 이후에도 역확산으로 발생하는 오염의 지속기간, 오염 정도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오염 정화처리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깊이별 토양 부식산의 분자량분포 및 분광학적 특성 규명 (Molecular Size Distribution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Humic and Fulvic Acids Extracted from Soils in Different Depth)

  • 신현상;이동석;정근호;이창우
    • 분석과학
    • /
    • 제15권4호
    • /
    • pp.373-380
    • /
    • 2002
  • 본 연구는 토양에 침적된 방사능 물질의 거동에 부식산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깊이별 토양에 존재하는 휴믹산과 풀빅산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휴믹산과 풀빅산의 분자량 분포는 한외여과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분광학적 특성으로는 자외선-가시광선, 적외선 및 형광분광 분석을 실시하였다. 휴믹산의 주요 분자량 분포 영역은 30~100 kDa (46~56%)이었으며, 풀빅산은 10~30 kDa (33~43%) 이었다.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휴믹산과 풀빅산 분자의 분자량은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외선-가시광선 분석 결과, 휴믹산이 풀빅산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1.4~1.5배 더 높은 흡광계수 (280 nm)를 나타내었고, 휴믹산의 경우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흡광계수가 증가하였다. Synchronous 형광 분석 결과, 휴믹산과 풀빅산의 방향족 고리화합물은 428 nm 영역 (type 1)과 498 nm 영역 (type II)에서의 형광피크에 해당하는 두 가지 특성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휴믹산 분자는 대부분 장파장 영역 (type II)에서의 방향족 고리구조 특성을 보였으며, 휴믹산과 풀빅산 모두 토양층의 깊이가 증가할수록 장파장 영역의 방향족 고리 특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적외선 분석 결과, 풀빅산이 휴믹산에 비해 카르복실기 (${\sim}1720cm^{-1}$)의 피크세기가 높았으며, 토양 깊이가 증가할수록 휴믹산과 풀빅산분자의 카르복실기의 피크세기가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당에스테르의 분리정제

  • 조정연;김재훈;유인상;유현희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630-631
    • /
    • 2000
  • 지방산과 당의 transesterification에 의하여 제조되는 당에스테르를 분리정제하는 방법으로 크로마토그라피방법을 조사하였다. 당에스테르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지방산(oleic, stearic, palmitic acid)과 당에스테르의 크로마토그라피 용출특성을 이동상의 유속과 온도, 그리고 주입량을 변화시켜 관찰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column은 Silica 계통의$C_{18}$ column($3.9{\times}300mm$) 이었으며 본 실험에서 조사한 지방산과 당에스테르의 혼합물은 모두 높은 해상도로 분리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

대두(大豆)의 질소대사(窒素代謝)에 관(關)한 연구(硏究) -III. 유식물(幼植物) 시기(時期)에서의 Glutamine 산(酸)과 Asparagine 산(酸) 및 그 Amide의 소장(消長) (Studies on the Nitrogen Metabolism of Soybeans -III. Variation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its Amides during the Growth of Yonger Plants)

  • 강영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5-59
    • /
    • 1970
  • 대두(大豆)의 유식물(幼植物)시기에 있어서의 Glutarmine 산, Asparagine 산 및 그 Amide에 대(對)하여 각물질(各物質)의 소장(消長)을 검토하면서 대두내(大豆內)에서의 생합성(生合成)을 구명(究明)하여 보았다. 1. 산성 Amino 산으로의 Glutamine 산과 Asparagine 산의 소장곡선(消長曲線)은 자엽(子葉)에 있어서는 유식물(幼植物)시기 전반기에 있어서는 Glutamine 산, 후반기에 있어서는 Asparagin 산이 peak를 나타내어 성엽발생기를 중심(中心)으로 하여 대(對)칭적인 인상을 주었다. 그러나 배적(胚的)기관에 있어서는 양부위(兩部位)가 모두 성엽이 발생(發生)한 시기에 peak를 나타내었으며 소장곡선(消長曲線)은 거의 비슷한 증감의 현상을 나타냈다. 2. 그 Amide인 Glutamine과 Asparagine은 자엽(子葉)에나 배적(胚的)기관에서도 성엽이 발생한 시기에 peak를 나타냈으며 배적(胚的)기관에 있어서의 자엽(子葉)탈락시기에서의 감소에 비하여 자엽(子葉)에서의 급격한 증가는 대단히 인상적이다. 3. Glutamine 산과 Glutamine의 소장(消長)관계를 보면 둘다 자엽(子葉)에서 배적(胚的)기관으로 이동한 사실은 발견(發見)되었으나 그밖의 Glutamine 산은 식물(植物)의 함질소성분으로서 Ammonia를 받아드리기 위한 중요한 입구적(入口的)인 기능과 Glutamine 산 자체(自體)로서 타(他) Amino 산의 전구물질(前驅物質)인 역활을 다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또 Glutamine의 경우는 후반기에 들어와서는 그의 가수(加水)분해로서 발생(發生)하는 Ammonia의 생성기구가 자엽(子葉)이 탈락하기 직전에는 그 기능이 상실되었음을 시사하여 주었다. 4. Asparagine 산과 Asparagine 과의 관계에서는 종자(種子) 상태(狀態)부터 감소하기 시작한 Asparagine 산은 배적(胚的)기관에 이동한 이외에도 Asparagine의 형성에 전구적(前驅的)인 물질(物質) 역할을 충분히 하여 주었다고 생각되었다. 그리고 Kreb's 회로의 생성물(生成物)로서 간주되는 Asparagine 산의 형성론(形成論)은 후반기부터 인정하게 되었다. 또 Asparagine의 함유량의 급격한 축적은 각세포(各細胞)에서 발생(發生)한 Ammonia의 농도를 유해량(有害量) 이하는 억제하기 위하여 Asparagine의 형태로 전환했다고 생각하는 설(說)과 자엽내(子葉內)에 과도(過度)하게 함유(含有)하고 있던 $NH_3$와 탄수화물로 형성 집적(集積)되어 있다는 두가지 설(說)로 적응시킬 수 있었다. 5. Amide는 발아중 또는 삼성물(森成物)에서의 경우라도 외부(外部)에서 Ammonia의 공급이 충분하면 형성량(形成量)도 많아지는데 대두내(大豆內)에 있어서는 외부(外部)에서의 공급 없이도 상당량의 Amide가 형성(形成)되었다. 이것은 대두(大豆)의 특징이 되기도 하며 특(特)히 Glutamine 보다는 Asparagine이 다량 생성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