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업 안전

Search Result 11,314,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효율적인 안전관리자를 위한 교과목 선정에 대한 연구

  • 김유창;김의창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1999.11a
    • /
    • pp.325-331
    • /
    • 1999
  • 한국에서는 많은 산업재해로 인해 물질적 손실뿐만 아니라 국가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산업재해를 획기적으로 줄여야만 한다.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여러 방법 중 각 사업장의 안전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산업안전관리자를 좀더 효율적으로 양성할 필요가 있다. 효율적인 안전관리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교육과목이 체계적으로 연구되어 각 과목들의 상대적 중요성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교과목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고 이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안전관리자를 위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은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안전관리분야(W=0.355),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분야(W=0.242), 기계안전분야(W=0.13), 건설안전분야(W=0.12), 전기안전분야 (W=0.091), 화공안전분야(W=0.062)순으로 안전관리분야와 인간공학 및 시스템 안전분야의 상대적 중요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교과목뿐만 아니라 산업안전공단이나 산업안전협회 등의 안전교육 계획수립 시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Policy Execution Analysis of Industrial Safety Health Criteria (산업안전보건기준의 정책집행분석에 관한 연구)

  • 전운기;송수정;강경식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1.11a
    • /
    • pp.181-186
    • /
    • 2001
  • 산업재해로 인한 개인·사회·국가적 손실이 막대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산업재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산업안전보건정책의 결정과 집행과정에 대한 분석·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며, 유사한 성격의 사회정책으로서 공정거래제도나 환경분야보다도 훨씬 뒤떨어 져 있다 본 논문은 산업안전보건기준이라는 정책과제를 중심으로 산업안전보건정책의 집행 과정의 성공과 실패요인의 분석에 필요한 연구분석들을 제시하고자 하며, 향후에 이를 바탕으로 실증적인 적용실태연구를 통해 산업안전보건정책방향의 일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ALTERNATIVES OF KOREAN INDUSTRTAL SAFETY MANAGEMENT (산업안전관리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조주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1 no.1
    • /
    • pp.60-64
    • /
    • 1986
  • 생산위주의 개발도상국 진입으로 산업재해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음은 중대한 문제로 되고있다. 산업안전관리는 기술적으로 잘하면 최대 98%까지 예방가능한 분야이다 안전사고의 원인을 인적 근로자적 측면, 물적, 경영자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조화 또는 통제하는 요인으로 관리적, 행정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개선방안은 산업의 고도화, 다양화에 따른 신기술부족, 안전지식 및 교육부족, 그리고 중소기업의 산업안전 보건시설 개선의 미흡등, 이들 직접원인에 대한 통제 및 조화 수단으로서 법체제, 행정조직을 강화하고 산업 안전관리를 민간주도로 추진해나갈 연구 및 예방기관의 육성이 되어야 한다.

  • PDF

시선집중, 안전경영 우수기업 - 철저한 안전관리 바탕으로 발전설비 명가로 우뚝, 한전 KPS(주) 서인천사업처

  • Kim, Seong-Dae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5
    • /
    • pp.18-20
    • /
    • 2014
  • 전국 산업현장 어디에서나 안전은 중요하게 여겨진다. 하지만 안전이 더욱 각별하게 다가오는 곳이 있다. 바로 국가 산업의 기초가 되는 금속공업, 화학공업 등 국가기반산업 현장이 그곳이다. 이 가운데 특히 전력산업에서 안전은 한 나라의 경제와 사회를 좌지우지할 만큼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지난 2011년 9월 15일 발생한 대정전 사태를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이에 따라 발전소의 안전운행을 위해 정비 및 유지 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한전KPS(주) 서인천 사업처에서는 남다른 안전관리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곳에서 어떻게 안전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지 살펴봤다.

  • PDF

개정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및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유해ㆍ위험작업의 취업제한에 관한 규칙의 신ㆍ구조문 대비표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s.12
    • /
    • pp.75-100
    • /
    • 1994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개정('93.11.20. 대통령령 제14010호)과 관련된 내용을 정비하고 경제행정규제완화작업의 일환으로 평소 안전관리가 양호한 사업주에 대하여 안전ㆍ보건교육실시 의무를 일부 면제하는 등 기업의 부담을 덜어주며,유해ㆍ위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자의 자격 기준을 일부 조정하는 등 그간의 여건변화로 현실성이 결여된 제도를 산업안전보건환경의 변화에 적합하도록 일부내용을 보완ㆍ게선하는 것을 골자로 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유해ㆍ위험작업의 취업제한에 관한 규칙」,이 개정ㆍ공포됨에 따라 이에 개정된 규칙들의 신ㆍ구조문 대비표를 수록하여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Effects of Self-efficacy Beliefs on Industrial Accidents Associated with Manufacturing Companies (안전효능감과 산업재해의 관계에 대한 분석 -제조업을 중심으로-)

  • Park, Dong-Hyun;Im, Su-Jung;Choi, S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13 no.1
    • /
    • pp.11-2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자기효능감(Self-efficacy belief)과 산업재해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연구의 예비 단계에서는 크게 세 그룹 즉, 현장의 작업자, 현장 및 안전관련 자문업체에 근무하는 안전 관리자, 그리고 산업안전에 관계되는 정부기관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집중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고, 이 집중면접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연구의 본 단계에서 적용될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본 설문지는 산업안전, 산업안전교육프로그램의 평가, 산업안전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자기만족, 스트레스, 산업재해율, 그리고 인구사회학적요인관련 정보 등과 관련되는 효능감을 평가 하도록 설계되었고, 총 917명(현장작업자: 542명, 안전 관리자: 210명, 정부기관종사자: 165명)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자 그룹의 경우에 안전관련 효능감과 관련한 세 가지 요인(자기관리, 사회적 지원, 환경관리)은 해당 회사의 산업재해율과 부(negative)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전효능감이 높은 현장 작업자는 낮은 현장작업자들과 비교하여 안전관련 수칙을 더 잘 지키고, 자기 인생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으며, 스트레스의 정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안전관리자의 경우에 안전효능감은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정(positive)의 상관관계를 그리고 해당회사의 산업재해율과는 부(negative)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부기관 종사자의 경우에는 경력이 길고 높은 지위에 있을수록 산업안전관리관련 안전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 '97. 산업안전보건업무 추진계획

  •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Association
    • /
    • s.23
    • /
    • pp.86-91
    • /
    • 1997
  • 노동부 ‘97. 산업재해감소 목표재해율 0.74%. 사망만인율 1.99 달성을 위해 산업안전선진화 3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장의 자율안전관리 정착, 산재취약부문 중점관리 안전문화운동 확산 등에 주력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노동부의 ‘97. 산업안전보건업무 추진 세부계획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