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간지역

Search Result 29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n Elevation Change of Snowfall in Winter of Hallasan Mountain Using Radar Data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겨울철 한라산의 강설 고도 변화 분석)

  • Ku, Jung Mo;Ro, Yonghun;Kang, Minseok;Kim, Gildo;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16-216
    • /
    • 2016
  • 제주도의 한라산은 고도의 영향으로 해안지역과 산간지역의 기온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지역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겨울철 제주도의 해안지역에는 강우가 내리고 산간지역에는 강설이 발생한다. 특히, 강설이 발생하는 고도는 일별 기상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제주지방기상청에서는 제주도의 8개 지점에서만 적설량을 관측하고 있어 강설이 발생하는 고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한라산을 대상으로 성산기상레이더와 고산기상레이더의 반사도 자료를 이용하여 2014년 11월부터 2015년 4월까지의 강설 고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먼저, 레이더 반사도의 고도를 해수면으로부터 250 m 간격으로 2,000 m 까지 구분하였다. 또한, 구간별로 레이더 자료와 AWS 자료를 이용하여 Z-S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도된 고도별 Z-S 관계식의 변화를 파악하여 겨울철 한라산의 강설 고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서울.경기 지역의 지질 및 지반특성

  • 김명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03a
    • /
    • pp.176-187
    • /
    • 2004
  • 서울ㆍ경기지역은 한반도의 서부중앙지역으로 동경 126$^{\circ}$와 127$^{\circ}$, 북위 36$^{\circ}$와 38$^{\circ}$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면적은 서울 605$\textrm{km}^2$, 경기도 10,184$\textrm{km}^2$를 차지한다. 북쪽으로는 휴전선, 서쪽으로는 서해, 동쪽으로는 강원도, 남쪽으로는 충청도와 접하고 있으며 한강에 의해 남북지역으로 나뉘어져 한 수 이북은 산간지역이 한 수 이남지역에는 평야지대가 발달하고 있다. 지형은 대체로 추가령 구조곡을 경계로 북부산지와 남부산지로 나누어지는데, 북부는 중국 요동방향의 마식령산맥, 남부는 중국방향의 광주산맥과 차령산맥이 각각 그 골간을 이루고 있으며, 서쪽해안에 가까워질수록 고도가 낮아져 평야나 구릉성 산지로 바뀐다.(중략)

  • PDF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 Korea Wind Chill Temperature Index (I) -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of Existing Wind Chill Temperature Index and Sensitivity Analysis of Model - (한국형 체감온도지수 개발연구(I) -기존 체감온도지수 분포 및 민감도 분석 -)

  • Park, Jong-Kil;Jung, Woo-Sik;Kim, Eun-Byul;Park, Gil-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8 no.7
    • /
    • pp.878-890
    • /
    • 2007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fundamental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a Korea windchill temperature index model in the field of human biometeorology. For this, a sensitivity model currently being used by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Korean peninsula could be divided into the urban area, the coastal/island area, the inland area, and the mountain area. The average temperature was highest in the coastal/island area, while it was lowest in the mountain regions. The lowest temperature in the urban and coastal/island areas was 20 degrees below zero and that in the inland and mountain regions were 30 degrees below zero. As for wind speed, both average and maximum wind speed were highest in the coastal/island area. The distribution of temperature and wind speed in winter was similar to that of the entire period. The results of the JAG/Tl and Missenard model sensitivity showed that temperature tends to have more influence on sensitivity than any other factors. In sub-zero temperature, however, the influence of wind speed tends to increase.

Hydrological Modeling for Estimation of Runoff in Unmeasured Mountainous Area: Application to the Var Sub-Catchment, France (미계측 산간지역의 유량추정을 위한 수문 모델링: 프랑스 Var 소유역에 적용)

