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사태 위험지도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Verification of Landslide Hazard using RS and GIS Methods (RS와 GIS 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성의 검증)

  • Cho, Nam-Chun;Choi, Chul-Uong;Jeon, Seong-Woo;Han, Ky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2
    • /
    • pp.54-66
    • /
    • 2006
  • Korea Forest Service made the landslide hazard map for all mountainous districts over the country in May 2005. In this study, we selected landslide areas occurred in Jeonbuk from 02 August 2005 to 03 August 2005 as the study area. We extracted landslide areas using images taken by PKNU 3 System, which was developed by PE&RS Laboratory in Dept. of Satellite Information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verified the accuracy of landslide hazard map by overlaying landslide hazard areas extracted by PKNU 3 images. And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an altitude, a gradient, an inclined direction, a flow length, a flow accumulation for landslide areas using mountainous terrain analysis and Stream Network analysis of ArvView 3.3.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unitage(%) by the class and to modify and improve the score table for prediction of landslide-susceptible area forming the foundation of making the landslide hazard maps.

  • PDF

Verification of Landslide Hazard Using RS and GIS Methods (RS와 GIS 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검증)

  • Cho Nam-Chun;Choi Chul-Uong;Yoon Dung-Jin;Park Young-Bum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287-290
    • /
    • 2006
  • 2005년 5월 산림청에서 전국 산지를 대상으로 산사태 위험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2005년 8월 $2{\sim}3$일 전북지역에서 발생된 산사태 지역을 대상으로 위험지도의 정확성 검증을 위하여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PE&RS Lab에서 개발한 PKNU 3호 시스템으로 촬영하였다. PKNU 3호 영상을 이용 산사태 발생 지역을 추출한 후 산사태 위험지도와의 중첩을 통하여 산사태 발생 지역의 고도, 경사도, 경사방향, 하천장, 유하면적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산사태 위험지도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 PDF

Preparation of Landslide Hazard Map Using the Analysis of Historical Data and GIS Method (GIS 기법 및 발생자료 분석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

  • Yun, Hong-Sik;Lee, Dong-Ha;Suh, Yo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4
    • /
    • pp.59-73
    • /
    • 2009
  •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GIS-based landslide hazard analysis by employing historical landslide data in Korea, coupling with geomorphological, geological, climatic and rainfall data. Based on 596 landslide data from 2001 to 2003, the correlations between landslide occurrence and various factors (elevation, slope angle, slope aspect, soil type and rainfall) that affect the occurrence were estimated by the statistical analysis, zonal statistics. The weights and hazard indices of 6 raster layers were derived from the estimated correlations in order to generate a landslide hazard map by applying raster calculation technique. As a result of this study, GIS technique can be used effectively to incorporate the landslide hazard contributions from various data sets simultaneously.

  • PDF

Produce complex disaster maps centered on local roads through overlay of disaster maps (유역 개념을 이용한 지방도 중심의 복합재해지도 제작)

  • Jo, Hang Il;Jun, Kye Won;Kim, You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9-239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집중호우와 태풍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국토는 전체면적 중 산지면적이 63%에 해당하여 산지에서 발생하는 산사태와 토석류에 취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대비하기 위해 국내·외에서는 재해지도를 제작하여 관리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재해지도는 격자형식으로 제작되어 있어 실무자들이 활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지재해에 취약한 강원도 강릉시 지방도를 대상으로 산림청에서 개발한 산사태위험지도와 토석류 위험지도를 중첩하여 복합재해지도를 제작하였다. 먼저 산사태위험지도에 유역의 개념을 도로에 적용하고서 지방도로를 200m 간격으로 분할하여 도로 중심으로 유역을 제작하였으며, 해당 유역에 산사태위험면적과 토석류위험면적 값을 이용하여 도로의 등급을 1등급(매우 위험) ~ 5등급(매우 안전)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복합재해지도 결과의 검증을 위해 SINMAP모형을 이용하여 오차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15% 이내인 것으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복합재해에 대비 할 수 있는 유역의 개념을 적용한 재해지도를 제작하며 도로관리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재해지도를 쉽게 이해하고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Risk Impact Map Development of Considering the Debris flow Hazard and Impact Level (토석류 발생가능성 및 시설안전성을 고려한 토석류 위험지도작성에 관한 연구)

