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란종계

Search Result 10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산란계의 케이지 면적과 사육수수

  • 장낙필
    • KOREAN POULTRY JOURNAL
    • /
    • v.7 no.11 s.73
    • /
    • pp.119-120
    • /
    • 1975
  • 최근 국내의 산란계 사육방식은 일부 특수한 종계를 제외하고는 거의 케이지로 사육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동안 많은 연구가 계속되어 진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산란계 한 마리당 필요로하는 케이지의 면적이라든지 케이지 한칸에 몇 마리를 넣어야 적당한지의 여부등 많은 과제가 뚜렷한 정설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북구라파의 스웨덴에서도 계사시설이 케이지로 급격히 바뀌어 지고 있어 케이지에 관한 여러 가지 사양시험의 결과가 계속 발표되고 있는 바 다음은 Poultry international 1975. 10월호에 발표된 것을 간단히 옮겨 보고자 한다.

  • PDF

People Inside - 곽용숙 대표(꼬꼬감별)

  • Jang, Seong-Yeong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9 no.11
    • /
    • pp.140-142
    • /
    • 2017
  • 창간호를 맞아 197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왕성하게 활동했던 육계${\cdot}$산란계${\cdot}$종계 병아리${\cdot}$메추리 등 암수 감별전문가 곽용숙 대표를 만나 인터뷰한 내용을 소개한다.

Effects of Dietary Isoflavone and Casein Phosphopeptide on Hatching Egg Production and Eggshell Quality in Aged Egg-Type Breeder Hens (산란종계 사료 내 이소플라본 및 Casein Phosphopeptide의 첨가가 종란 생산성 및 후기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

  • 김은집;유선종;김용란;안병기;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8 no.5
    • /
    • pp.671-682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a levels and some feed additives such as isoflavone and casein phosphopeptide (CPP) on eggshell quality and hatching egg production in aged egg-type breeder hens. A total of three hundred and sixty, 56-week-old Hy-Line Brown breeder hen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nd fed experimental diets of two levels of Ca (3.3% or 3.6%) either with addition of 0.2% isoflavone, 0.5% CPP or devoid of all for 5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ying performances and settable egg production among the groups. Significant increases (P<0.05) in eggshell strength were observed with increasing dietary Ca and addition of isoflavone, but not with addition of CPP. Fertility and hatchability were not influenced by dietary Ca and addition of isoflavone or CPP. The treatment had few significant effects on tibial proximal compositions and breaking strength. The concentrations of Ca, P, estrogen and calcitonin in serum were not affected by the dietary treatmen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relatively high level of dietary Ca in combination with isoflavone had a beneficial effect on improving eggshell quality in aged egg-type breeder hens. But hatching egg production was not affected by dietary isoflavone or CPP.

Effects of Dietary Safflower Seed Powder and Chitosan on Hatching Egg Production and Eggshell Quality in Aged Egg-type Breeder Hens (홍화씨 분말 및 키토산의 사료 내 첨가가 종란 생산성 및 후기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

  • Kim E.J.;Shin S.C.;You S.J.;Ahn B.K.;Kang C.W.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3 no.1
    • /
    • pp.15-24
    • /
    • 200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afflower seed (SFS) powder and chitosan on hatching egg production and eggshell qualify in aged egg-type breeder hens. A total of four hundred 54-week-old Hy-Line Brown breeder hens were divided into five the groups and fed experimental diets either with addition of 0.25 and 0.50% SFS powder or 0.10 and 0.20% chitosan or devoid of all for 6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and laying performances among the groups. The rate of sellable egg in the groups fed diets containing SFS powder or chitosa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control (P<0.05), irrespective of dose-dependent manner. The addition of SFS powder or chitosan significantly improved the eggshell strength (P<0.01). Eggshell thickness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s 134 diets containing chitosan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P<0.01). Fertility and hatchability of egg se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dietary chitosan that those of control (P<0.05). ike contents of tibial Ca and 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s fed diets containing 0.5% SFS powder, 0.1 and 0.2% chitosan a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The levels of blood estrogen, calcitonin and parathyroid hormone were not affected by the dietary treatments. The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er use of some feed additives such as safflower seed powder and chitosan might provide means of improving eggshell quality and reproductive performances in aged egg-type breeder hens.

