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지지 프로그램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5초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Social Support and Life's Satisfaction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 전리상;조홍중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59-368
    • /
    • 2017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경험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사회적 지지를 정서적 지지 요인, 평가적 지지 요인, 물질적 지지 요인, 정보적 지지 요인 등으로 구분하였다.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표본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의 여러 요인 중 평가적 지지 요인이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변사람들이 그들에 대한 가치, 인격, 인정, 칭찬과 격려 등의 평가적 지지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 김경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97-303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성을 확인하고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과 인천 소재의 중학교를 방문하여 총 289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설검증결과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역시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모두 채택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자면 청소년 시기의 자아탄력성을 강화할 수 있는 심층 상담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 지지를 통한 심리적 지원을 위해 가족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친구에 의한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며 멘토가 필요한 학생들에게 교사 및 선배와 연계할 수 있는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신수정;이승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9-18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확인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소재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 3, 4학년 재학생들로,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자로 구성하였으며 최종 연구대상자는 132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11월 10일부터 11월 25일까지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살사고,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반복연구를 시도하고 사회적 지지를 강화한 정신건강 증진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중독 회복을 위한 SMART Recovery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SMART Recovery for the Recovery of Addiction)

  • 허은정;김나미;김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67-468
    • /
    • 2019
  • Alcoholics Anonymous(AA)/Narcotic Anonymous(NA)의 12 단계 중독 회복 프로그램과 선배 회복자의 지지는 중독 치료 모델에서 성공적인 회복에 기여하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 12단계 중독회복 프로그램의 특징은 특정 종교를 기반으로 하지 않지만 자신의 무력감과 영적 존재에 대한 인정을 바탕으로 한다. 어떤 이들에게는 성공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이 특징이 일부 참여자에게 거부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AA/NA의 오프라인 모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부작용으로 인해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지만 사회적 지지를 포기하는 이탈이 발생하여 참석자의 회복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이에 서구 여러 나라에서 AA/NA와 유사하지만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 모임이 가능하고, 외부의 존재에 대한 의존이 아닌 중독자 스스로가 중독을 극복하게 도와주며 다양한 형태의 중독의 문제를 다루도록 돕는 SMART(Self Management and Recovery Training) Recovery가 대안으로 부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독회복에 상호자조집단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12단계 프로그램이나 오프라인 모임 외에 다른 대안이 없는 국내 상황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SMART Recovery에 대한 정보와 접근방법들을 심도 있게 탐색하고자 한다.

  • PDF

에코세대의 사회인식 및 건강상태가 사회적지지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Convergent Influence of Social Awareness and Health Status on Social Support in Korean Echo Generation)

  • 송효정;박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247-256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용 한국사회의 사회 심리적 불안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에코세대의 사회인식 및 건강상태가 사회적지지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성인용 한국사회의 사회 심리적 불안 실태조사 자료는 2015년 8월 8일부터 9월 22일까지 실시되었고, 분석대상자는 1,653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sion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위계적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에코세대의 사회적지지 평균점수는 19.60점이었다. 에코세대 사회적지지 영향요인은 이웃관계 원만함, 계층인식, 행복감 유무, 사회의 평등성 여부, 사회의 안정성 유무, 자존감 정도, 의사소통 정도 및 스트레스 정도로 나타났다. 에코세대의 사회적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코세대의 사회인식 및 건강상태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사회네트워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사회 연계 체계를 구축하며 지속적인 상담과 교육이 필요하다.

제주지역 성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among Adults in Jeju Province, South Korea)

  • 박은옥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1호
    • /
    • pp.25-35
    • /
    • 2011
  • 본 연구는 성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우울 정도를 비교하며, 사회적 지지와 우울 간에 관계를 분석하여 우울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우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지원하여 수행한 '제주도민 우울실태조사' 연구과제의 원시 자료를 이용하여 이차분석 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서 계층적 무작위 집락 표출법을 이용하여 선정한 750가구의 성인이었으며, 24명의 훈련된 조사원이 2007년 11월부터 12월까지 가구면접조사를 통해 수집한 1,15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울은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를 이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The Medical Outcomes Study (MOS) Social Support Survey 도구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우울은 평균 11.35점이었고. 사회적 지지는 평균 75.53점이었다.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을 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결혼상태가 미혼이거나 배우자가 있는 경우보다 이혼 및 사별인 경우,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종교가 없는 경우 우울 정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여섯개의 독립변수가 설명하는 변량은 29.8%였고, 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사회적 지지가 포함되었을 때, 결혼상태, 사회경제적 수준, 종교는 유의하지 않았고,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건강수준, 스트레스, 교육수준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회귀모형을 유의하였고, 설명되는 변량은 36.9%로 사회적 지지가 포함되지 않았을 때보다 7.4%가 증가하였다. 또한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을 때, 사회적 지지가 설명하는 변량은 22%로 비교적 높았고, 주관적 건강수준으로 설명변량이 11.4% 증가하였고, 스트레스 인지를 추가하여 우울에 대한 설명변량이 2.7%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다른 변수들에 비해 사회적 지지의 설명 변량이 높은 편이었고, 회귀계수도 ${\beta}$=-.319로 비교적 큰 편이었다. 사회적 지지는 본 연구에 포함된 다른 여러 변수에 비해 우울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요인이므로 사회적 지지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우울예방과 관리를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사별가족의 가족 탄력성, 사회적지지, 죽음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Death Recognition on Quality of Death on the Adaptation of Bereavement Family)

  • 허현점;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271-280
    • /
    • 2019
  • 본 연구는 사별가족의 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4월 21일부터 5월 30일까지 B시와 K지역에서 가족사별을 경험한 대상자들에게 눈덩이 표추럽을 이용하여 236명에게 자가보고 서문지를 배포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별적응 정도는 3.5점, 가족탄력성은 3.8점으로 하부영역으로는 신념체계가 3.9점으로 가장 높았다.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사별적응을 잘 할 것이다는 기각되었으나 가족 탄력성에서 신념체계, 죽음인식, 죽음의 질이 사별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별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지망을 구축하고 죽음준비교육과 웰다잉을 위한 교육 등 죽음이 보다 아름답고 존엄한 죽음이 되기 위한 프로그램 마련 및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Aggression in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Grit)

  • 신명옥;방해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147-156
    • /
    • 2022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8 아동·청소년 패널(KCYPS)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조사 대상자는 중학교 1학년 2,590명을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Baron & Kenny의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부모지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친구지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교사지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공격성을 낮추고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Stress-Coping Behaviors in School-Aged Children)

  • 문영숙;한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417-425
    • /
    • 2016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연구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5월 23일까지 였으며 D시에 있는 초등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분석결과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은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아동의 긍정적인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중재가 필요하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정신건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n Resilience of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 정지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403-41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정신건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J도에 소재한 3개 대학의 보건계열 대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결과 회복탄력성에 사회적 지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신건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사회적지지의 하위변수인 물질적 지지와 평가적지지, 정신건강의 하위변수인 불안,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대학생활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8.9%이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영향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증진 방안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