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업인력양성

Search Result 67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현황 - 한국의 원자력 인력 양성

  • Hwang, In-A
    • Nuclear industry
    • /
    • v.29 no.7
    • /
    • pp.76-83
    • /
    • 2009
  • 한국원자력연구원은 2009년 올해로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였다. 지난 반세기 동안 원자력 기술 자립의 성과를 이루었으며 원자력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훈련 또한 함께 하였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원자력의 태동부터 기술 자립에 이어 기술 수출까지를 살펴보고 시기별로 원자력 인력 양성을 위한 훈련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교육센터(전 원자력연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산업 인력과 R&D 인력에 대한 교육 및 IAEA 등과 협력하에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 원자력 인력 양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으며 차세대 인력 양성을 위한 노력과 인력 양성을 위한 국제 협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전문인력 양성방안 전략

  • An, Yo-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545-547
    • /
    • 2013
  •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은 고상장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국내기업의 진출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해양플랜트 수요는 고유가와 심해유전 개발의 확대로 산업 시장성은 충분하고 석유 가스 개발이외에도 방대한 해양자원 개발에 필수적이다.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은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산업이며 진출을 위해선 인력양성이 필수적이다. 또한 서비스 산업은 고수익 업종으로 선원 및 조선산업 유휴인력과 조선해야공학 전공자에게 고급 일자리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원고에서는 우리나라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현황과 전문인력 양성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SCO협회, 서울산업대와 MOU체결

  • O, Hye-Eun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0
    • /
    • pp.12-15
    • /
    • 2008
  • ESCO분야 전문 인력양성의 청사진을 ESCO협회(회장 유제인)가 그려내고 있다. 협회는 지난 1월 23일 서울산업대학교 인력양성센터(센터장 김래현)와 ESCO분야 인력양성과 교류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기관은 ESCO 기술연구와 인력교육, 상호교류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협회는 지난해 한국폴리텍1대학과도 인력양성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ESCO분야 전문 인력양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 첫 사업이 진행된 서울산업대를 찾았다.

  • PDF

Analyzing the Industrial Contribu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s in Renewable Energy Sector using Supply-side Input-Output Model (인력공급지장의 측면으로 본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의 산업기여도 분석)

  • Lee, You-Ah;Kim, Jin-Soo;Heo, Eun-Nyeong
    • New & Renewable Energy
    • /
    • v.5 no.4
    • /
    • pp.68-73
    • /
    • 2009
  • 국가 에너지 안보 확보와 친환경적이고 지속적인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인력양성은 시급하고도 중요한 당면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인력양성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인력공급지장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산업연관분석의 공급유도모형을 유도하고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 배출인원을 기준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급유도형의 감응도 계수와 영향력계수 분석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과 타 산업 간의 전후방연쇄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의 평균 영향력계수는 1.37, 평균 감응도 계수는 0.96으로 최종 수요적 제조업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에 의해 배출된 336명의 인력이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공급지장비용은 총 230억이며, 8개 신재생에너지원 중 태양열과 연료전지에 인력 공급지장비용이 타 에너지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분류 기준으로는 일반목적용 기계 산업과 전기기계 장치 산업이 신재생 에너지 인력공급 장애에 따른 지장비용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Case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IT Human Resource Program in Regional Industry (지역특화 IT 인력양성 프로그램 성과분석 사례연구)

  • Park, Jung-Hwan;Kim, Guk-Boh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9 no.1
    • /
    • pp.79-93
    • /
    • 2014
  • IT industry that main domain is future growth engines and convergence industry is based on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convergence others industry. However, shortage of advanced IT workforce is not limited to the region and urban. But, Previous studies is comprehensive research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udies, performance analysis and policy studies, are lacking to achieve the characterization in the region. Accordingly, The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are appearing for activated regional industry through advanc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T convergence. in this study, we propose in order to improve institutions through IT sector performance evaluation.

