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림자원

Search Result 1,260,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Database Design for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using a Drone (드론을 이용한 산림자원 정보관리를 위한 DB 설계)

  • Oh, Sun J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3
    • /
    • pp.251-256
    • /
    • 2019
  • With the fast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the interests concerned about the significance of nature and environment become major issue nowadays. Especially, threats for our health due to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fine dusts become serious problem with the fast industrialization of our society, and extra attention is focused on interests about conservation of nature and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Precious forest resources, however, are not properly managed and destroyed vainly due to frequent fire, damage by storms and floods, and unplanned land development. So systematic and scientific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are requir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efficiently. Furthermore, implementation of the forest resource information database that contains information of trees, Topography, ecosystem of the forest is urgently needed.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the forest resource information databas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location based forest resources and Topography using forest images taken by a drone, that enables us to manage forest resources efficiently, make decision for logging, and construct a future tree-planting project easily.

Database Design for Growth Prediction of Forest using Drone Photo (드론 항공사진을 이용한 산림의 성장예측을 위한 DB 설계)

  • Oh, Sun J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4
    • /
    • pp.709-714
    • /
    • 2020
  • Forest resources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 that can affect the nature environment directly in modern society. Due to the fast industrialization of our country and marginal states like China, many people suffer torments from severe environmental pollution like yellow and fine dusts everyday recently. So the interests concerned about the significance of nature and environment become major issue nowadays. Precious forest resources, however, are not properly managed and destroyed vainly due to frequent mountain fires, damages by floods, and unplanned land development in real world. Therefore, efficient forest management is required to solve these problems effectively. In this research, we design and implement the forest information database that can predict the growth of forest resources and enables us to manage forest resources efficiently, make decision for logging, build the waterway to prevent flooding, and construct a future tree-planting project easily using forest aerial photograph taken by a drone in order to deploy and manage the forest resources scientifically and systematically.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Forest Life Resources in Jeju (제주지역 산림생명자원의 보존과 활용)

  • Eun-Young Y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24-24
    • /
    • 2022
  • 제주는 면적에 비해 생물종다양성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된다. 한반도 자생 관속식물은 4,500여종으로 이 중 50%에 달하는 2,200종이 제주에 분포하고 있으며 최근 30년간 80여종의 미기록 식물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선태식물과 산림버섯 분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지리적 위치, 기후적 조건, 한라산으로 인한 수직 식생 분포, 특이산림생태계로 인한 입지 환경의 다양성과 관련이 있다. 동시에 제주는 희귀 및 유용 산림생명자원의 보고이다. 제주에서 수집하여 종의 실체를 확인한 2,167종을 대상으로 희귀성과 유용성을 평가한 결과 제주고사리삼, 구상나무, 갯취 등의 희귀·특산 식물이 400종, 흑오미자, 제주백서향, 황칠나무 등의 유용식물이 781종에 달하였다. 또한 제주는 우리나라에서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한 지역으로 동북아시아 기후변화의 요충지로 전망되고 있다. 한라산의 구상나무가 쇠퇴하는 등 이상 징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동북아시아 아열대 최북한계지로서 한반도 생물지리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고야의정서 발효와 기후위기로 산림생명자원의 보존과 활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제주는 우선 연구 대상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절멸 위기에 처한 종의 보존과 유용 산림생명자원의 활용 기반 마련을 위해 수집 및 탐색-빅데이터 기반 구축-증식기술 개발-현지내·외보존원 조성 및 관리 기술 개발 등의 일련의 연구를 20년 이상 수행해 왔다. 여기에서는 제주지역 산림생명자원의 가치와 함께 보존과 활용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산림 바이오 소재 산업화와 관련된 학계와 임업인 및 기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Warm Temperate species extract Analysis for Jeollanamdo Forest Resources Institute extracts Bank Data building (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추출물은행 데이터 구축을 위한 난대수종의 추출물 분석 연구)

