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업발전

Search Result 10,873,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항공산업 발전비전과 세부 추진전략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Aerospace Industry
    • /
    • v.79
    • /
    • pp.4-9
    • /
    • 2002
  • 지난 7월말 산업자원부와 경제5단체는 세계 4강 실현전략을 담은 ''''2010 산업비전과 발전전략: 산업 4강으로의 길''''을 확정, 발표한 바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미래전략산업의 하나로 분류된 항공산업분야에서 2015년까지 헬기, 훈련기 수출국으로 도약, 세계 10위권 항공업체 육성과 우리나를 항공전자 등 주요 부품의 세계 공급기지로 발전시키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다음은 ''''2010 산업비전과 발전전략''''에서 밝힌 항공산업의 발전 가능성 및 당면 문제점, 항공산업 발전비전, 과제별 세부 추진전략을 중심으로 정리했다.

  • PDF

정보통신산업발전 종합대책-정보통신산업 발전 전략부문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109
    • /
    • pp.38-44
    • /
    • 1997
  • 이 자료는 정부의 "9.3경제활성화대책"과 관련 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정보통신산업발전 종합대책"의 일부로서 "주요국의 정보통신산업정책 기조"와 "국내정보통신산업 발전전략"부문으로 구성된 "정보통신산업 발전전략"의 전문이다.

  • PDF

원자력산업의 산업연관 분석

  • 문기환;김승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981-987
    • /
    • 1998
  • 원자력 발전 산업의 산업연관분석 결과에 의하면, 원자력 발전의 운영을 통하여 1993년에 국내총산출액 및 국내총생산의 0.5%를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력 발전 산업의 생산물인 전력은 다른 산업의 생산활동을 위한 중간재로서 활발히 이용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지표인 중간수요비 즉 전방연관효과가 전체 산업평균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원자력 발전 산업 자체의 생산활동에서 필요로 하는 중간재에 대한 수요 즉, 후방연관효과는 전체 산업평균 보다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원자력 발전 산업의 부가가치율은 다른 발전 산업 중에서 가장 높아서 경쟁관계에 있는 화력 발전산업에 비해 2배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원자력 건설 산업의 경제활동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살펴보면 생산유발계수가 정부투자와 민간투자에 비해 높아 생산파급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입유발계수는 정부투자와 민간투자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터뷰 / 최제유 정보통신부 지식정보산업 과장

  • Sin, Jong-Hun
    • Digital Contents
    • /
    • no.2 s.117
    • /
    • pp.30-32
    • /
    • 2003
  • 지난달 10일 정보통신부는 김태현 정보통신부 차관 주재로 '제1차 온라인디디털콘텐츠산업발전실무위원회'를 개최, 오는 2005년까지 디지털 콘텐츠 산업발전을 위하여 범정부적으로 중점 추진해야할 정책과제를 담은 『온라인디지털콘텐츠산업발전기본계획안(2003~2005)』을 심의 의결했다. 이번에 의결된 기본계획안에 대해 각계는 범정부적 차원의 디지털콘텐츠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추진 틀이 마련됐다고 평가하고, 향후 국내 디지털콘텐츠 산업이 획기적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산업 육성의 주무부처라 할 수 있는 정보통신부 지식정보산업과 최재유 과장을 만나 그동안의 경과와 향후 추진계획을 들어봤다.

  • PDF

이슈&이슈(2) - 건설산업 공생발전위원회 출범 - 건설산업 이미지 개선, 공생발전 정착에 앞장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56
    • /
    • pp.60-65
    • /
    • 2011
  • 건설산업의 선진화와 이미지 제고, 공생발전을 이끌어낼 핵심 허브로 '건설산업 공생발전위원회'가 출범했다. 국토해양부는 지난 10월 18 권도엽 장관 주재로 제1차 건설산업 공생발전위원회를 열고 발주자의 우월적 지위 개선, 하도급대금 미지급 행위 근절, 건설근로자 고용여건 개선 등 다양한 과제들을 논의할 예정이다.

  • PDF

방위산업 자주국방의 초석 국내기술의 결정-유지.발전 정책방향에 대한 제언

  • Choe, Seong-Bi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3 s.169
    • /
    • pp.14-21
    • /
    • 1993
  • 현재 방위산업의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정부는 국가안보 자산으로서의 방위산업에 대한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뚜렷한 방위산업 유지 및 발전 방향을 제시해야 합니다 또한 이를 일관성 있게 추진함으로써 민간기업들의 방위산업에 대한 참여의욕을 고취시켜, 경제발전에 상응하는 방위산업의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입니다

  • PDF

국방과학기술 저변확대 및 산.학.연 연계방안

  • Kim, Hwal-Gil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0 s.176
    • /
    • pp.14-17
    • /
    • 1993
  • 국방산업은 기술에서 최일류여야 한다는 특성을 가지기 대문에 평화산업이든 방위산업이든 "기술을 가진 나라"가 발전에서 우위에 서게 됩니다 그리고 국방기술 저변확대를 넓게는 산업기술의 저변확대라 볼수 있으며, 일본이나 독일과 같이 평화산업기술이 발전된 나라에서는 좁은 의미의 국방기술을 발전시키면 됩니다 결국 국방과학은 종합과학이기 때문에 넓게 보아 국력의 신장과 평화산업기술의 바탕 위에서 국방산업이 발전되며, 국방과학의 저변확대란 국가 과학기술의 전반적 발전을 위한 노력으로 볼수 있습니다

  • PDF

e-러닝산업 현황 및 발전방향

  • Korea Electronics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n Electronics
    • /
    • v.27 no.8
    • /
    • pp.6-11
    • /
    • 2007
  • IT기술의 발전으로 지식의 확산, 이전, 축적이 용이한 e-Learning이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주요분야로 등장하고 있다. 차세대 지식산업으로서 e-Learning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점검해본다.

  • PDF

산업 - 항공산업발전포럼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Aerospace Industry
    • /
    • s.105
    • /
    • pp.32-33
    • /
    • 2009
  • 우리협회는 지난 10월 13일 서울 메리어트 호텔에서 항공산업발전포럼을 개최했다. 국내항공산업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향후 미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주요 발표자의 발표 내용을 정리하여 소개한다.

  • PDF

세계 전시산업과 우리나라의 발전 과제

  • Song, Seong-Su
    • The Journal of Aerospace Industry
    • /
    • s.65
    • /
    • pp.47-69
    • /
    • 2003
  • 전시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지난 40여 년간 거의 불황을 모를 정도로 발전을 거듭하여 왔으나 2000년대 들어 전시산업 관련 업체들 간의 경쟁의 격화, 사이버 박람회의 출현, 인터넷의 보편화 등으로 새로운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현제 세계 전시산업을 전시면적, 참가업체, 참가 객 수 증가를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발전방향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향으로 빠르게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들어 중국의 전시산업은 급속한 경제성장 및 방대한 내수시장을 배경으로 발전 속도가 가속화 되고 있으며 아시아 전시산업의 중심 국가로 발돋움하고 있다. 이제 막 성장 단계에 접어든 우리나라 전시산업은 그간 세계 전시산업 추세를 파악하는데 소홀히 해왔으며 아시아 전시산업 Hub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