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문화적 환경

Search Result 1,35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Plan for Utilizing Historical-Cultural Contents in the River Basin (하천유역에서의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방안)

  • Ho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7-417
    • /
    • 2019
  • 하천의 기능은 공학적 관점에서의 이수, 치수, 환경 기능 외에도 사회적 관점에서 역사 문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우효섭, 2009). 1990년대 말부터 하천복원사업이 본격화 되면서 최근에는 하천환경 기능 외에도 친수를 포함한 역사 문화 기능이 하천관리의 주요 축으로 고려되거나 포함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하천의 역사 문화 기능을 주문하는 요구가 증가한 이유로는 하천복원사업의 지역적 획일화, 친수(심미) 요구 증대, 지역 경제성 제고, 환경(생태, 문화 등) 가치 증대 등 사회경제적 정책적 환경 변화가 기인한 부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하천의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관리와 보전을 위한 방안으로 하천의 역사 문화적 요소를 사회 경제적, 생태 환경적 요소와 연계하는 접근방식은 유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공동체가 형성해온 물 문화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하천유역의 역사 문화적 소재 및 자원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사 수집된 다양한 역사 문화적 소재 및 자원은 하천사업 및 관리의 주요 콘텐츠로 활용되기 위한 창출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사회 경제적, 생태 환경적 요소와 연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을 대상으로 문헌조사 기반의 사전조사와 심도 있는 현장조사(탐문조사 등) 수행결과를 토대로 향후 하천복원사업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역사 문화적 소재와 자원 등에 관한 콘텐츠를 도출하였다. 또한 콘텐츠 활용방안은 하천 역사 문화 자원의 세부적인 콘텐츠를 아우를 수 있는 테마설정을 통하여 대상지 및 지역특성(치수 안전, 지역요구, 물 문화 가치 등) 등을 고려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친수 측면에서 현재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방문자수, 목적(산책, 스포츠, 낚시, 물놀이, 레저 등) 등에 대한 패턴과 지역 인구 현황, 접근 인프라(교통, 이동로, 편의시설 등), 주민 요구도 등 잠재적 친수도는 물 문화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주요한 고려사항이라 할 수 있다.

  • PDF

Social Impact Assessment on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대형 국책사업에 대한 사회영향평가)

  • Lee, Jong-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9 no.2
    • /
    • pp.197-204
    • /
    • 2010
  • 새만금사업, 신행정수도(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시), 한반도 대운하사업(4대강 살리기사업) 등과 같은 대형국책사업은 대통령 선거공약으로 제시되었다. 그러한 대형국책사업이 국가의 이익을 위해 꼭 필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하더라도, 그 결과는 좋은 의도와는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다. 대통령 선거후 환경정책기본법과 환경영향평가법에 따라 대형국책사업에 대한 사전환경성검토(전략환경평가)와 환경영향평가가 이뤄졌지만, 예상하지 못했던 정치적, 사회경제적, 환경적 갈등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개발 및 환경 갈등의 원인은 여러 측면에서 찾을 수 있겠지만, 사회경제적 항목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영향평가의 미흡을 그 원인으로 제시하는 연구가 많다. 대규모 국책사업을 둘러싼 개발 및 환경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외국의 사회영향평가의 현황과 연구 동향을 고찰하고, 국책사업의 주요 쟁점의 분석을 통하여 사회영향평가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사회영향평가의 도입, 강화, 지침 마련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현재의 사전환경성검토(전략환경평가)시에 사회적 통합, 경제적 측면(B/C분석, 비용, 고용 등), 법제적 측면, 한반도 통일이나 국가균형발전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항목을 평가항목에 추가함으로써 사회영향평가를 도입하고; 둘째, 환경영향평가 시에 공공시설, 교육, 교통, 문화재, 경제적 타당성, 고용, 토지이용을 현재의 사회경제평가항목에 추가시켜 사회영향평가를 보다 강화시키고; 셋째, 한국의 환경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상황을 반영하여(사회영향평가의 원리와 지침(가칭))을 마련하도록 한다.

동아리 활동을 통한 감성마을 사례 연구

  • Jeong, Bong-Seon;Song, In-Bang;Kim, Yeon-J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23-2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한 사례로 경상남도 화동군 화개면 대성리 의신마을의 노인주민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유산 개발과 자발적(생산적) 문화주체발굴 및 양성을 하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2017년부터 2019년의 3년차 사업으로 지역의 마을회(영농회, 부녀회, 청년회, 노인회)와 체험시설 관리운영, 체험행사 관리, 가공시설장 활용, 체험 프로그램 기획/운영, 마을기반조성사업 및 관광체험을 주요활동으로 하는 영농조합법인의 유기적 협력을 통하여 주변의 특산물, 자연환경, 산업환경 및 지리산을 중심으로 구성된 지역역사 문화환경이 연계되어 진행되는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이다. 특히 농악/낙차 동아리, 사진동아리, 그림동아리, 압화동와리와 같은 동아리 활동을 통하여 산골의 지역적인 약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을 향유하려는 시대적인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실질적인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동체 발전을 지속하고자 함이 취지이다.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감성지능의 변화에 의한 지역공동체의식과 6차산업 기업가 정신 및 노인들의 사회참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The Influences of Disability of the New Disabled on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Exclusion

  • Im, Keum-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1
    • /
    • pp.223-22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ome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impacts of disability occurrence on economic, social cultural exclusion and testing empirically moderation effects of social environment in their relationships. For this study, 112 disabled persons were sampled and surveyed on economic, social cultural exclusion by disability. Analytical results are the followings. First, new disability caused economic exclusion. Second, it also caused social, cultural exclusion. Third, social support has a strong moderation effects between disability and economic, social cultural exclusion. Social support played the important role for reducing the negative impacts of disability occurrence on social exclusion. This study provided some policy implications about raising social support for the disabled basing on this analytical results. First, programs for improving cognition for the disabled nee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rom the early childhood. Second, social campaign for the disabled are promoted positively by non-governmental sector. Third, public policy for the disabled should be strengthened from material support to even emotional support.

