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논의구조

Search Result 46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Perceptions of Social Changes and Subjective Well-Being: A Cross-National Analysis of the Coping Resource Effectiveness (사회변동의 지각과 주관적 안녕감: 대처자원의 효과에 대한 국가 간 차이의 분석)

  • Jungsik Kim;Wansuk Gim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4 no.1
    • /
    • pp.19-45
    • /
    • 2008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s of social chang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effectiveness of coping resources in such a relationship by compar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the samples obtained in two countrie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Participants in two countries reported their perceived pace of social change, evaluation of social change,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 resources(self-esteem and self-efficacy), and social resources. Based on the survey data, a structural equation models was developed and compared across two samples to examine the moderation effects of coping resources by culture and nation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perceived pace of social change affected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evaluations of social change a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coping resources: social resources had stronger effects for the Korean sample whereas personal resources had stronger effects for the U.S. sample. Discussions on the psychological impact of a new type of social stress, social change, is included.

  • PDF

Research o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Among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ged 65 or Older Based on Socio-Psycho Paradigm (사회.심리적 패러다임에 의한 고령자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 Choi, Hye-Ji;Lee, Young-Boo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7 no.3
    • /
    • pp.415-43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ceptual constructions which determined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This study was guided by two theoretical frameworks, planned behavior theory and hierarchical personality model. Based on two theories, the conceptual framework which aimed to explai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were formulated. Data from 'The health and welfare profile of the elderly aged 65 and or older in Chung-choo city' was analyzed. The subjects consisted of 87 economically active elderly population. Structure equation model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s of structure equation model revealed that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erceived financial-planning knowledge and the level of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for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had the good model fit.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 PDF

Effect of Social Relation on Digital Device Usage: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개인의 사회적 관계가 디지털 기기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적 자본 관점)

  • Yunmo Koo;Joohyun Oh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1 no.3
    • /
    • pp.131-149
    • /
    • 2019
  • As smart phones, tablets, and other digital devices become more pervasive, theoretical arguments around digital divide, which has previously focused on "access," is now expanding to effectively "utilize," actively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Such discussion is significant because the impact on inter-personal and social networks depends on how digital divides are used, which can then recreate or exacerbate social inequality structur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individual's social relations and two types of social capital (i.e., bonding and bridging) on economic and socio-participatory usage of digital devices. An empirical analysis of dataset from 740 surveys reveals that the more horizontal the social relations of the individual, the more both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increase. However, rather than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e individual directly influencing the two types of digital device usage, it has an indirect effect on both economic and socio-participatory usage of digital devices. In particular, mediating effects of both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exist in the case of economic usage of digital devices, whereas bonding social capital only has mediating effects on economic usage of digital devices. We discuss the role of social capital on digital devices usage and presen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ESG and Corporate Power Issues and Social Responsibility (ESG와 기업권력의 문제 및 사회적 책임)

  • Lee, Kiheung;Lee, Junho;Choe, Yoowha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4
    • /
    • pp.61-65
    • /
    • 2022
  • As corporations grow in size, corporations exert a very wide influence on society, but on the other hand, as they fail to take responsible corporate actions to use their influence, giant corporations are often criticized as irresponsible social organizations that cause great social problems.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 between ESG and corporate power as a fundamental background that causes social problems related to corporate activities, and studi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sues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discussed in the business and social fields.