  • Kim, Hyun-Woo;Jo, Geon-Ung;Yeo, Hye-jeong;Kim, Hyeon-Seok;Eo, JI-Hyun;Beak, Hyo-Eun;Park, Jong-Seok;Oh, Chan-Jin;Oh, Deuk-sil;Park, Hwa-Si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101-101
    • /
    • 2019
  • 나고야 의정서가 국내에 본격 시행됨에 따라 전남산림자원연구소는 도내 유용 산림 자원의 주권 확립 및 자원 정보의 DB 구축을 위하여 산림생명자원 추출물은행을 운영 중에 있다. 그 일환으로 1차년 난대 수종 4종(동백, 비자, 편백, 황칠)의 부위(잎, 가지) 시기(1차:4월, 2차:7월, 3차:9월, 4차:11월) 용매별(열수, 에탄올) 추출물을 제작하여, 유효성분 및 생리활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함량을 150 ug/g 이상을 기준으로 분석 분류한 결과, 동백 잎(4차) 열수, 가지(1, 3차), 잎(4차) 에탄올, 비자 잎(3, 4차) 열수, 가지(2, 3차), 잎(1, 3, 4차) 에탄올, 편백 가지(3차) 열수, 잎(3차), 가지(2, 3차) 에탄올, 황칠 잎(2, 3, 4차)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의 총 폴리페놀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프리라디칼(DPPH) 소거능을 측정하여 50 % 이상을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동백(1~4차), 가지(1~3차) 열수, 잎(1~4차), 가지(1, 3, 4차) 에탄올, 비자 잎(3차) 열수, 잎(2, 4차) 에탄올, 편백 잎(3, 4차), 가지(1차) 열수, 잎(1~3차), 가지(1, 3, 4차) 에탄올, 황칠 잎(2~4차)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프리라디칼(DPPH) 소거능을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이, 수종별로 부위 시기 용매별 추출물에 따른 유효성분과 생리활성에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화 활용 시 채취 시기 및 부위를 특정 하는 자료로 도움 될 것으로 생각되며, 지속적으로 연계 추출 및 분석을 통해 보다 유의성 있는 자료 수집을 계속 진행 중 입니다. 이러한 산림생명자원 추출물은행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심도 있게 반복적인 데이터를 수집 구축하고, 연구개발에 활용한다면, 고부가가치 임산 자원을 개발 및 산업화에 큰 도움이 되고 임업임 소득증대에 기여할 것이다.

  • PDF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il Properties and Albiflorin, Paeoniflorin Contents of Paeonia lactiflora Pall. (작약의 Albiflorin, Paeoniflorin 함량과 토양특성 간의 상관관계 연구)

  • Eo, Hyun Ji;Park, Youngki;Park, Gwang Hun;Kim, Ji-Ah;Kim, Da Som;Kang, Yeongyeong;Kim, Kiyoon;Jang, Jun Hyuk;Kim, Hyun-Ju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4 no.4
    • /
    • pp.384-394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oil properties and marker compounds contents of Paeonia lactiflora. The methods of determining marker compounds were validated by measuring the linearity,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precision, accuracy and recovery using UPLC analysis. P. lactiflora contained albiflorin at 0.04 ± 0.00 ~ 2.79 ± 0.21%, paeoniflorin at 1.98 ± 0.14 ~ 6.67 ± 0.84%. The root dry weight (RDW) of P. lactiflora was 0.06 ± 0.02 ~ 1.27 ± 0.28 kg. The soil properties analysis such as soil pH, electric conductivity (EC), organic matter (OM), total nitrogen (TN), available phosphate (Avail. P2O5), exchangeable catio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were performed following standard analysis manual.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il properties and growth characteristics, available P2O5 was positively coreelated with the RDW of P. lactiflora. On the other hand, the RDW of P. lactiflora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tents of albiflorin and paeoniflorin.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might be help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establish of standard cultivation by the investigat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and marker compound contents of P. lactiflora.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il Bacterial Communit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 er) in Different Forest Phy siognomy (임상별 토양세균군집과 산양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 분석)

  • Kiyoon Kim;Hyun-Jun Kim;Yurry Um;Dae-Hui Jeong;Jeong-Hoon Huh;Kwon-Seok J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61-61
    • /
    • 202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임상 중에서 침엽수림과 침활혼효림으로 구성된 산양삼 시험포지를 선정하고, 임상별 토양의 토양세균군집을 분석하여 산양삼 생육특성과의 상관관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산양삼 시험포지는 침염수림으로 구성된 충주 산양삼 종자공급단지와 침활혼효림으로 구성된 함양 산양삼 종자공급단지를 선정하여 각각 조성하였다. 토양세균군집 분석은 pyrosequencing analysis (Illumina platform)를 이용하였고, 토양세균군집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임상별 시험포지의 토양세균은 두 시험포지 모두 Acidobacteria가 우점종으로 확인되었다. 주좌표 분석을 통해 임상별 산양삼 시험포지에서 우점하는 토양세균 군집을 확인한 결과, 먼저 토양세균 군집은 임상별 시험포지에 따라 군집화를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결과, 토양세균 군집의 상대적 빈도수는 수종 비율에 따라 상이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_class, Phycisphaerae는 침엽수의 비율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Nitrospirae, Chlamydiae, Planctomycetia, Acidobacteria_6는 활엽수의 비율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별 산양삼 시험포지의 토양세균 군집과 산양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Nitrospirae, Chlorobi, Planctomycetia, Acidobacteria_6가 산양삼의 생육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산림환경에서 토양세균군집과 산양삼 생육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명확하게 구명할 수 있다면 향후 산양삼의 최적 재배지를 선정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산림의 환경보전기능에 대한 평가