  • Ji Yun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56-256
    • /
    • 2023
  • 집중호우는 전 세계적으로 큰 기후변화 문제 중 하나다. 극심한 집중호우의 빈도수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난 세기 중반 이후부터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로인한 인적 및 물적인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설계 홍수량을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미계측지역의 유출량 추정 시 분포형 강우-유출 모델을 이용한다. 분포형 모델의 가장 큰 장점은 소유역의 분할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유역에서 무작위 점의 유출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11월 니스에 발생했던 강우를 기반으로 Var 유역의 소유역이자 미계측 지역인 프랑스 니스의 Ubac Vallone의 유출량 및 유출계수를 지형 데이터 등의 물리적 인자와 분포형 강우-유출모델인 MIKE SHE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또한, 입력되는 인자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인자에 대한 상대민감도 분석을 바탕으로, 유출량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50년, 100년 및 162년 빈도별 확률강우량에 따른 유출량을 추정하였으며, 162년의경우 총 유출량은 124,384.8m3, 최대 유출량 1.512m3/s, 유출계수 0.53으로 나타났다. 총 유출량과 첨두유량에 대한 상대 민감감도 분석 결과, 수리전도도가 1.5로 첨두유량과의 민감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수층의 수평방향 수리전도도는 0.48로 총 유출량과의 민감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Environmental Problems by the Changes of the Population and Agriculture in North Korea (북한의 인구와 농업의 변화에 따른 환경문제 연구)

  • Lee, Min-Boo;Kim, Nam-Shin;Jin, Shizh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6
    • /
    • pp.709-717
    • /
    • 2008
  • This study is to analyze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have caused by changes of the population and agriculture in North Korea.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following. First, Population of the North Korea shows lower increase ratio less than 2% growth from 1970's to middle of 1990's. This is interpreted by food shortages. Second, population distribution by provinces represented that northern and eastern part of the North Korea were comparatively lower and other western areas were higher. Third, Food situation of the North Korea was relatively better in 1970's, but, 1990's was the worst in the way. Fourth, on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according to each province, western areas possessing more plains were more higher than mountainous areas of the northern and eastern parts of North Korea. Fifth, Growth ratio of food production and population have grown very steadily until 1990's, but the increase ratio of population exceeded food productivity after 1990's. Sixth, Cropland reclamation for improving these situation have caused deforesta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especially eastern and northern areas became more serious. For the solving these problems of North Korea, it is necessary to get the help of South Korea and international societies with efforts by itself.

  • PDF

Sediments Yield Estimation of Gangwon Mountain Region in Korea (강원도 산간지역의 토사유출량 산정)

  • Kwon, Hyuk-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3
    • /
    • pp.127-132
    • /
    • 2011
  • In this study, calculation results of sediments yield prediction models were compared with the amount of dredging data for the Inje, Gangwon mountain region of Korea. MSDPM and LADMP were used as a sediments prediction model which was calibrated and modified to calculate the sediments yield of Korean mountain region. Both sediments yield prediction models were modified by using Threshold Maximum Rainfall Intensity and Total Minimum Rainfall Intensity and correction coefficient. After comparing with the amount of dredging, it was found that results of MSDPM is more accurate than the results of LADMP. Difference of results of MSDPM and the amount of dredging is 27.6% and difference of results of LADMP and the amount of dredging is 50.6%. Both sediments yield prediction models which were calibra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sediments yield for the Korean mountain region.

A Study on Transport the Hydrological Property of Debris Accumulation at Flood (홍수시 유송잡물 이동에 관한 수리학적 특성연구)

  • Oh, Chae-Yeon;Jun, Ky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747-1752
    • /
    • 2008
  • 강원도 산간지역에 위치한 소하천의 경우 유송잡물 및 토석류에 의하여 교량이 파괴되거나, 통수능이 작아져 댐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 인해 교량 상류지역이 침수피해를 입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강원도 산간지역에 설치된 소규모 수공구조물들은 교량의 경우 교각이 많아 경간장이 짧고, 교량 상판이 제방고 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는 등 하천흐름에 장애를 주는 많은 요인들을 내재하고 있어 홍수시 하천유량의 증가에 따른 하천흐름 해석, 유송잡물의 발생원인 및 수공구조물에 미치는 영향들에 관한 판단기준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유송잡물의 발생경로는 대부분 산지계류에서 집중호우시 산사태발생에 따른 유목과 토석류 발생이 주원인이 된다. 또한 유송잡물은 큰 홍수시 고수위가 오랜 시간동안 지속될 경우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한 유송잡물은 개별적으로 이송되고 일반적으로 하천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른 곳에 집중된다. 또한 유송잡물은 큰 홍수시 고수위가 오랜 시간동안 지속될 경우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이때 발생한 유송잡물은 개별적으로 이송되고 일반적으로 하천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른 곳에 집중된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시 유송잡물 이동특성에 대한 국내 외 문헌조사, 현장피해사례조사 및 현장모니터링 조사를 실시하고 1차원 모형인 HEC-RAS와 2차원 모형인 RMA-2를 이용하여 수리모델링 분석에 따른 수치모의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