마리나산업 전문인력 양성방안

  • Hong, J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49-151
    • /
    • 2015
  • 국내 마리나산업은 해양분야 신성장동력 발굴과 함께 새로운 일자리 창출정책과 연계하여 다양한 정책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한편, 마리나산업이라고 하는 새로운 산업분야의 육성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마리나산업과 관련된 국내 기업 환경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중장기적 차원의 체계적 육성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마리나산업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된 정책환경 분석과 함께 전문인력 양성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정보보호 인력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 이형우;이민섭
    • Review of KIISC
    • /
    • v.13 no.2
    • /
    • pp.70-8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대학 및 정보보호 관련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정보보호 인력양성 과정 및 체계를 살펴보고 정보보호 산업 현황을 분석하여 정보보호 인력 양성 방안을 살펴보았다. 우선 정보보호 인력의 기준 및 조건을 검토하고 정보보호 인력이 갖추어야 하는 전공 지식 분야를 분류하였다. 특히 정보보호 교육기관에서의 정보보호 관련 전공 및 유사전공을 통해서 수행되는 인력양성 방안을 기초로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보호 인력양성 방안을 고찰해본다.

Dynamic Interindustry Linkages Analysi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통신분야 인력양성에 대한 동태적 산업연관분석)

  • Cho, Sang-Sup;Lee, Jung-Man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801-806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부분에서 수행한 정보통신분야 인력양성사업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업연관분석방법론에 최근 내생적 성장이론의 이론적 배경을 결합하여 정보통신산업관련 인적자본을 9개 산업으로 분류한 뒤에 정보통신분야에서 인적자본의 후방승수와 전방승수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예산의 투입에 따라 인적자본형성이 매년 증가함에 따라, 정보통신분야 인력양성사업은 경제적 외부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 정부의 IT인력양성사업 중에서 전략적인 부분으로 후방연관효과가 큰 분야는 연구(R&D)분야로 나타나 인력양성(HRD)은 연구분야(R&D)와 연계해야 효과가 높은 것을 반증해 주고 있다. 또한 다른 산업에 유발효과가 높은 분야는 정보통신 서비스 부분(IT응용기술 교육)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력양성사업으로 인한 부정적인 효과인 가격상승효과도 존재하는데, 사업규모도 적고 일회성 사업 등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인력양성사업이 유발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자체 부분의 직접효과와 다른 부분에 미친 간접효과를 합하여 계산할 경우, 전체적으로 정보통신분야 인력양성사업의 경제성은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Contribution for Industry of Renewable Ener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s using Supply-Side Input-Output Model (인력공급지장의 측면으로 본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의 산업기여도 분석)

  • Lee, You-Ah;Kim, Jin-Soo;Heo, Eun-Ny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264-269
    • /
    • 2009
  • 신재생에너지기술 개발인력 확보는 국가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인력양성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인력공급지장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산업연관분석의 공급유도모형을 유도하고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 배출인원을 기준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급유도형의 감응도 계수와 영향력계수 분석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과 타 산업간의 전후방연쇄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의 평균 영향력 계수는 1.37, 평균 감응도 계수는 0.96으로 최종 수요적 제조업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에 의해 배출된 336명의 인력이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공급지장비용은 총 230억이며, 8개 신재생에너지원 중 태양열과 연료전지에 인력 공급지장비용이 타 에너지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분류 기준으로는 일반목적용 기계산업과 전기기계 장치 산업이 신재생 에너지 인력공급 장애에 따른 지장비용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Supply and Demand of e-business and Establishment of guideline (e비즈니스 인력수급 실태조사를 통한 인력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 Lim, Gyoo-Gun;Kim, Jae-Hun;Park, In-Sup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103-108
    • /
    • 2008
  • 급변하는 e비즈니스 환경과 IT기술 발전으로 인해 e비즈니스 인력의 수급예측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e비즈니스 인력수급 불균형, e비즈니스 산업분야별 인력양성 정보제공의 어려움 등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비즈니스 인력수급 실태조사를 통해 e비즈니스 산업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인력양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업체, 교육기관, 취업자 등 조사대상을 3개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e비즈니스 산업 분야별 인력수급 실태와 기존 e비즈니스 인력양성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부의 e비즈니스 인력 관련 정책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기업체, 교육기관에게는 인력양성을 위한 지침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