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가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7초

증자 난황 건조 조건이 오리 난황유 산가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ying Conditions of Steamed Egg Yolk on Acid Value of Duck Egg Yolk Oil)

  • 류일환;정인택;이갑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6-211
    • /
    • 2004
  • 오리 난황유는 난황을 성형 증자하여 만든 증자난황을 일정 조건 하에서 건조 후 용제 추출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때 증자 난황의 건조가 유제품의 품질에 집적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청둥 오리알로부터 직접분리 조제한 난황으로부터 난황유 추출 및 저장과정 중에 일어나는 유지의 품질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리난황유의 추출 이전 단계인 증자 난황의 건조 방법 및 수분함량, 온도, 건조 시간에 따른 산가 및 수분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열풍건조 분무건조 및 동결건조에 따른 산가는 각각 3.7, 3.5 및 3.5였으며, 수분의 함량은 각각 4.0%, 3.0%, 3.0%이었고, 유리지방산의 함량은 각각 0.83%, 0.80% 및 0.79%로 동결건조 및 분무 건조에 의한 건조 시 비교적 낮은 산가 및 수분함량을 보였으나 각 건조 방법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건조 온도의 영향은 6$0^{\circ}C$에서 수분의 함량은 최저치에 도달하여 일정한 값을 보인 반면, 산가 및 유리 지방산의 함량은 추출온도가 60%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건조시간에 따른 산가 및 수분함량과 유리 지방산의 함량 모두 건조 9시간 후 각각 3.1, 3.0% 및 0.98%로 최저값에 도달하여 건조 12시간까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산가에 따른 난황유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C_{18:0}$(stearic acid)의 함량은 산가가 1.5 증가함에 따라 4.76%에서 7.11%로 약 1.5배 가량 증가한 반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급격히 감소함을 보였다. 불포화 지방산 중 함량이 많은 지방산의 감소폭이 커짐을 보였다. 불포화 지방산 중 linolenic acid( $C_{18:3}$)의 경우 1.29%에서 0.96%로 약 3배 가량 감소되었으며, Arachidonic acid($_{20:4}$)의 경우 0.63%에서 0.40%로 약 1.5배 가량 감소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최적의 증자난황 건조조건으로 열풍건조법으로 6$0^{\circ}C$, 9시간 건조시 수분함량과 산가 및 유리지방산이 함량이 낮은 양호한 품질의 난황유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판단되었다.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대두유의 가열산화 특성평가 (Evaluation of Thermally Oxidized Soybean Oil Using Carbon Nanotube Sensor)

  • 이은지;임승룡;;주병권;오상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72-477
    • /
    • 2012
  • CNT 센서는 산가와의 연계성이 $R^2$>0.96으로 산가의 화학적 측정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유지의 산패도 측정기기로서 적합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유탕유의 품질에 대한 국내 법적 기준은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기준으로 하고 있지만 일부 유럽국가의 기준인 polar-compounds 25%내외의 규정에 비하여 유지의 상태를 판별하는 데에 변화요구 가능성이 있어 국내규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실험결과에서 산가와 CNT센서, 산가와 polar-compounds간의 높은 연관성을 확인하였으므로, CNT센서를 산가 뿐만 아니라, polar-compounds 측정법을 대신할 수 있는 장치로서 개발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식용오일마다 구성성분과 함량이 다르므로 보다 정밀한 유지의 산패도 측정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식용유지의 종류별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향 추출물이 시판 식용유의 가열산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

  • 박상일;문주수;이옥환;손종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사단법인 창립총회
    • /
    • pp.83-83
    • /
    • 2003
  • 대두유, 올리브유 및 채종유에 대한 정향추출물(clove extract)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대두유, 올리브유 및 채종유에 정향추출물을 0.02%의 농도로 첨가한 후 180$\pm$2$^{\circ}C$에서 48시간동안 가열산화 시키면서 산가(acid value) 및 공액이중산가(conjugated diene value)를 측정하였다. 대두유, 올리브유, 채종유의 초기 산가는 0.13, 0.75, 0.11이었으며, 가열산화 후 0.52, 1.31, 0.51로 증가하였다. 또한 대두유, 을리브유, 채종유의 초기 공액이증산가는 0.57, 0.43, 0.35에서 가열산화 후 1.93, 1.04, 1.08으로 대두유보다 채종유나 올리브유의 산화안정성이 높았다. (중략)

  • PDF

유통쌀의 품질유지를 위한 포장기술에 관한 연구

  • 김훈;이세은;김동철;김상숙;금동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05.1-205
    • /
    • 2003
  • 본 연구는 국내 유통쌀의 포장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지대포장재와 합성수지계열의 PE 및 AL 포장재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구명하고, 포장재의 투습도 5~700g/$m^2$범위의 4수준에 대하여 함수율, 중량 및 지방산가의 변화를 측정하여 포장재의 적정 투습도를 결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대, PE 및 AL포장재의 저장 4주 후의 중량은 7.8, 0.1 및 1.5%감소하였으며, 함수율은 지대포장의 경우 3.7%(w.b.)감소하였다. 지방산가는 저장 4주 후에 지대포장은 9.4, PE포장재는 42.0, AL포장재는 16.8(mg KOH/100g)로 나타났다. 저장온도 20 및 3$0^{\circ}C$에서의 포장재 투습도에 따른 중량, 함수율 및 지방산가의 변화를 고려했을 때 130~210g/$m^2$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열산화가 냉압착 들기름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rmal Treatment on Chemical Changes in Cold-Pressed Perilla Seed Oil)

