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 경제발전의 패러다임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Human Resource Training Plan and Status of the New Reproduction Energy Industry in Gwangju area (광주지역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현황과 인력양성방안에 관한 연구임)

  • Yim, Ki-He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8 no.4
    • /
    • pp.47-5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ffective alternative plan of the human resource training in the new reproduction energy industry, here in Gwang-Ju area. Nowadays, we, Korea is confronted with great changing moment to reform the developmental model in social situation & economical paradigms. Based on the aspect, the study showed that how suitable place to carry out the aims in Gwangju area ; first, the good equipped natural environment for activating is apt to build the new reproduction energy industry. And next, the good skilled human resource training is to get into the newly industry. According, the various policy of educating manpower for activating new reproduction energy industry need to be driven in short and long term.

  • PDF

Current Trends and Industrial Strategies of IT Convergence (IT 융합의 국내외 동향 및 국내 산업역량 강화방향)

  • Kim, M.K.;Park, J.H.;Cho, Y.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1
    • /
    • pp.1-10
    • /
    • 2010
  • IT는 우리나라 경제성장에 결정적 기여를 해왔으며 사회전반의 패러다임 혁신을 통해 생산성, 효율성, 편의성, 소통성을 증진시키고 삶의 양식에 전면적 변화를 가져왔다.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에서는 뉴딜을 촉진하고 신성장동력을 창출하며 사회와 문화의 발전적 전개를 위해 IT에 대한 거대투자를 집행하고 있다. 국민경제와 사회문화에서 지대한 의미를 지니는 IT는 다른 기술 또는 산업과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변화와 혁신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IT 융합은 IT의 자체 고도화를 바탕으로 다른 분야의 기술개발과 산업발전을 견인하거나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는 것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주요국에서는 자원과 역량을 선택적으로 집중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IT 융합과 관련된 주요국의 산업전략 및 기술개발 동향을 파악하고 전문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IT 융합역량의 수준을 평가하고 결론적으로 IT 융합산업 발전을 위한 방향에 관한 전략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People's Creativity and User/Field-driven Innovation: Literature Review for the Paradigm of Creative Economy (국민의 창의성과 사용자/현장 중심 혁신: 창조경제 패러다임 정립을 위한 문헌 연구)

  • Lim, Hong-Tak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2 no.3
    • /
    • pp.135-166
    • /
    • 2014
  • 'Creative Economy' has been announced as the new paradigm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of newly elected President Geun-Hye Park's administration. By explicitly defining people as a major player in creative activity, it seems to depart from expert-driven or science & technology-focused development paradigms of previous administrations. Yet, its interpretation and operation in terms of government policy does not seem to show any differences. This study aims to explicate the nature of Creative Economy as a development paradigm by clar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people's creativity and that of scientists and engineers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review. People can contribute to the creative activity not just as users but also as living persons who make everyday yet independent choices based on their humanistic, philosophical, ethical and experiential capabilities which are clearly different from the sources of scientists' & engineers' creativity. People's creative activity does involve value judgement about life and can often accelerate the system innovation or transition by changing consumer behaviour and lifestyle, and hence destruct technological lock-in user lock-in of the existing system. People's creativity can thus present 'User/Field-driven Innovation Paradigm which clearly differs from existing expert- or science & technology-driven innovation paradigm. The Creative Economy with focus on people's creativity therefore faces new socio-economic development challenges of fulfilling the User/Field-driven Innovation Paradigm.

융합시대의 IT R&D 방향

  • Choe, Mun-G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1
    • /
    • pp.25-31
    • /
    • 2008
  • 사회변혁 과정에서 경쟁우위 확보는 그 시대를 대표하는 기술의 습득과 활용의 정도에 따라 좌우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보혁명 과정에서 IT기술의 습득과 활용을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 IT강국이라는 현재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IT산업이 국가의 경제발전을 지속적으로 선도하여 나가기 위해서는 IT 산업내의 구조적 취약점을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참여정부에서 시작된 IT39 중심의 산업정책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변화의 방향을 가늠해 보고 우리 IT산업이 직면한 문제 분석과 이를 토대로 한 새로운 IT R&D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미래사회 변화의 큰 특징은 융합으로 대변된다. 정보처리 기술과 통신기술의 융합으로 시작된 이 흐름은 최근 통방융합이라는 차원을 넘어 이종기술간 및 이종산업간 융합이라는 개념으로 확장 진화되고 있다. 또한, 사회변혁의 패러다임도 지식기반사회에서 융합시대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융합이라는 패러다임 변혁의 물결에 편승하기 위해서는 IT기술이 융합시대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어떻게 진화해 갈 것인지를 규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IT기술은 그동안의 혁신적 발전을 기반으로 여타 기술 및 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원천기술로 작용할 것이 확실시 된다. 따라서, 융합시대에서 IT기술은 기존의 독자적 산업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새로운 기술과 산업으로 그 응용범위가 대폭 확장됨으로써 기존에 IT가 지녔던 기술적, 산업적 중요 성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융합시대에 대응하여 IT R&D 방향을 검토하는 전략적 의미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게 된다. 융합시대에서 IT R&D는 IT가 여타 기술 및 산업발전을 위한 원천기술화를 비롯하여 (1) 유비쿼터스 인프라, (2) 디지털 인텔리전스, (3) 융합부품, (4) 메가 컨버전스 등과 같은 4대 동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IT의 원천기술화 및 4대 동력에의 집중이야말로 융합시대를 슬기롭게 열어가는 '전략적 창(strategic window)‘이 될 것이다.

