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 기업

검색결과 3,194건 처리시간 0.028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자본제약 그리고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 (An Empirical Association amo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apital Constraint, and Firm Value)

  • 곽영민;백정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5호
    • /
    • pp.135-155
    • /
    • 2013
  •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으로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이 부각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외를 막론하여 학계 및 실무계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으나 양자 간에 존재하는 조절변인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 등에 따라 분석결과는 혼재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자본제약요소를 사회책임활동과 기업가치 사이에 존재가능한 매개변인으로 고려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여 사회책임활동과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자본제약과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자본제약 요인 또한 주가로 대리된 기업가치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투자자에게 기업의 신뢰성을 제고하는 기능적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자금조달을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기업가치를 증대시키는 효과적인 전략이 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기업의 자본제약 요소를 사회 책임활동과 기업가치 사이에 존재하는 매개변인으로 고려할 경우에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직접적으로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자본제약이 사회책임활동이 기업가치 증대로 이어지는 연관선 상에 존재하는 완전한 매개변인이 아니라 부분 매개변수임을 암시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기업의 자본제약 요인이 사회책임활동과 기업가치 간에 존재하는 중요한 조절요인이 되고 있음을 제시하는 것으로 이는 향후 사회책임활동과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연구에 있어 양자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매개변인의 효과를 명확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조직요인은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Do Organizational Factors Influence the Outcome of Social Enterprise?)

  • 조상미;권소일;김수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3호
    • /
    • pp.29-50
    • /
    • 2012
  • 최근 사회적 기업의 양적확대가 계속되고 있어 사회적 기업들의 지속가능한 성과창출을 위한 효과적인 운영방안 제시가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조직요인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다양한 조직 운영요인으로 전략적 요인, 경영지원시스템, 외부환경, 조직문화를 살펴보았으며 객관적 요인인 조직형태, 목적유형, 수익업종, 기업경로를 통제하여 그 영향을 살펴보았다. 조직의 전략적 요인은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 모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인사관리 지원과 혁신지향문화가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외부환경 요인 중 지역사회지원은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근거하여, 사회적 기업의 효과적 운영방안과 향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PDF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경제적 성과 실증분석 - 서울지역 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 (Empirical Analysis of Socio-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Focusing on social enterprise in Seoul)

  • 윤정혜;나관식;유연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213-22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기업 중 서울소재 사회적기업 107개사를 대상으로 인증특성(인증유형, 인증연도)이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기업의 인증특성 중 인증유형이 사회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인증특성 중 인증연도가 경제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증특성 중 인증 받은 연차가 높을수록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경제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일자리제공형의 사회적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앞으로 이러한 유형의 인증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획일적인 지원정책만으로는 사회적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자립에 미흡하므로, 인증연차별로 지원정책을 다양화하여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경제적 성과를 극대화화 함으로써 지속가능성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기업과 취약계층의 평생교육 연계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Linkage of Lifelong Education between Social Enterprises and the Vulnerable)

  • 이효영;한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93-30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과 취약계층 평생교육 연계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취약계층의 평생교육과 사회적기업 연계에 대한 실제적 사례연구로 사회적기업 2곳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면담한 결과와 관련 정보를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기업의 유형 범주에 따른 취약계층 평생교육을 고찰을 통해 취약계층 평생교육과 사회적기업의 다양한 인증유형과의 연계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적 기업인 '민들레누비', '은빛둥지' 2곳의 인터뷰를 통해 취약계층의 평생교육의 장으로써 사회적기업의 긍정적 운영과 평생교육을 통한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과 삶의 만족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취약계층 평생교육이 요구되는 현 사회에서 사회적기업의 연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사회적기업과 취약계층의 평생교육 연계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 유형에 따른 지역연계형 사회적기업의 비중이 확되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정부의 취약계층 사회적기업에 대한 행 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취약계층의 사회적기업 진입과 정착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과 체계적 지원이 요구된다. 넷째, 사회적기업가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다. 다섯째, 사회적기업 내 찾아가는 평생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시설, 공간을 확보하여 취약계층 밀착형 평생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사회구성원 전체가 책임의식을 가지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평생교육과 사회적기업 연계에 실제적인 자료의 제공과 평생교육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기업의 혁신유형과 사회적 자본의 관계 - 경북 소재 IT 기업을 대상으로 - (The Relation between Innovation Pattern and Social Capital: Focus on IT Companies located in Gyeongbuk)

  • 김선우;이장재;이철우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47-559
    • /
    • 2005
  • 본 연구는 혁신목적과 사회적 자본간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고찰하친 있다. 기업의 혁신목적 유형에 따라 사회적 자본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5년 6월에서 7월 사이에 실시된 $\ulcorner$경북 IT기업 기술혁신활동 조사$\lrcorner$ 에서 나타난 176개 기업자료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IT기업의 기술혁신 유형변수로 '탐색형 기업', '활용형 기업'으로 구분하였고, 사회적 자본은 네트워크의 범위를 나타내는 '구조적 변수'와 강도를 나타내는 '관계적 변수'로 구분하여 구성형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탐색형 기업에서는 네트워크의 범위가 넓고(sparse network) 약한 연계(weak tie) 관계를 가지는 반면, 활용형 기업에서는 네트워크가 범위를 좁고(dense network) 강한 연계(strong tie)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회-기술 시스템 전환과 기업 혁신활동 (Socio-Technological System Transition and Innovation Activities of Firms)