Evaluation of thermal environment in large scale indoor space of the nation museum of korea (국립중앙박물관의 대공간 열환경 분석)

  • 황원택;조춘식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8 no.1
    • /
    • pp.16-24
    • /
    • 1999
  • 박물관은 인류가 이룩한 물질문명과 정신문화의 집적을 특정한 주제를 중심으로 표현하는 문화공간으로서 한 나라의 문화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장소이며, 역사적으로 가치 있는 조형예술을 보존하고 계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현대사회에 들어오면서 박물관은 사회적 변화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와 함께 관람자의 시각적 및 행태적 기능과 사회 문화적이고 사회 교육적인 기능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대하여 자료를 가장 최적의 상태로 보관, 전시하여 보존에 가장 유리한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이를 관람하는 사람들이 유물의 특성을 쾌적한 상태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 PDF

현대패션에 나타난 남성스커트에 관한 연구 -남성스커트의 역사를 중심으로-

  • 이영민;이연희;이윤미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133-136
    • /
    • 2004
  • 과거 산업화 이후 남성중심의 사회에서는 남성들에게 남성다움과 강인한 가부장적 모습을 요구하였으며 이는 의복을 통해 보수적이고 엄격한 태도와 함께 강건한 외형의 스타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업화 정보화와 함께 여러 가지 사회 문화적 환경 요인은 이러한 사회구조와 남성 패션에도 커다란 변화를 주었으며, 과거 고대부터 산업화 전까지도 그들이 입었던 스커트에 대한 착용을 열망하는 남성들이 등장하고 있다. (중략)

  • PDF

자기효능감, 창업기회인식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 특성의 조절효과

  • ;;Marc H. Meyer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93-99
    • /
    • 2023
  • 경기 침체와 더불어 고용 불안, 그에 따른 사회의 혼란 속에서 국가의 성장 동력의 대안 중 하나로 창업 활성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창업 활성화를 중장기 목표로 설정하고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특히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 등의 개인적 역량 요소가 창업의도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들이 지속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는 자기효능감, 창업기회인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학계의 연구활동 뿐 아니라 정부의 정책적 접근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창업교육 활성화부터 사회적 환경 조성을 위한 창업 롤모델 활용, 미디어를 통한 창업 활동 홍보 등 긍정적인 창업 경험을 공유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 역시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개인적 역량 요소와 사회적 환경 조성 외에 문화적 특성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적 특성이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개인적 역량 요소와 사회적 환경 조성과 함께 의미가 있을 것이라는 물음에서 시작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SPSS 26버전을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하였고 GEM KOREA의 2017년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자기효능감과 창업기회인식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의 특징은 문화적 특성을 집단주의와 관계주의로 구분하여 자기효능감, 창업기회인식과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이다. 문화적 특성 중 집단주의 특성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관계주의 특성이 유의하여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결과를 얻어냈다. 이는 국가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창업의도가 없거나 낮은 개인들도 관계주의 특성을 활용하여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론으로 이어진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 달리 한국은 집단주의 보다 관계주의가 강하기 때문에 관계주의 문화 특성을 고려하여 선배 창업가 또는 로컬 창업가들과의 관계를 만들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미 설계된 GEM 데이터를 활용하였다는 점, 문화적 특성이 각기 다른 국가들과의 비교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등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 PDF

An Analysis of Consumers' Socio-Cultural Experiences Expressed in Consumption Stories : An Experimental Application of a Narrative Analysis (소비생활 이야기에 반영된 소비자의 사회문화적 경험 분석: Narrative 분석의 실험적 적용)

  • Kim, Kee-Ok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7 no.5
    • /
    • pp.61-8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cosumers' lives in Korea with a narrative analysis method. The epistemological orientation of eh narrative analysis is Interpretivism, which blends the two polar philosophical perspectives, Empiricism and Rationalism, and includes Narrotology, Hermeneneutics, Semiotics, and Structural Criticism. Narrative analysis takes as its object of investigation the story itself. This study collects eleven narrative plots from four housewives, into which Labov's structural approach is applied. This study shows clearly that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consumers live has strong influence on their consumption behavior and also reveals that narrativization tells not only about past actions but how individuals understand those actions, that is, meaning.

  • PDF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Closing Disparities of Cultural Capital (문화자본 격차 해소를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 Lee, Seungmi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3 no.1
    • /
    • pp.81-101
    • /
    • 2022
  •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cultural capital is constructed through cultural environments that facilitate the cultural activities of individuals. Although public libraries foster the cultural environment and support various cultural activities, there is controversy about whether public libraries still affect the formation of cultural capital in the current evolved cultural environment. This research empirically verified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the formation of cultural capital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public library users. As a result, public libraries as cultural institu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opportunities to access and utilize cultural resources and to experience various cultural activities, which are connected to the formation of different types of cultural capital. In addition, public libraries function to close the cultural divide and social disparities by providing equal opportunities to construct cultural capital for community memb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