Chaos Theory: An Alternative for a Paradigm Shift in the Social Science Studies (사회과학연구 패러다임 변화대안으로서의 카오스 이론)

  • Kim, Min S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1
    • /
    • pp.6621-6629
    • /
    • 2014
  • Social phenomena require the fundamentals of novel scientific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due to the continual change by complex variables.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paradigm shifts is also necessary for analyzing the problems currently faced in society. This study presents chaos theory, which was developed from the natural sciences, to discuss the abnormality of modern society tha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the chaos paradigm. Chaos theory is applicable to diverse social phenomena that stretches across politics, economics, and sociology. If social science research can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develop and apply chaos theory, the theory can be utilized as a useful paradigm to reinforce the fundamentals of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in exploring social phenomena.

The European Paradigm of Health Investment: Focusing on the Model and Policy Content, and Their Transformation (유럽의 건강투자 패러다임: 모델과 정책 콘텐츠 및 그것의 전환을 중심으로)

  • Park, Seu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0
    • /
    • pp.83-9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uropean paradigm of health investment and its implication. Conventional content analysis of WHO/EU(/EC)/European countries' policy data, and articles shows that the European paradigm of health investment is consist of the basic and extended models, twelve life-course-based health investment policies, and SROI evaluation method. The analyses and discussion point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making virtuous cycle of Korean sustainable healthcare system with economic development in the post Covid-19 era.

Comparative Study about Interview Surveys on Water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Sustainability's context in Korea (지속가능성 맥락에서 국내 수자원 개발과 관리에 관한 설문조사들에 대한 비교 연구)

  • Kang, Min-Goo;Park, Seung-Woo;Kim, Hak-K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15-1519
    • /
    • 2008
  • 유역, 수계, 지역, 국가 등과 같은 거대 시스템은 사회 및 경제 시스템, 자연 시스템, 생태 시스템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호작용과 피드백을 하면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기후, 구성 부시스템, 사회적 선호도, 패러다임 등의 변화에 따라 변한다. 특히, 사회적 선호도나 패러다임과 같은 가치 시스템의 변화는 수자원 이용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해야 하며, 이를 수자원 계획과 운영에 반영해야 한다. 따라서 수요자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수자원 상태를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발전 방향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시된 수자원 개발과 관리와 관련된 설문조사 결과를 수집하여 이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서는 지속가능성을 맥락으로 하여 설문대상과 설문시기의 변화에 따른 수자원 개발과 관리와 관련된 의견들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들을 종합하여 향후 국내 수자원 관리와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Paradigm Conversion and Task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under the Economic Crisis of European Union (유럽연합의 경제위기 속에서 평생교육정책의 패러다임 전환과 과제 -한국의 평생교육정책 발전 과제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Lee, Sung-K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6
    • /
    • pp.518-529
    • /
    • 2012
  • Integration of Europe was started when European Union Treaty was concluded at Maastricht for the first time on December, 1991. Europe which may be called as a cradle of modern national state has realized a single Europe not only in the socio-economic integration field but also in the political field. Under this background, it is considered that life-long education policy for developing a new integrated growth engine of EU requires educational response that may get ready for socio-economic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more than anything else. In particular, this policy is faced with an important task of having to achieve harmony of efficiency through diversity and mutual coordination in pursuing cooperation and integrated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field. However, notwithstanding their efforts, since 2008, some countries of EU were faced with economic crisis due to economic recession and this situation starts to drive the whole Europe even to the point of their financial crisis at last. This crisis is currently shaking socio-economic integration of EU. This study intends to observe a status of establishing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promoting a policy for socio-economic integration of EU and to analyze as to what kind of relevance adult participation rate of life-long learning among the countries belonged to EU has with per capita income and to explore as whether socio-economic integration among member countries could be sustained based on problems of integrative life-long education system under the economic crisis of EU.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an implication required for presenting a new paradigm conversion, policy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life-long education of our country is intended to be deduced.

Design of Framework for Implementation of the New Paradigm Map (신 패러다임 맵 구현을 위한 프레임워크 설계)

  • Kim, Sun-Woo;Yang, Kwang-Ho;Park, Ki-Shik;Park, Ju-Young;Ra, In-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3
    • /
    • pp.32-39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futuristic map using variety technology of advanced ICT-based. The futuristic maps are expected to developed into a new format of user participation to express the results in various formats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facts and phenomena of tangible and intangible that exist in the real world. In the future, the map is expected to be developed into form of a new paradigm map made in real time that economy, industry,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necessary for everyday life, processing, usage, analysis, distribution and sharing. In this paper, we provide a real-time personalized contents to digitize the information of the real space based on the concept of map, databases, spatial analysis and describes the key technologies that characterized by the representation of time-series data by analyzing and prediction every field macro phenomena of society, economy, culture and etc. And we establish the concepts of the 'New Paradigm Map' for future creative economy.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비즈니스 모델 혁신 전략

  • Lee, Seung-Jun;Park, Seong-Taek;Kim, Yeong-Gi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15-322
    • /
    • 2007
  • 유비쿼터스 환경은 조직의 구조와 개인의 행위를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쟁 패러다임 자체를 변화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술이 경영경제, 행정, 교육, 문화, 의료등 사회 전반에 걸쳐 도입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기술에 관련된 RFID, USN, 표준화, 보안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즈니스 모델에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대해 알아보고 비즈니스 모델 사례 검토를 통해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의 비즈니스 모델과 발전 방향 및 혁신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