육용종계의 영양

  • 최진호
    • KOREAN POULTRY JOURNAL
    • /
    • v.26 no.12 s.302
    • /
    • pp.132-135
    • /
    • 1994
  • 육용종계 암탉의 사양관리는 하나의 예술이라고 한다. 이 말은 육용종계의 관리는 그 닭의 유전능력과 환경조건에 따라서 그때 그때 최선의 방법을 찾아 닭의 생리적인 상태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든 농장에다 잘 부합되는 특정한 사양방법을 확립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각 육종회사에서는 자기회사의 닭에 대한 체중, 사료급여 프로그램, 표준성적 등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어디까지나 기준은 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농장마다 자신의 실정에 알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가장 바람직한 종계 사양방법은 각각의 계군마다 체중, 주령, 산란율, 기상조건 및 그 계군의 외관이나 상태에 맞추어 관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요인들을 모두 고려해서 매일 매일의 사료량을 늘여주거나 줄여준다. 따라서 종계관리자는 그 자신의 닭에 대해서와 사료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여기에서는 종계의 영양관리에 있어서 기본적인 원리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 PDF

Performance of Laying Period of Two-Way Crossbreed Parent Stock Korean Native Chickens for Producing of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s (토종 실용계 생산용 2원 교배종 종계의 산란 능력 검정)

  • Kang, Bo-Seok;Choo, Hyo-Jun;Kim, Hak-Kyu;Kim, Chong-Dae;Heo, Kang-Nyeong;HwangBo, Jong;Suh, Ok-Suk;Choi, Hee-Cheol;Hong, Eui-Chul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9 no.2
    • /
    • pp.133-141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laying period of two-way crossbred of Korean native chickens. A total of four hundred eighty female 2-crossbred chicks that restored strains and were aboriginal at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Treatments were four crossbreds (4 replications/crossbred, 30 birds/replication) as A) C strain ${\times}$ S strain, B) C strain ${\times}$ H strain, C) R strain ${\times}$ S strain, and D) L strain ${\times}$ H strain,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age, egg weight, and body weight at first egg among crossbreds (P>0.05). Body weight of D crossbred was lower compared to other crossbreds at the age of 24, 32, 40 and 60 week (P<0.05). Feed intake of A crossbred was highest among crossbreds (P<0.05). Weekly egg weight of A crossbred was the highest among crossbreds all laying period except 48~52 and 60~64 weeks. Hen-house egg production of A and B crossbreds was higher than that of C and D crossbreds (P<0.05). Hen-day egg production decreased after at the age of 36 weeks. Weekly egg production of A and B crossbreds was higher compared to C and D crossbreds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e basic data on the record of laying period of 2-crossbreed Korean Native Chickens.

현장질병가이드-ND 질병분석 및 대처방안(1)

  • Kim, Chan-Gi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9 no.2 s.448
    • /
    • pp.124-127
    • /
    • 2007
  • 질병발생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고병원성 AI발생으로 인해 각 농가의 근심이 이만저만이 아닌 것 같다. 다행히 추가발생없이 소비및 유통흐름도 점차 나아지고 있지만 안심할수만은 없기에 폭풍전야와도 같은 양상이다. 최근 ND발생소식이 곳곳에서 전해지고 있다. 육계의 경우에는 밀집지역이라면 어김없이 발병하고 있는 듯하며 산란계, 종계의 경우에도 10~30% 산란저하를 유발하며 경과하고 있다. 단독감염보다는 AI 및 IB와 복합감염이 더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농장탐방 - 자기 농장에 맞는 운영체계가 핵심

