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스크리트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in Ancient India (고대 인도수학의 특징)

  • Kim, Jong-Myung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3 no.1
    • /
    • pp.41-52
    • /
    • 2010
  • Ancient Indian mathematical works, all composed in Sanskrit, usually consisted of a section of sturas in which a set of rules or problems were stated with great economy in verse in order to aid memorization by a student. And rules or problems of the mathematics were transmitted both orally and in manuscript form.Indian mathematicians made early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the decimal number system, arithmetic, equations, algebra, geometry and trigonometry. And many Indian mathematicians were appearing one after another in Ancient.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developments in ancient India and the other ancient civilizations. We have found that the Indian mathematics is quantitative, computational and algorithmic by the principles, but the ancient Greece is axiomatic and deductive mathematics in character. Ancient India and the other ancient civilizations mathematics should be unified to give impetus to further develop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in future times.

고대 인도와 그리스의 기하학

  • Kim, Jong-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10.04a
    • /
    • pp.221-221
    • /
    • 2010
  • 고대의 인도수학은 산스크리트어로 쓰여 있고, 최초의 기하학은 베다문헌으로 경전 속에 포함되어 있으며, 성스런 제단이나 사원을 설계하기위해서 발전하였다. 고대 인도의 많은 수학자들은 힌두교의 성직자들로 일찍이 십진법, 계산법, 방정식, 대수학, 기하학, 삼각법 등의 연구에 공헌하였다. 인도 기하학은 양적이며 계산적이지만 원리를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 기하학은 공리적이고 연역적으로 전개되는 완전한 학문으로 발전하였다. 고대 인도와 타 문명권의 기하학을 비교하는 것은 오늘날 문제해결을 중시하는 현대과학의 시대에 가치와 의미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User′s Characteristic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Avatar Acceptance (사용자 특성이 아바타 수용에 미치는 영향)

  • Lee, Seung Hyun;Choi,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93-108
    • /
    • 2003
  • 최근 들어 신세대들은 온라인을 통해서 아바타를 활용하여 가상공간 속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있는 추세이다. 아바타는 ‘분신’, ‘화신’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로 가상공간에서 사용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이다. 가상공간 속에서 오프라인 상에서 표현하지 못한 자신만의 캐릭터를 통해서 자신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개인의 개성을 표출하고 있다. 이러한 아바타의 출현으로 인터넷에서의 자기표현 방식이 외향적인 형태로 변화하는데 이는 새로운 표현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새로운 개념을 수용하는데 있어서 그들이 잠재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특성에 따라서 아바타의 표현이 다각적으로 연출되고 활용되어지고 있다. 이는 신세대들의 자기표현 방식이 다양하기 때문이다고 할 수 있겠다. 신세대들은 또한 새로운 정보통신 기술이 매체를 통해 보급될 경우 수용도가 다른 세대에 비해 빠르다. 이렇듯 아바타의 도입과 활용은 신세대의 자기표현의 상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웹과 핸드폰을 통해서 2D 기반의 아바타가 활용되고 있으며, 신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현재 개발되어지고 있는 3D 핸드폰 아바타의 수용도에 대한 관심도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아바타 개발과 활용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이러한 신세대들의 특성에 따른 아바타의 수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정립되지 못하고 있다. 아바타의 수용에 관한 이론은 심리적 특성 이론으로 자아 존중감, 유행 선도력, 소비가치 등이 있으며, 사용자 수용 이론으로 혁신 성향, 유흥 성향 등이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신세대 대학생들의 특성에 따라서 아바타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들의 특성을 심리적 특성이론과 사용자 수용이론으로 구분하여 이 특성에 따라서 향후 개발될 3D 핸드폰 아바타의 수용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대한 자료 수집방법은 D대학교의 교양과목인 “사이버문화의 이해와 활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170부를 설문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한 총 164부를 유효한 설문으로 확보하였다. SPSSWIN 10.0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Cronbach's Alpha값을 통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성 분석을 하고, 연구변수로 선정한 각 요소들의 아바타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특성과 사용자 수용 특성은 아바타 수용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 결과가 나타났다.

  • PDF

From the Shintong of the Buddha to the Shini of Eminent Monks (붓다의 신통에서 고승의 신이로)

  • Jung, Chun-koo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9
    • /
    • pp.215-247
    • /
    • 2021
  • In Buddhism, there are specific terms related to miracles and miraculous acts such as the Sanskrit term, abhijñā, which was translated as into Chinese characters as shintong (神通). This term implies the six supranormal powers. It originally meant 'direct knowledge,' 'high knowledge,' or 'knowledge beyond the common senses,' which was understood as a superhuman and transcendental ability possessed by Buddhas, Bodhisattvas, and noblemen. However, this took on different meanings and morphed into different terms later in India and China. This article analyzes the subject, object, type, and purpose of these shintong, focusing on the Sutra for the Householder Kaivarti (堅固經, Gyeonggo-gyeong, Kaivarti-sūtra) from the Longer Discourses (長阿含經, Jang-Ahamgyeong, Dīrghâgama) and exemplary Buddhist texts such as the Sanskrit, In Praise of the Acts of the Buddha (佛所行讚, Bulsohaengchan, Buddhacaritam) and the Chinese Records of Eminent Monks (高僧傳, goseungjeon) and Continued Records of Eminent Monks (續高僧傳, Sok-goseungjeon). The historical evolution and changes to the meaning of Shintong in Indian and Chinese contexts can be observed through these texts. In the Sutra for the Householder Kaivarti, the Buddha said that there are three kinds of Shintong: supranormal footedness (神足, shinjok, ṛddhi-pāda), mindreading (觀察他心, gwanchaltashim, anya-mano-jñāna), and education (敎誡, gyogye, anuśāsana). Among them, supranormal footedness (multiplying one's body, teleportation, flying, walking on water, etc.) and mindreading were denied because, at that time, claims of this nature were used to appeal to people's emotions and inspire sincerity, but this was of no use in conveying the Buddha's teaching. On the other hand, education, acquired only with through enlightenment, was sanctioned as a shintong unique to Buddhism. However, in In Praise of the Acts of the Buddha, supranormal footedness and mindreading were described as important ways to lead people to enlightenment, while education pertained to the whole of spiritual work. In China, Buddhism was a foreign religion at first, and it urgently sought to be accepted. After the increase of its religious influence, introspection on discipline and practice was meant to firmly deepen its roots. In line with this, shintong and miracles were transformed and expanded to suit the Chinese cultural context. Such changes in Buddhist history are well illustrated by the shini (神異, miraculous powers) described in Records of Eminent Monks and the gamtong (感通, penetration of sensitivity) detailed in Continued Records of Eminent Monks. In Records of Eminent Monks, the subject of shini was that of eminent monks and its objects were those who did not know of Buddhism or believe in it. In Continued Records of Eminent Monks, however, the monks themselves could be objects of shini. The change of object suggests that the purpose had shifted from edification to awareness and self-reflection. Shini focused on edification, whereas gamtong re-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pure discipline and practice of monks during the 6th and 7th centuries when China became predominantly Buddh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