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비용

Search Result 1,52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이산화질소 배출에 의한 대기오염의 사회적 비용

  • Jo, Jun-Mo;Yu, Wan-Sik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6 no.1
    • /
    • pp.111-128
    • /
    • 1996
  • 본 연구는 대기오염물질인 이산화질소와 인체의 호흡기질환과의 반응도를 실증분석하고, 이 반응도를 이용해 이산화질소의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계산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대기오염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질환의 피해를 측정하기 위하여 손실함수(damage function)를 설정하고, 이를 회귀분석기법(regression technique)을 이용해 추정한 결과 이산화질소는 호흡기질환에 상당히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고, 1994년 한해 동안 배출된 이산화질소량이 발생시킨 사회적 비용은 약 8조 2천 억원이었다.

  • PDF

Estimating the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Poverty (아동 빈곤의 사회경제적 비용 추계)

  • Kim, Soo Jung;Chung, Ick-Joo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9 no.3
    • /
    • pp.9-33
    • /
    • 2017
  • This study estimated the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povert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present study organized component categories for direct and indirect costs of child poverty, and estimated the cost of each category in 2015 through the collection of existing data and Delphi survey techniques among experts. The total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poverty were compared to Korea's GD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poverty in Korea in 2015 ranged from 55 trillion KW(3.5% of GDP) to 99 trillion KW(6.5% of GDP). Second, the indirect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poverty are much higher than the direct costs. Third, among the total cost categories, costs related to productivity loss and unemployment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both the socioeconomic costs based upon absolute poverty and relative poverty. Crime costs are the second larges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in poverty; implementation of two-generation program that intervenes simultaneously with parents and children; and long-term, continuous and integrated intervention for high-risk groups such as poor children.

  • PDF

온라인 뱅킹 서비스 수용 영향 요인: 인터넷 뱅킹과 모바일 뱅킹 서비스 비교를 중심으로

  • Lee, Seung-Je;Han, Pil-Gu;Jeon, Byeong-Ho;Kang, Byeong-G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950-95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온라인 뱅킹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 품질과 비용이라는 온라인 뱅킹 서비스 관점, 이용자의 태도의 관점(유용성, 용이성, 사용자 특성), 그리고 사회적 영향의 관점을 변인으로 추출하였다. 한편 성숙기에 접어든 인터넷 뱅킹 서비스와 도입기에 있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비교하기 위해 온라인 뱅킹 서비스 유형이라는 조절변수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유용성과 용이성, 개인사용자 특성, 사회적 영향, 서비스 품질, 비용의 모든 요인 이 온라인 뱅킹 서비스의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영향과 비용 은 인터넷 뱅킹과 모바일 뱅킹 서비스간에 영향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도박 산업의 사회적 비용혜택 측정방법의 연구

  • 유일근;이재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024-1029
    • /
    • 2002
  • 우리나라 국민은 그간 건전한 레저활동의 비활성화로 인해 고스톱 등의 도박에 노출될 기회가 않았다. 또한 2000년에는 강원랜드 카지노가 출범하였으며, 월드컵복권 등의 각종 복권산업도 활성화되고 있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의 도박 산업이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도박인구의 증가와 도박의 생활 근접성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도박 산업은 그로부터 발생하는 수입과 동시에 각종 사회적 폐해가 공존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따라서 도박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는 이로 인해 사회적인 편익과 비용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이를 근거로 피해를 감소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그러나 도박으로 인한 비용과 혜택의 추정은 발생요인의 다양성과 추상성 때문에 정확한 집계가 없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다양하고 추상적인 도박 산업의 사회적 비용과 혜택을 계량화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analytical research into social and economic costs for each type of accident, injury and intoxication (사고·손상·중독 유형별 사회·경제적 비용분석에 관한 연구)

  • Yoo, In-Sook;Choi, Eun-Mi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0 no.3
    • /
    • pp.71-79
    • /
    • 2015
  • In South Korea, f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to the incidence of injury diseases and into their demographic and sociologic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has estim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n questionnaire investigation carried out by the Korea medical panel (2008) and the social economic costs. In particular, an estimation has been conducted of social costs for each type of accident, injury and intoxication and of medical use for the injuries. For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crete programs customized for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income and to continually implement injury prevention education, with a view to reducing the injury incidence and medical expenses; and also, individuals' participation in and social and national efforts are required for an efficient operation of the health insurance, for the purpose of reducing social and/or economic costs for injuries in South Korea.

Cost Analysis of Long Term Care Services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비용분석)

  • Park, Changje;Kim, Soo-Young;Joo, Soo-Hyeon
    • 한국노년학
    • /
    • v.29 no.3
    • /
    • pp.1043-106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ost side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s economically, and then to discuss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is research, primary caregivers that provide care the elderly requiring long term care services sanction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were drawn and surveyed. Among collected data, data for 422 primary caregiver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amily caregivers from various settings that give care to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regiver's household income level is low. Therefore, caregiving families with the elderly are likely to have financial difficulties. Second, under coverage of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the direct cost caregiving households pay for the elderly is still very high. Third, indirect cost of caregiving households accounted for the larger proportion caregiving costs. Fourth, social cost burden for caregiving the elderly is very high. This cost amount is appropriately equal to household income of caregivers surveyed in the research. Fifth, service use cost of caregiving households is differentiated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 Sixth, direct cost of caregiving household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 but is differentiated less than service use cost. Seventh, social indirect cost for caregiving the elderl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y type of long term care service. Eighth, social cost amounts for the elderly utilizing long term care service is very high, total social cost per capita by types of long term care service tend to converge on average social cost per capita of total service.