  • Nam, Dong Ho;Lee, Suk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6-296
    • /
    • 2019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2차 피해인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국내의 산사태 및 토석류에 대한 선행연구는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나, 산사태 및 토석류 위험성이 높은 구간, 즉, 발생기작을 판단할 수 있도록 지표화 해놓은 것이며, 현재 피해예측지도 및 피해 하류부의 시설물을 고려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모형인 S-RAT모형 및 토석류 수치해석 프로그램 RAMMS 모형을 이용하여 산사태 및 토석류 피해를 극대화 시키는 인자인 토석유동심(H), 토석유속(V)을 이용하여 토석류피해예측지도를 작성하였으며, 피해 하류부의 시설물을 건물 유형별 시설물의 중요도로 구분하였다. 또한 작성된 피해예측지도 및 시설물 중요도를 중첩하여 위험성 지도를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Risk Assessment Method for Earthquake-Induced Landslides (지진에 의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 Seo, Junpyo;Eu, Song;Lee, Kihwan;Lee, Changwoo;Woo, Choongshi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4
    • /
    • pp.694-709
    • /
    • 2021
  • Purpose: In this study, earthquake-induced landslide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and preemptive damage prevention by selecting the erosion control work before the earthquake and the prediction and restoration priorities of the damaged area after the earthquake. Method: The study analyzed the previous studies abroad to examine the evaluation methodology and to derive the evaluation factors, and examine the utilization of the landslide hazard map currently used in Korea. In addition, the earthquake-induced landslide hazard map was also established on a pilot basis based on the fault zone and epicenter of Pohang using seismic attenuation. Result: The earthquake-induced landslide risk assessment study showed that China ranked 44%, Italy 16%, the U.S. 15%, Japan 10%, and Taiwan 8%. As for the evaluation method, the statistical model was the most common at 59%, and the physical model was found at 23%. The factors frequently used in the statistical model were altitude, distance from the fault, gradient, slope aspect, country rock, and topographic curvature. Since Korea's landslide hazard map reflects topography, geology, and forest floor conditions, it has been shown that it is reasonable to evaluate the risk of earthquake-induced landslides using it.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risk of landslides based on the fault zone and epicenter in the Pohang area, the risk grade was changed to reflect the impact of the earthquake. Conclusion: It is effective to use the landslide hazard map to evaluate the risk of earthquake-induced landslides at the regional scale. The risk map based on the fault zone is effective when used in the selection of a target site for preventive erosion control work to prevent damage from earthquake-induced landslides. In addition, the risk map based on the epicenter can be used for efficient follow-up management in order to prioritize damage prevention measures, such 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landslide damage after an earthquake, or to restore the damaged area.

Causual Analysis on Soil Loss of Safety Class Oryun Tunnel Area in Landslide Hazard Map (산사태 위험지도에서 안전등급지역인 오륜터널 일대의 토사유실 원인분석)

  • Kim, Tae Woo;Kang, In Joon;Choi, Hyun;Lee, Byung G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1
    • /
    • pp.17-24
    • /
    • 2016
  • At present, summer cloudburst and local torrential rainfalls have increased in this country, because of climatic change. Therefore, studies on prevention of soil loss have been actively proceeded, and Korea Forest Service has offered landslide hazard map. Landslide hazard map divides risks into 5 classes, by giving weight with 9 kinds of elements. In August 25 2014, soil loss occurred in the whole Oryun Tunnel, Geumjeong-gu, Busan, because of local torrential heavy rain. As a result of comparing with landslide hazard map, the area where soil loss occurred in reality is a safety zone on hazard map. Rainfall, soil map, geological map, forest type map, gradient, drainage network, watershed, basin shape, and efflux of the whole Oryun Tunnel where soil loss occurred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 analysis, it is judged that soil, forest type, much efflux and peak discharge, degree of water network and basin shape of a place where landslide occurred are causes of soil loss. It is judged that efflux, peak discharge, and basin shape by the localized rainfall that is not considered in landslide hazard map of them are the biggest causes of soil loss. It is judged that efflux, peak discharge, degree of water network and basin shape by the rainfall are important through a study on a causual analysis on soil loss in the whole Oryun Tunnel where is one of occurrence area where a lot of propertywere lost by the record local torrential rainfalls. A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should be prepared by considering these elements on judgement of a landslide hazard area.

A study on the Debris Flow Hazard Evaluation using sinmap (sinmap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

  • Lee, Geun-baek;Yun, Hong-Sic;Kim, Tae-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428-432
    • /
    • 2016
  • 자연재해는 전 세계적으로 몇 조원에 이르는 피해를 주고 있으며 근래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현상으로 집중호우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홍수, 산사태 토석류 등 발생빈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2011년 서울에서 발생한 우면산 토석류의 피해와 강원도 일부 지역의 피해로 인해 많은 피해가 일어났으며, 국가에서는 산사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는 위험한 지역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등 예방사방을 실시하고, 단기적으로는 위험요소의 제거와 위험지역의 예측을 통한 경계피난체재를 철저히 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강원도는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년 집중호우나 태풍이 지나간 다음, 많은 양의 강우량으로 인해 산길을 지나는 도로에 토석류로 인해 길이 막혀 이동이 불가능 하게 되거나 산지 아래에 있는 건물이 산에서 쓸려서 내려오는 토사와 나무에 의해 파괴되어 물질적인 피해를 입는 영상이 뉴스를 통해 많이 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설명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연구 지역은 춘천지역을 대상으로 SINMAP 모델 기법의 조도계수와 특성을 고려한 위험지도를 작성하였고 산사태 일부 지역에 대한 위험도 평가를 하였다.

  • PDF

Disaster Analysis of Local roads in Gangneung-si, Gangwon-do through Overlapping disaster maps (재해지도 중첩을 통한 강원도 강릉시 지방도로의 재해위험분석)

  • Kim, Younghwan;Jun, Kyewon;Lee, H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26-226
    • /
    • 2020
  •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와 태풍의 영향으로 토석류를 동반한 산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산지에서 짧은 시간동안 강우가 집중되어 발생하는 토석류는 고수위의 홍수파를 형성하며 유목 및 흙, 자갈 등이 함께 유동하여 주변도로와 하류지역의 민가나 하천구조물에 큰 피해를 발생시킨다. 특히 강원도 지방도로의 경우 대부분이 산지와 급경사지로 이루어져 있어 집중호우시 산사태나 토석류에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부처별로 다양한 풍수해 관련 재해지도를 작성하여 제공하고 있지만 표준모델이 없고, 서로 다른 형태의 지도를 관리하고 있어 재난 발생 시 도로관리에는 효율적인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 시 효율적인 지방도로 관리를 목적으로 다양한 재해지도의 중첩을 실시하였다. 또한 도로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재해를 분석한 결과 산사태와 토석류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해당 재해지도를 중첩하여 지방도로 중심의 재해지도를 작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