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지지

검색결과 2,527건 처리시간 0.027초

미국 저소득 미혼모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문제행동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single-mother families with low income)

  • 변호순;최정균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36호
    • /
    • pp.133-163
    • /
    • 2011
  • 본 연구는 미국 저소득 미혼모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문제행동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스트레스-대응모델과 가족과정모델, 사회적 지지에 관한 이론적 관점을 기초로 사회적 지지가 아동발달에 영향을 제공하는 직접효과와 미혼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미국 취약가족아동복지연구의 종단패널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전체 1,315명의 저소득 미혼모가구와 빈곤아동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는 아동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발견되었다. 반면에 사회적 지지는 아동인지능력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제공하지는 않으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문제행동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저소득 미혼모가구의 경제적 환경을 개선하고 양육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와 서비스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혼 은퇴남성의 심리적 위기와 사회참여의 관계: 복지기관 전문가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Moderating Effect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Support between Psychological Crisi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Divorced Retired Men)

  • 손강숙 ;정소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3호
    • /
    • pp.361-380
    • /
    • 2017
  • 본 연구는 이혼 은퇴남성의 심리적 위기와 사회참여 간의 관계에 대한 복지기관 전문가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의 직업관련 기관에서 최근 5년간 구직활동을 한 적이 있는 은퇴남성 중 이혼 경험이 있는 24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위기, 사회참여, 복지기관 전문가 지지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위기는 사회참여, 복지기관 전문가의 지지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위기와 사회참여의 관계에서 복지기관 전문가의 지지는 유의미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이혼 은퇴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참여 교육과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에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청소년이 주변 연장자로부터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구조와 기능 및 자아존중감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Social Support for Adolescents from Non-Parental Seniors and Adolescents' Self-Esteem)

  • 이완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2호
    • /
    • pp.49-6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ature of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intimate and important people in their lives who are seniors to them. A sample of 1,220 adolescents was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perceived support from non-parental senior figures as well as on adolescents' self-esteem. The results showed that. (a) Adolescents perceived their relatives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ir teachers. (b) Male adolescents perceived support from a larger number of relatives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whereas female adolescents perceived more support from their close senior figures than their male counterpart. (c) Adolescents' perception of support was different by their father's occupational status. (d) Overall, male adolescents's self-esteem was higher than female adolescents. The adolescents whose fathers held higher-status occupations had higher self-esteem than the adolescents whose fathers held lower-status occupations. (e) Male adolescents' self-esteem was affected by their GPA, father's occupational status, and the number of seniors whom they met on internet, and the amount of perceived support. Female adolescents' self-esteem was affected by father's occupational status and the amount of perceived support.

신체활동 참여 청년기 여성의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사회적지지, 지식과 태도가 검진 의도에 미치는 영향 (Physical activity, social support and participation of women knowledge about cervical cancer screening, the screening attitude multiplicative influence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 고연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439-449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원생을 포함한 여대생들의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어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지식, 검진태도가 자궁경부암 검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여자 대학원생 및 여대생들 281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여대생들의 자궁경부암 검진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자궁경부암 검진태도를 높이고, 의사 및 간호사의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적극적인 권유와 지지, 그리고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도농복합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Focusing on Urban-rural Complex Area)

  • 최송식;박현숙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277-1293
    • /
    • 2009
  •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도농복합지역인 기장군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적 요인, 건강 요인, 그리고 사회적 요인으로 독립변수를 구분하여 노인 고독감의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38명이며, 사전에 교육된 조사원을 통해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 고독감은 평균 50.6(SD 4.2))로 중간 정도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도농복합지역 노인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적 요인 중 생활만족도, 건강요인 중 일상생활수행 정도, 그리고 사회적 요인 중 사회적 지지(정서적 지지와 도구적 지지)와 사회활동참여로 나타났다. 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수행정도가 낮을수록 고독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 및 도구적 지지와 사회활동참여정도가 적을수록 고독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의 노인 서비스를 정서적이고 대인관계적 관점으로 초점이 확대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농복합지역 노인의 고독감을 완화시키기 위한 기존의 사회복지서비스가 수정 및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노인의 고독감을 감소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와 사회활동정도 등과 같은 사회적 요인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결혼이민자의 차별경험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사회적 지위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on Self-rated Health among Foreign Spouses: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 나장함;김희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485-496
    • /
    • 2017
  •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들의 차별경험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사회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결혼이민자의 건강증진과 사회통합을 도모하는 정책 및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결혼이민자 16,87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이민자가 차별경험이 많고,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낮을 경우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절효과의 경우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아질수록 차별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결혼이민자들의 건강과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향후 차별과 건강에 대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과 결혼이민자들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상대적 박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평등한 기회 제공을 도모하는 정책과 서비스들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탈북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in South Korea)

  • 김재엽;최권호;채지훈;황현주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2호
    • /
    • pp.35-58
    • /
    • 2013
  • 본 연구는 탈북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탈북여성 156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빈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 탈북여성 중 45.5%가 최근 1년 간 자살생각을 경험하였다. 우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알코올 사용, 소득, 연령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탈북여성이 경험한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는 자살생각의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이 경험하고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를 조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탈북여성의 자살문제에 대한 성 인지적 접근의 필요성, 정신건강 서비스 구축의 필요성, 지역사회 정착 프로그램의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아동학대 발생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양육스트레스,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의 구조적 관계- (Social Support, Acculturative Stress, and Parenting Stress as Factors Influencing Child Abuse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박명숙;이재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2호
    • /
    • pp.179-202
    • /
    • 2014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아동학대 발생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양육스트레스, 문화적응스트레스, 사회적지지의 구조적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가설모형을 설정한 후, 전국을 표본으로 결혼이주여성 195명에 대한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학대에 직접효과를 갖는 변수는 양육스트레스였고,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사회적지지는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매개로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는 아동학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을 상쇄시키는 보호요인으로 기능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 PDF

교수효능감과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 교사들을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Happiness - By Teachers' Perspectives)

  • 허무열;신혜경;전미란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53-6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효능감과 관련된 사회적지지,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구글 온라인 설문을 제작하였고 교사연수에 참여하고 있는 전국의 초·중·고 교사들 249명의 자료를 기술통계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22.0 과 Amos 21.0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의 사회적지지는 직무만족과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직무만족이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지만, 사회적지지와 행복감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행복감으로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을 통해 교사효능감으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인 간 영향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공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 자살관련 요인: 무망감과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제감의 효과를 중심으로 (Elderly Suicide and It's Related Factors : Focused on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Mastery in the Effects of Hopelessness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 엄태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2호
    • /
    • pp.355-379
    • /
    • 2007
  •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무망감과 우울증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제감의 효과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였다. 또한 노인자살의 변경 가능한 요인인 자살생각과 무망감 및 우울 변인의 관련성과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제감 변인의 독립적 영향력을 분석의 초점에 두었다. 자료는 K도 3곳의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65세 이상 320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297부를 통계분석 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노인의 자살관련 요인으로 가정된 자살생각과 무망감 및 우울은 공통적으로 학력, 결혼상태, 소득, 만성질환 수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회적 지지는 우울과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을 조절할 수 있었지만, 사회적 지지와 무망감, 자아통제감과 무망감 및 우울은 자살생각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사회적 지지와 자아통제감은 자살생각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무망감과 우울도 자살생각과 정적 관련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실천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