창업을 위한 대학의 새로운 역할: WoW! Valley Model과 협업체계 구축 방안

  • Kim, Tae-Gyeong;Im, Seon-Hong;Kim, Yeong-Chul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40-40
    • /
    • 2017
  • 국내 대학은 연구 및 교육 기관으로서의 중요성과 함께 창업에 기여해야 할 사회적 책무를 지고 있다. 대학이 축적한 각종 지식 성과와 함께 연구와 개발 인프라를 활용하고 대학생 및 대학원생의 창의적 아이디어의 활용 가치를 높여 경제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성장 엔진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창업연구와 창업지원 사업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맞추어 대학은 창업기능을 구조 혁신의 도구로 삼을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창업지원 기관의 역할 정립을 위한 학술적 지식을 되짚어 보고 창업을 중심으로 한 대학의 적극적인 창업지원단 구축 모델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다.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에 관한 기존의 연구와 2차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창업지원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획득하고 대학 혁신을 위한 창업지원 모델인 WoW! Valley Model을 제안한다. 본 모형은 창업지원단의 역할 정립에 도움을 주고 대학 창업지원의 정책 수립의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국내외 경제 여건의 악화와 글로벌 경제 침체 속에서 창업의 사회적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의 창업 활성화는 시대적 과제라 할 수 있다. 체계적인 창업 지원 정책을 대학이 주도하고 현실 학문적 성격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체질을 개선하는 일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대학의 창업지원단 활동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미 국내의 많은 대학들이 창업지원을 위한 센터나 지원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독자적인 체계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창업지원을 중심으로 대학의 기능을 재편하는 등의 혁신 체계로서의 창업지원단 운영 모델은 수립 및 시행된 경우가 드물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되짚어 보고 국내 대학의 창업지원을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창업 지원단의 수립 및 운영 모형에 관한 논의가 절실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연구자와 대학 운영자 및 정책 입안자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본 연구는 개념적 디자인을 제시하는 수준이므로 디자인을 평가하여 새로운 지식을 얻는 등의 후속 과정을 거쳐 보완될 필요가 있다. 다중 사례 연구와 실행 연구(Action Research) 등의 실증 방법을 통해 본 연구의 후속 결과가 요구된다.

  • PDF

The Public Sphere and the Conflict-Structure in Spent Nuclear Fuel Management (사용후핵 연료 관리 이슈 공론장과 그 갈등구조에 관한 소고)

  • Choi, Seong-Kyung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7 no.1
    • /
    • pp.49-62
    • /
    • 2009
  • Social Acceptance is important to decide policy of spent nuclear fuel management. The idea of a public sphere as a receptacle of dynamic process is the core in this discu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participants, the conflict-structure and agreeable conditions of a public sphere. A public sphere means in this paper, mechanism and systems that various stakeholders' and public's participation with spontaneous will can affect decision-making process. For good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public sphere, it is necessary to analysis and cope with political, foreign and security, economic, sociocultural environments, the law and systems around spent nuclear fuel management.

  • PDF

Social Polarization and Its Spatial Characteristics: The Case of Seoul, South Korea (사회적 양극화와 공간적 특성 : 서울의 사례)

  • Yim, Seok-Hoi;Lee, Y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2
    • /
    • pp.270-279
    • /
    • 2002
  •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한국사회의 뚜렷한 변화의 하나는 빈부격차의 확대와 함께 사회계층의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 양극화의 주요 원인은 무엇이며, 사회적 양극화가 공간적으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서울을 사례로 하여 규명하는 데 있다. 서구 선진자본주의 국가에서 사회적 양극화에 대한 논의는 이미 1990년대 초 세계화 또는 세계도시가 주요한 연구주제로 등장하면서 시작되었다. 1980년대 이후 선진자본주의 국가를 중심으로 한계에 도달한 포드주의 축적체계가 포스트 포드주의로 급속히 전환되면서 사회적 양극화가 자본의 유연화 및 세계화 전략과 맞물리는 현상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최근 전개되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 양극화는 서구 선진국과 유사하다.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세계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지식기반경계의 대두로 고소득 전문직이 등장하는 반면, 중산층의 몰락과 더불어 임시적 고용이 확대되고 실업이 만성화되는 등 자본의 세계화와 유연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극화 양상이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한국의 사회적 양극화는 이미 1990년대 초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IMF 경제위기는 단지 그러한 사회적 양극화를 급속히 진행시키는 방아쇠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양국의 사회적 양극화는 직업구조와 임금소득의 격차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또 다른 특성을 갖는다. 왜곡된 시장구조에서 무엇보다도 부동산과 같은 자산소득의 격차가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서울은 이와 같은 한국의 사회적 양극화가 한 도시 내에서 전형적으로 전개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내 어떤 도시보다도 세계화되어 있고 전문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산업이 발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의 사회적 양극화는 공간적으로도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서울은 크게 주거지로서는 공동화되고 있는 중구 종로구 용산구 등 사대문안의 구도심지역,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을 중심으로 한 1970년대 이후 계획적으로 계발된 이른바 강남의 신흥주택 및 신산업 지역,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성동구 동대문구 등 제조업 중심의 구 산업 및 저소득층 주거지역 그리고 그 나머지 강북 강서 강동 등의 전형적인 주거지역 등 4개 유형으로 지역이 구분된다. 그러나 IMF 경제위기 이후에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를 중심으로 하는 고소득증의 주거지와 그 나머지 주거지로 공간적 양극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적 양극화의 이와 같은 공간화 과정에는 자산소득의 격차를 확대하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높은 지가 및 아파트 가격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높은 부동산 가격이 이 지역에 대한 일종의 진입장벽을 참음으로써 고소득층에 의한 공간독점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공간적 양극화를 촉진하는데는 지하철 및 문화복지시설의 집중 둥 불균형적인 공공투자와 강북에서 이전한 명문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형성된 8학군 등 양호한 교육환경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한국에서의 사회적 양극화는 직업구조와 임금소득이라는 일반적인 요인 외에도 부동산 가격 및 소득 그리고 생활인프라의 격차를 통해 공간적 양극화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한국내 다른도시에서도 전개되고 있는지, 공간적 양극화로 인한 도시문제는 무엇이고 대처방안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 PDF