The Economic Costs of Newly Diagnosed Lyme Disease (Lyme질환의 경제적 비용분석)

  • Pauly, M. V.;;Madaglia, M.
    •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
    • v.4 no.2
    • /
    • pp.126-147
    • /
    • 1994
  • Lyme 질환은 미국 코넷티컷주의 라임지방에서 관절염증상을 보이는 소아과환자에게서 1975년 처음 발견되었다, 사슴, 누루, 개 등에 기생하는 진드기에 의해 전염되며, 발병초기에는 감기증상을 수반한 황소의 눈과 비슷한 붉은 반점이 생긴다. 적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관절염, 심장질환, 안면신경마비 등으로 악화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진단초기의 Lyme질환과 관련된 의료 및 기타 경제적 비용을 저렴하게 계측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둘째로 lyme질환의 비용에 대한 여러종류의 총괄적 계측치를 제공하고 발병의 위험요인을 색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차트분석이나 임상연구 등 고가의 비용이 수반되는 분석기법 대신에 Lyme질환 다발지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유효성을 재설문조사를 통해서 검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상의 난점은 조사대상자마다 응답하지 않은 항목(Missing Value)이 다르기 때문에, 총 비용을 계산할 때 모든 항목에 응답한 조사대상자만을 사용한다면 표본의 크기가 너무 작아지는 것이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총비용 및 부분별 비용의 합을 계산할 때 표본의 일부가 응답하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는 그 항목에 응답한 나머지 조사대상자의 응답치 평균을 대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분석결과, 질환의 증상시작부터 설문조사시기까지 Lyme질환과 관련된 사회적 총비용은 US$ 6400으로 추정되었다. 이중에 200가량은 환자의 보호자와 관련된 비용이고 나머지는 환자와 관련되 것이다. 총의료비용의 평균은 계산방법에 따라서 US$ 3000-4200의 범위를 보였다. 응답되지 않은 항목을 해당항목에 대한 응답치평균으로 대체하였을 때 총의료비평균은 US$ 4108이었다. 시간비용을 생산성손실에 대한 사회적 가치와 실제임금 손실의 두가지 방법에 의해 계산되었다. 실제임금손실은 생산손실의 사회적 가치의 약 30%에 불과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의료비용 및 비용과 생산성손실에 대한 정보가 지역보건담당자에 의한 전화설문조사에 의해 경제적이고도 일관성 있게 수집될 수 있다는 근거로 해석될 수 있다.

  • PDF

A Methodology to Evaluate Economic Feasibility by Taking into Account Social Costs from Automobile Exhaust Gases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경제성 평가 방법론)

  • Cho, A-Ra;Lim, Seong-Rin
    • Clean Technology
    • /
    • v.25 no.3
    • /
    • pp.263-272
    • /
    • 2019
  • Air pollutants have a high impact on everyday life as well as on human health; therefore, new technologies such as low-emission vehicles and add-on systems for air pollutant reduction are needed for our society. However, the environmental benefits and costs of those technologies are not taken into account in existing economic feasibility assessments, which is a barrier that needs to be overcome for green technology to achieve wide dissemination and fast penetration in the market. Thus, this study develops a methodology to asses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an air pollutant reduction technology by taking into account the social costs from air pollutants and carries out a case study to validate the methodology. Because the social unit costs for air pollutants have not been evaluated yet in South Korea, the methodology uses the social unit costs evaluated for the European Union that are then converted to those for South Korea based on the measuring criteria for vehicle emission gases, parity purchasing price, foreign currency exchange rate, and customer price index. The social unit costs for South Korea are used to assess economic feasibility. A case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a dual fuel system using diesel and compressed natural gas by taking into account social costs from air pollutants as well as economic costs.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assessing the true economic feasibility of green technology, projects, and policy related with air pollutant reduction.

대기오염의 사회적 비용

  • 조준모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6.07a
    • /
    • pp.89-102
    • /
    • 199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기오염의 실태를 알아보고,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산출해 봄으로서 비용-편익분석에 기초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선진국형 환경규제기준의 발판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WTO의 정식의제로 채택되리라고 예상되는 환경정책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우리나라 환경정책의 우선순위의 결정 및 사람들이 체감으로 느끼는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확인시킴으로써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을 확산, 환경정책의 수행을 용이하게 한다. 이산화질소와 호흡기 질환의 반응도에 관한 실증분석의 결과는 이산화질소가 인체의 호흡기 질환에 매우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산화질소 대기오염으로 인한 한해 동안의 사회적 비용은 약 5조 3,946억원을 상회했다. 이외에 상관관계를 이용해 대기오염이 질병에 미치는 영향을 진료과목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는 대기오염이 질병에 상당한 상관관계를 갖고 질병을 유발시키고 있음을 확인했다.

Study on Development of Social Cost Estimating Model for Aids to Navigation Accident(II) (항로표지사고의 사회적비용 추정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II))

  • Moon, Beom-Sik;Kim, Tae-Go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3 no.3
    • /
    • pp.166-171
    • /
    • 2019
  • Aids to Navigation(AtoN) Accident can reduce the credibility of AtoN by adding extra works to the administrators, and cause burdens and inconveniences to the users during their navigation leading to social costs (or economic losses). Prior research on social cost estimation model to determine the Encounter cost, Administrative cost and Risk cost on the Aton model was done to estimate the economic losses due to AtoN Accident. However, this research could not provide adequate study results on risk cost estimates. Therefore, this study complements the estimation model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and the estimated social cost of 249 AtoN Accidents that occurred during the last 10 years (2008-2017) in the Busan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jurisdiction area. The risk cost was estimated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since the AtoN is a non-market goods. As a result, the social cost of AtoN Accidents for the past 10 years was estimated to total 12.4 billion won including Encounter cost of 3.1 billion won (25.38%), Administrative cost of 1.7 billion won (13.62%), and Risk cost of 7.5 billion won (6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