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성땀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Dyeability using Characteristics of Curly Dock (참소리쟁이의 특성을 이용한 염색성 연구)

  • Son, Won-Kyo;Shin, Jung-Sook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4 no.2
    • /
    • pp.260-270
    • /
    • 2006
  • In this research, the curly dock was used in the process of dyeing for fabrics of the inner wear & the patient wear. Since the curly dock has a pharmacological effect on dermatosis, this study focused on the variety of color and functions of the inner wear fabrics & patient wear fabrics to make the best use of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curly dock. With regards to giving a variety of colors and functions in the inner wear, patient wear fabrics, the curly dock dye was used in each treatment conditions on the cotton & silk fabrics. After dyeing, the dyeability, color change, light fastness, washing fastness, perspiration fastness, antibiosis, far infrared emissivity and emission power were evaluated. The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The dyeablity increased from repeated dyeing and, by using the mordant, variety of colors such as skin, mustard, greyish-brown and dark earth colors were conformed to the naked eye. Fe mordant was better than Al on the lightfastness and the washing fastness. The repeated dyeing was found out to have less effect on neither lightfastness nor washing fastness. Both silk and cotton fabrics were graded $3{\sim}4$, since their degree of degradation appeared to be the same in alkali perspiration and acidic perspiration. In the case of silk fabrics mordanted by Al, the rate of declining in both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and Klebsiella pneumonia ATCC 4352 were 99.9%. In addition, the antibiosis was enhanced when the mordant was used. The far infrared was 86.6% of emissivity, $3.34{\times}10^2\;W/m^2{\cdot}{\mu}m$ emission power.

  • PDF

Dyeabilities of Elastic Composite Yarn Woven Fabrics (탄성복합사를 이용한 직물의 염색성에 대한 연구)

  • Kim, Ji-Yeon;Kim, Sang-Wook;Min, Mun-Hong;Lee, Sang-Bong;Park, Yeon-Bong;Kang, Shin-Hyeok;Yeum, Je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108-108
    • /
    • 2012
  • 이전의 연구에서 기존의 ATY 장치에 ITY 노즐을 접목하여 개조한 사가공기로 제조한 탄성복합사를 자동차 시트용 트리코트 원단으로 편직하여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염료를 선정하고 $125^{\circ}C$에서 염색하여야 견뢰도와 spandex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폴리에스테르 탄성복합사의 염색성 평가에 이어 본 연구에서는 나일론 필라멘트 (70/24, Full-dull, 2ply사와 40D spandex 1ply사 복합)와 레이온사(75D, 1ply)를 투입하여 직물 원단(중량 216g/yd, 밀도 경사 78, 위사 52본/inch)을 제직한 후 2욕에서의 염색공정을 거칠 경우, 탄성복합사의 견뢰도와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나일론, 레이온, 폴리우레탄의 3종 원단을 염색성 평가를 위하여 반응성염료로 먼저 레이온 부분을 염색한 후 산성염료로 나일론 부분을 염색하였으며, 이 때 spandex가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spandex가 함유되지 않은 나일론, 레이온 복합 제직원단도 함께 염색한 후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레이온 부분은 CPB염색법과 제트염색기로 나누어 염색하여 염색기에 따른 인장강도와 인열강도를 평가하였다. 레이온 염색에는 셀룰로오스용 2관능기 반응성염료 3원색을 이용하여 khaki color로 combination염색하였으며, 나일론 부분에는 입자크기가 커서 견뢰도가 우수한 산성염료를 선정하여 combination염색한 후 냉수세하였다. 견뢰도를 비교한 결과, spandex가 포함된 탄성복합사 원단과 나일론과 레이온 만으로 제직된 원단 모두 세탁, 마찰, 물, 땀, 일광 견뢰도 모두가 4~5급으로 우수하여 spandex에 이염된 염료가 견뢰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레이온 부분의 반응성염료 염색 시 CPB와 제트염색법의 두 가지 종류에 대한 인장강도와 인열강도 평가결과는 CPB 염색물이 제트염색물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지만 3% 이내의 차이로 거의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제트염색 시 원단은 로프상으로 이동하고, CPB염법은 확포상태 그대로 염색되기 때문에 제트염색 시 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탄성복합사를 경사, 위사 모두 사용함으로써 spandex가 신장하는 특성 때문에 강도의 저하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