Opportunity Structure Analysis as Cultural Legitimation of Film World after the 1980s -the case of Popular Culture Movement & the Opening of Film Industry- (1980년대 영화의 정당화 과정으로서의 기회구조 분석 -민중 문화 운동과 영화시장 개방을 중심으로-)

  • Kim, Ju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4
    • /
    • pp.125-136
    • /
    • 2013
  • This paper studied the transition of changes in social status of the film since 1980s' Korea. After accepting the changes in social status of the film as the legitimation process of recognition for social and cultural value, this study investigated thos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purpose, opportunity structure in social movement theory was engag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structured opportunity, which was considered as external variables of the film world, was divided into chance and risk factors. In this paper, the opportunity factors, affecting the legitimation process of film, included the emergence of popular culture movement. The risk factors, being considered as the violation of American filmdom and the consequential response of strategies were also researched. Those factors were responsible not only for external variables of filmdom, but also for compensators and competitors in the legitimation process of the film. Since 1980s', cultural industrial growth and democratization generation's entry into the film world affected the legitimation of the film as significant cultural product. Besides, the threat of American film industry changed rationality and competitive landscape of Korean film world.

조직간 정보시스템 유형별 위험 관리

  • 김미숙;김유일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11a
    • /
    • pp.713-720
    • /
    • 1999
  • 최근 조직간정보시스템의 연구는 조직간 전략적 협력을 형성함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잠재적 갈등의 위험 인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기존 연구 대부분은 조직간의 위험발생에 있어서 경제적 관점의 위험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조직간 기술적 호환과 관련된 기술적 문제, 조직상호간의 활동, 서로 다른 문화ㆍ전략 차이간의 조정에 요구되는 사회정책적 문제는 고려하지 않고 있어서 조직간의 합리적이며 경제적인 협력적 동맹관계를 논의하는데는 충분치 않다. 따라서 조직간 협력적인 동맹관계를 다루기 위해서는 기존의 경제적 관점에 기술적 관점, 사회정책적 관점을 추가한 세가지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조직간 정보시스템의 개념적 특성을 살펴보고, 조직간의 상호의존성, 구조적 특성, 기술, 조정매카니즘 요소등에 의해 정보자원공유, 가치사슬망, 네트웍 형태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에 대한 경제적, 기술적, 사회정책적 관점의 위험을 분석하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iscussions on Mechanisms,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노년기 정보격차의 메카니즘, 특징 및 시사점에 관하여)

  • Kim, Myoung-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4
    • /
    • pp.246-262
    • /
    • 2015
  • The digital divide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in the two waves of informatization and aging society.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various theoretical approaches and discussions on the mechanisms of the digital divide and to synthetically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This study examines 1) four theoretical approaches on the mechanisms of digital divide among people in general, 2) thre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six specific explanations on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and 3) five controversial features and concepts of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multi-dimensional digital divide in old age and more attention to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in terms of individual well-being and social inequalities.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