  • Yun, Yeo-Cha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5 no.1
    • /
    • pp.137-164
    • /
    • 1995
  • 산림은 목재와 산채의 생산과 같은 물질생산의 기능이 있는 동시에 탄소를 고정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광합성작용을 통하여 대기를 정화하며 지표토양의 침식을 방지한다. 또한 산림은 여러가지 동식물의 서식처로서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시에 도시민에게 휴식처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산림의 다양한 기능 가운데 그 가치가 공식적으로 인정이 되고 있는 것은 목재나 약재와 같이 시장에서 유통되는 임산물의 생산기능에 제한되고 있어 산림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를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산림이 지니고 있는 환경보전기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서구 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산림의 환경보전적 가치의 평가에 관한 연구 추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산림의 환경보전적기능의 평가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 체계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환경자원평가 방법을 산림의 환경보전가치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였으며, 적용장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산림의 환경보전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생산함수법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이 방법의 적용이 불가능할 경우 가계생산함수법과 실험시장법은 보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Establishing Forest Landscape Management Plan (산림경관계획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Chan-Woo;Jeong, Mi-Ae;Lee, Yeon-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2
    • /
    • pp.300-308
    • /
    • 2015
  • Landscape planning system established in 2007. It is necessary that forest landscape management will be established based on the long-term and wide scope plan for forest management. This study suggested the considering factor while the establishing forest landscape plan for forest characteristics. Forest landscape type was consisted of 4 medium classification(geographical resources, waterscape, forest resources, cultural resources) and 12 small classification(geographical resources: panorama of ridge, ridge of curious rock peaks, waterscape: waterfall, valley, lake, forest resources: crown layer scenery, royal azaleas of main ridge, autumnal tints of ridge slope, flowers in herbaceous plants, inside of forest, forest trail scenery, cultural resources: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ed that consideration on 6 functions of forest in landscape zone planning and forest landscape management plan each classification (main ridge, sense of season, waterscape, rock resources).

Study of Root Characteristics of Angelica gigas Nakai in Plantations using a Micro-CT Camera (Micro-CT 촬영기법에 의한 재배지 참당귀의 뿌리 특성)

  • Jeong, Dae Hui;Kim, Ki Yoon;Sim, Su Jin;Jung, Chung Ryul;Kim, Hyun Jun;Jeon, Kwon Seok;Park, Hong Woo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27 no.5
    • /
    • pp.307-314
    • /
    • 2019
  • Background: We measured the weight characteristics, intercellular space volume as a proportion of root volume, and quantities of the functional component in Angelica gigas Nakai, collected from four cultivation areas in Pyeongchang, including Tapdong-ri and SangjinBu-ri, and tested the results for correlations. Methods and Results: Dry weight was the highest in the Tapdong-ri group ($13.37{\pm}0.13g$) and the lowest in the SangjinBu-ri group ($11.90{\pm}0.57g$). The percentage of intercellular spaces within the roots, determined by micro-CT camera, was the highest in the Tapdong-ri group ($6.44{\pm}0.76%$) and the lowest in the SangjinBu-ri group ($9.01{\pm}2.15%$). The quantity of functional components were the highest in the Tapdong-ri group ($116.13{\pm}9.53mg/g$) and the lowest in the SangjinBu-ri group ($99.77{\pm}23.23mg/g$). Conclusions: The dry weight of A. gig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volume and percentage of intercellular space. An increase in the dry weight resulted in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and ratio of the intercellular spaces. The volume of intercellular space correlated negatively with levels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this was significant in the case of the nodakenin,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content (p < 0.016).

Situation of Community Forest Resource Management in Vietnam (베트남의 지역사회 산림자원 관리 상황)

  • Bui, The-Hung;Nguyen, Quang-Dung;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1 no.1
    • /
    • pp.209-216
    • /
    • 2004
  • 베트남은 국토의 3/4이 고산지대이며 1천만ha의 산림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비효율적인 산림관리로 인해 산림의 규모와 질이 점차적으로 악화되어 왔다. 국가기관이 관리하는 대규모산림과 개인소유의 산림은 비교적 관리가 잘 되는 반면, 지역사회가 관리하는 고산지대의 산림은 제대로 관리되지 뭇하고 있다. 이 연구는 베트남 지역사회 산림관리의 실제와 문제점들을 고찰하였다. 지역사회에 의한 산림관리는 새로운 제도라기 보다는 이미 지역주민에 의해 개발되어진 전통적인 관리방식으로 1955년 토지개혁 이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지역사회산림은 지역에 적합한 지식과 제도에 따라 관리됨으로 산림의 보호와 지역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었음에도 여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산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물리적, 제도적 여건의 많은 변화속에서 지역사회 산림의 회복과 관리를 위해서 지속적인 실험과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