  • Choe, In-Hwa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3 no.11
    • /
    • pp.158-161
    • /
    • 2011
  • 지난 8월 3일 서초구 소재 축산회관 회의실에서 '2011 우수종계장 인증 현판 전달식'이 개최되었다. 선정기준은 분양검정, 방역위생, 경영개선, 사육입지, 능력검정실적 등 서류 및 현장 실사를 통해 종합평가를 실시했고, 우수종계장 인증을 신청한 4개소 가운데 2개소(산란종계 1개소, 육용종계 1개소)의 우수종계장이 선정되었다. 이중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에 위치한 (주)마니커농산 문경지점(육용종계)을 방문하였다.

1977년도 NRC 가금사양표준과 그 활용상의 문제점(상)

  • 이영철
    • KOREAN POULTRY JOURNAL
    • /
    • v.10 no.8 s.106
    • /
    • pp.79-93
    • /
    • 1978
  • NRC는 가금영양에 관한 학술적 또는 실제적인 연구가 발전되고 종계의 능력이 개량됨에 따라 관계전문가들의 의견을 정리하여 사양표준을 개정 발행하고 있다. 이번 1977년판도 상당한 부분을 개정 발표하고 있다. 산란계 부로일러 육성추에 대한 아미노산 요구량을 일정한 에너지 함유사료중 $\%$로 표시하는 동시 Mcale당 아미노산 g 요구량도 표시되었다. 산란계 초생추 및 중추기간 단백질 요구량이 1$\~$2$\%$ 낮아졌고 부로일러도 과거 2단계 사육법이 3단계 사육법으로 바뀌었다.

  • PDF

육용종계 산란기의 단백질 및 에너지 공급수준에 관한 연구

  • 이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 /
    • 2003.05a
    • /
    • pp.27-35
    • /
    • 2003
  • (시험 1) 육용종계 산란기의 단백질공급수준에 관한 연구: 육용종계 산란기의 적정 단백질공급수중을 구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소재 홍천종계에서 케이지 사양형태의 아바에이카 육용종계 400수를 공시하여 2001년 2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40주간 (24∼64주령) 1일1수당 단백질 공급량을 18, 20, 22, 24g으로 달리하는 4개처리로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산란율과 종란 산란율은 모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P<0.05), 20g 공급구가 가장 높았으나 18∼22g 공급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어고 24g 공급구는 20g 공급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2) 평균난중은 1일 단백질공급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P<0.05), 20∼24g 공급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고 18g 공급구만 24g 공급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성계생존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계란kg당 또는 계란1개당 사료요구율과 ME요구량은 모두 1일 CP 20g 공급구가 가장 우수했으며(P<0.05), 계란 kg당 사료요구율과 ME요구량에서는 CP 18g 공급구계란1개당 사료요구율과 ME요구량에서는 CP 24g 공급구만 CP 20g공급구오 유의차를 보였다(P<0.05). 4) 계란kg당 또는 계란 1개당 CP요구량은 모두 1일 단백질 공급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P<0.05), 18g과 20g 공급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5) 계란kg당 또는 계란 1개당 사료비는 모두 CP 20g 공급구가 가장 우수하였으나(P<0.05), 계란1개당 사료비에서는 18∼20g 공급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시험 2) 육용종계 하절기 산란피크계의 에너지 공급수준에 관한 연구: 육용종계 산란기의 적정 에너지공급체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소재 홍천종계에서 케이지 사양형태의 로스 육용종계 400수를 공시하여 2002년 4월부터 2003년 1월까지 40주간 (24∼64주령) 표2와 같은 4가지 에너지공급체계로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산란율, 종란 산란율, 평균난중 및 성계 생존율은 모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산란율은 1일 에너지공급량이 많을수록 오히려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사료요구율, ME 및 CP요구량과 사료비는 모두 1일 에너지공급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