  • 조영심;김범근;박기재;정진웅;정승원;임정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84-892
    • /
    • 2009
  • 냉압착 들기름과 볶음 압착 들기름 및 볶음 가열 압착 들기름의 가열산화에 의한 색도 및 갈변도, 총 페놀 함량, 과산화물가, 산가, 이중공액산가, 전자공여능 및 지방산 함량 변화를 측정하여 각 들기름의 특성 및 가열산화에 의한 품질을 비교하였다. 냉압착 들기름은 Hunter L 값은 76.62로서 볶음 압착 들기름의 39.77에 비하여 2배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갈색도의 경우에도 각각 0.027과 0.244을 나타내어 냉압착유의 갈색화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가와 이중공액산가는 냉압착 들기름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총 페놀 함량의 경우 볶음 압착 들기름이 7.27 mg/100 g oil로 냉압착 들기름에 비하여 1.60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도 볶음 압착 들기름이 냉압착 들기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내었다. 지방산 함량의 경우에도 냉압착 들기름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포화지방산에 대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12.1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가열산화 처리에 의해 들기름의 Hunter L 값, 산가, 이중 공액산가 및 과산화물가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Hunter a 및 b 값, 갈변도, 총 페놀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용 번데기의 저장 중 Biogenic Amine 함량 변화와 품질지표 개발 (Changes of Biogenic Amine Level during Storage and Development of New Quality Index on Silkworm Pupa)

  • 조태용;한규홍;강병선;김선봉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68-272
    • /
    • 2007
  • 본 연구는 식용 번데기를 냉동$(-18^{\circ}C)$, 상온$(25^{\circ}C)$ 및 실온$(35^{\circ}C)$에 저장하면서, 식용 번데기의 기준규격인 산가와 과산화물가의 경시변화를 살펴보고, biogenic amine의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식용 번데기의 새로운 품질지표로 biogenic amine을 검토하였다. 번데기 원료에서는 7개의 biogenic amine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putrescine이 $243.0{\pm}5.4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산가 및 과산화물가의 변화에 있어서는 냉동$(-18^{\circ}C)$에서는 저장 7일 동안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상온$(25^{\circ}C)$에서는 2일, 실온$(35^{\circ}C)$에서는 2일 이전에 번데기 산가의 기준규격치인 5.0을 초과하였다. 또한, 상온$(25^{\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biogenic amine는 histamine과 tyramine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바탕으로 산가와 histamine, tyramine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저장기간과 산가는 simple linear식으로, 산가와 histamine, tyramine의 변화는 2차 simple linear관계식으로 제시되었다. 결과적으로 식용 번데기에 있어 산가 이외에 biogenic amine인 histamine과 tyramine이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가짐으로써 새로운 품질지표로 사용이 가능하였다.

목질계 셀룰로오스 에탄올 생산공정에서 전처리과정의 설계 (Design of Pretreatment Process in Cellulosic Ethanol Production)

  • 김형진;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26권4호
    • /
    • pp.511-514
    • /
    • 2015
  • 차세대 바이오에탄올로 주목받고 있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에탄올 생산과정은 셀룰로오스를 단당류로 분해하는 전처리과정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가수분해와 효소당화과정을 이용하여 볏짚, 톱밥, 복사지, 신문지 등과 같은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셀룰로오스에탄올을 제조하였다. 전처리과정으로 10~30 wt% 황산을 이용한 산가수분해($100^{\circ}C$, 1 h), celluclast ($55^{\circ}C$, pH = 5.0), AMG ($60^{\circ}C$, pH = 4.5), spirizyme ($60^{\circ}C$, pH = 4.2)을 이용한 효소당화과정(30 min), 산가수분해 후 효소당화과정을 비교하였다. 전처리과정의 수율은 hybrid 과정 > 산가수분해 > 효소당화 순으로 셀룰로오스 에탄올로의 전환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적 발효시간은 2일이었다. 또한 20 wt% 황산을 이용한 산가수분해 후 celluclast를 이용하여 효소당화를 수행할 경우 톱밥 > 볏짚 > 복사지 > 신문지 순으로 셀룰로오스 에탄올 전환특성이 높게 나타났다.

냉동 저장 중 지방산화 억제와 지방산화물 생성 저감을 위한 돈육의 부위 및 포장방법의 평가

  • 박성용;김경찬;진구복;유승석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제36차 추계 학술발표대회
    • /
    • pp.172-176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냉동 저장 시 돈육의 부위, 포장방법 및 저장기간이 지방산패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pH는 고지방인 삼겹이 저지방인 등심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TBARS 값은 저장기간과 포장방법에 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저장 후반부로 갈수록 고지방인 삼겹이 저지방인 등심보다 높게 나타났다. (P<0.05). 유리지방산가는 TBARS 값과 반대로 오히려 저지방인 등심이 고지방인 삼겹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값이 증가하였다(P<0.05). 미생물 변화는 저장기간, 포장방법, 지방함량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0.05). 추출된 휘발성 화합물들은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가 미미하였고 포장방법에 따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P>0.05) 탄소수 10개 미만인 2,4-dimethyl-1-heptene, hexanal 그리고 4-methyl-2-hexanone은 저지방인 등심보다 고지방인 삼겹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으며, 이와는 반대로 탄소수 10개 이상인 고분자 화합물들은 고지방인 삼겹보다는 오히려 저지방인 등심에서 많이 검출되었다(P< 0.05).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삼겹에서 유리지방산가와 4-methyl-2-hexanone, 등심에서 유리지방산가와 9-octadecenal을 제외하고는 별다른 유의성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식육의 냉동보관은 식육내 존재하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을 억제하여 미생물, 효소 그리고 자동산화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2차 생성물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