  • 황혜란;송위진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4호
    • /
    • pp.57-88
    • /
    • 2014
  • 글로벌 수준에서의 환경, 경제, 사회적 차원의 거대한 도전은 이제까지의 이윤추구 위주의 기업 활동에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기업은 경제적 주체임과 동시에 사회적, 환경적 책무를 가진 사회적 주체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사회-기술 시스템 전환을 지향하는 기업 활동이 새로운 현상으로 발흥함에 따라 기업의 정체성, 활동 동기와 비즈니스 모델 진화에 대한 기술혁신 관점에서의 확장된 논의가 요청된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한 시스템 전환에 있어 기업의 역할에 주목하고, '전환지향적 기업' 개념을 제출함으로써 기존의 경제적 관점에서만 고려되어온 기업의 개념을 사회적 문맥 하에서 재해석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기업이 전환활동에 참여하는 동기, 비즈니스 모델의 유형 및 전환을 위한 조직 및 전략 등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함으로써 전환지향적 기업 활동의 새로운 범주의 이해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론 및 사례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시스템 전환을 지향하는 비즈니스 모델 혁신의 유형을 크게 기술적 혁신, 조직적 혁신, 사회적 혁신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환지향적 기업 활동을 전개함에 있어 기술(인지)적, 조직적, 시스템적 차원에서 장애요인에 직면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관점에서의 기업전략과 시스템 전환을 지원하는 정책노력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사회적 기업 전환을 위한 욕구분석 (Needs for the Conversion of Social Enterprise)

  • 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67-374
    • /
    • 2010
  •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을 추진하고 있는 기관들의 욕구를 파악해 올바른 사회적 기업 지원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극복되어야 할 내부 장애요인으로는 운영자금 및 투자자금의 부족이 지적되었고, 사회적 기업 전환 전에 선행되어야 할 조건으로는 재정지원이었다. 사회적 기업으로의 전환과정에는 기업설립 및 운영에 필요한 운전자금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가장 시급히 해야 할 지원은 인건비 지원, 우선 구매 및 우선위탁 의무화였다. 향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사회적 기업의 운영에 필요한 설비와 인력을 갖출 수 있도록 초기자금을 지원하고, 사회적 기업의 상품과 서비스 판로개척을 지원해야한다.

문화마케팅 활동이 기업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on a Corporate Brand Asset)

  • 유희봉;하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856-1868
    • /
    • 2008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부각되고 있는 문화마케팅이 기업윤리와 사회적 책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이미지와 브랜드자산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문화마케팅이 기업이미지와 브랜드자산을 형성하는 각 유형들 중 어느 부분에 더 밀접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갈다. 첫째, 문화 마케팅활동은 기업브랜드 자산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문화 마케팅은 기업브랜드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문화마케팅은 브랜드연상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사회적 책임과 기업윤리는 브랜드 충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업윤리는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 지역사회 활동은 조절변수 역할을 했다. 일곱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기업의 마케팅, 사회적 책임 및 윤리의식, 브랜드 자산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위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문화마케팅은 기업이미지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기업의 브랜드자산 형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기업들이 문화마케팅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매체와의 적절한 조화,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계획, 브랜드자산 유형과의 연계성을 감안한 전략적 마케팅계획수립의 중요성을 암시해 주고 있다. 또한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 및 제공이라는 기업의 경제적 활동이 경제적 결과만을 가져오지 않고 부의 편재, 정경유착 문제, 소비자 안전문제, 공해문제 등의 부정적인 사회적 결과를 가져온다고 인식됨에 따라 경제적 기능으로 한정되는 기업의 역할에 대한 반성을 일게 했다. 이러한 반성으로부터 나타난 것이 기업의 사회적 역할,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며, 기업윤리의 실천을 동시에 조화롭게 추구하도록 요청받게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에 대한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Korean CSR in China on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for Korean Products)

  • 정성훈;김미정;주여이
    • 통상정보연구
    • /
    • 제15권3호
    • /
    • pp.155-173
    • /
    • 2013
  • 1990년대부터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은 기업과 연구자에게 많은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소비자의 구매 행동은 직접적으로 기업의 재무 성과뿐만 아니라 회사의 미래 발전과도 관련이 있다. 많은 CSR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기업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논문은 소비자, 기업, 국가 세 가지 측면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에 있는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삼성 브랜드를 이용하는 고객 및 이용할 의사가 있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모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소비자 동일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명성과 원산지 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조절 변수들 중에 기업-소비자 동일시는 기업의 명성과 원산지 이미지 보다 더 중요한 조절변수로 나타났다.

  • PDF

사회적 기업의 성과분석 실증모델 구축 및 분석 (Empirical Model Building and Analysis for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 임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436-1441
    • /
    • 2014
  • 사회적 기업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경제 부문에 있어 중요한 경제적 사회적 기여를 하고 있다. 많은 실제적 노력과 학문적 연구를 통하여 그 영역을 넓히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을 설정하였으며 (사회적 기업가정신, 관계지향형 조직문화, 정부지원정책)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 두가지 변수를 종속변수로, 그리고 사회적 기업의 규모 및 성숙도를 제어변수로 두었다. 107개의 사회적기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총 6개의 가설을 검증하여 실제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및 사회적 성과에 기여하는 변수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밀착형 기업문화와 정부지원정책이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사회적기업 성과 창출에 주요한 요소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