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관계망사회

검색결과 542건 처리시간 0.03초

블루투스 접촉 데이터를 이용한 사회관계구조 검출 알고리즘 (Detection Algorithm of Social Community Structure based on Bluetooth Contact Data)

  • 웬꽁빈;윤석훈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75-8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사회관계구조에 초점을 맞춘 사회관계망 분석을 고려한다. 사회관계망은 많은 사회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회관계 구조 특성으로 인하여 같은 사회집단 내의 노드들은 서로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회집단에 속한 노드와는 상대적으로 약한 유대를 가지게 된다. 사회관계망에서의 사회관계구조 검출은 사람들의 행동 및 상호작용의 분석과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관계구조와 사회집단을 검출하기 위하여 사람들이 소지하는 스마트기기의 실제 블루투스 접촉 데이터를 이용한다. 네트워크 노드 간 유대를 추정하기 위한 다양한 유사도 측정 방식과 클러스터링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관계구조 검출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안을 검증하기 위하여 교유관계 특성을 이용하는 성능측정방안을 이용한다.

스마트폰 이용이 은퇴 노인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Structured Social Network Types among Retired Older Adults in South Korea)

  • 엄사랑;최은영;조성은;최인정;김영선
    • 한국노년학
    • /
    • 제38권3호
    • /
    • pp.481-499
    • /
    • 2018
  • 본 연구는 은퇴 이후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구조적 사회관계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자료 중 은퇴한 노인 4,180명을 대상으로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한 결과, 최종 분석에는 총 982명(스마트폰 이용자 491명, 피처폰 이용자 491명)이 선정되었다. 이후 t-test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이용과 구조적 사회관계망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은 일반 피처폰을 이용하는 은퇴 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 피처폰을 이용하는 것보다 높은 빈도의 사회접촉과 높은 수준의 사회활동을 보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이 구조적 사회적관계망에 주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가지며, 은퇴한 노인들의 구조적 사회관계망을 증진시키고 적극적 사회참여를 장려하는 실천적 개입에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노인의 결혼지위 점유에 따른 건강차이: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Marital Status of Elderly: Does it Really Matter for Health?)

  • 차승은
    • 한국노년학
    • /
    • 제27권2호
    • /
    • pp.371-392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인구에 대한 전국규모의 자료를 활용하여 노년기 결혼지위 점유와 건강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사별노인과 유배우 노인의 신체 및 정신 건강, 사회관계망의 내용을 비교하였고, 둘째, 유배우노인과 사별노인 간의 건강격차가 사회관계망 특성에 의해 설명되는지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관계망이 건강에 미치는 효과가 유배우/사별노인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04년도 노인실태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결혼지위 점유에 따른 신체 및 정신건강 수준은 노인의 연령과 건강차원에 따라 그 양상이 상이하였다. 지각된 건강, 주요 만성질환 수에서는 노인의 결혼지위 점유에 따른 건강 격차가 크지 않았고, 관찰되는 차이는 성, 연령, 계층 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고려되자 감소하였다. 그런데 행복감 차원에서는 성과 연령을 비롯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고려된 이후에도 유배우자는 사별자보다 행복감을 높게 지각하였다. 친한 친구/이웃 접촉, 친한 자녀접촉, 사회활동으로 요약되는 사회관계망의 특성이 신체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사별노인과 유배우 노인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사회관계망의 필요성이나 기능이 노인의 결혼지위에 따라 다름을 의미한다.

미혼모의 사회적 관계망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on Unmarried Mother's Self-Esteem)

  • 안재진;김지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3호
    • /
    • pp.61-8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의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특성이 미혼모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기존 연구에서 배제되어 있던 사회적 관계망의 부정적 측면인 사회적 갈등에 주목함으로써, 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미혼모 시설 8곳 중 6곳에 거주하고 있는 미혼모들 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혼모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갈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게 나타났다. 특히 미혼모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갈등은 사회적 지지보다 낮은 수준이기는 하지만,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사회적 지지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망의 부정적 기능에 대한 인식은 시설내 미혼모에게 개입하는데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준다. 즉, 지금까지 관심을 가져왔던 사회적 지지체계에 대한 개입 외에, 갈등의 원천이 될 수 있는 관계망과의 관계를 제거하고 새로운 대안을 찾거나 개선하는 방향으로 개입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역사회 거주 일반노인의 사회적지지, 사회적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 on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a Local Community)

  • 김형민;심경보;김환;김석범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0
    • /
    • 201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일반노인들의 사회적지지, 사회적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경상북도 경주시에 소재한 장애인복지관, 보건소, 노인복지관 13곳의 건강한 남 여 노인 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 인지능력, 사회적지지, 사회적관계망, 삶의 질이 포함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대상자 선정 기준에서 제외된 12명을 제외한 6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 한 결과 접촉빈도(p<.05)와 친밀도(p<.001) 그리고 사회적지지(p<.001)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지역사회거주 일반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친밀도(p<.001)로 분석되었다. 결론 : 지역사회 거주하는 일반노인들의 친밀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파악되었다. 수동적인 삶을 살아가는 노인이게 있어 사회관계망의 질적 특성인 친밀도의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사회망 자동 구축을 위한 사회 관계 포함 문장 추출 (Extraction of Sentences with Social Relations for Automatic Construction of a Social Network)

  • 최맹식;김학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C)
    • /
    • pp.217-22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의 말뭉치로부터 사회망을 자동 구축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두 인명 사이의 사회관계를 포함하는 문장을 자동 선별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먼저 2개의 인명을 포함하는 문장을 대상으로 형태소 분석과 의존 구조 분석을 수행한다. 그리고 두 인명의 공통 지배소를 기준으로 의존 트라이그램을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의존 트라이그램의 속성값 비교에 기반한 SVM 커널 함수를 이용하여 사회 관계 포함 여부를 결정한다. 실험 결과, 제안 방법이 영어권 연구에서 좋은 성능을 보인 최소 경로 의존 커널의 단점을 효과적으로 보완하였다. 또한, 사회망 자동 구축을 위한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울과 온라인 사회관계망의 관계에서 오프라인 사회관계망의 매개 역할 (Mediating Role of Social Network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Online Social Networking)

  • 김인혜;박혜연;남상훈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3호
    • /
    • pp.9-21
    • /
    • 2024
  • 목적 : 이 연구는 중년 및 노년층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우울증의 영향을 조사하여 사회적 연결성과 정신적 웰빙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환자 건강 설문지(Patient Health Questionnaire-9)와 루벤의 사회 네트워크 척도(Lubben Social Network Scale-6)를 사용하여 429명의 중년 성인의 우울증과 사회적 관계를 평가하였다. 경로 분석과 소벨 검정을 사용하여 오프라인 관계가 온라인 상호작용에 미치는 매개 효과를 탐구하였다. 결과 : 교육 수준이 높은 평균 63세의 남성 코호트에서 우울증과 사회적 관계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오프라인 상호작용은 우울증이 온라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32%를 매개하였다. 결론 : 이 연구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네트워크에서의 적극적인 참여가 노인의 정신 건강을 개선하고 우울증이 사회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리하며 고립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역할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의존도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효과: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Dependence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on a Healthy Lifesty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 안현서;김인혜;윤소현;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3호
    • /
    • pp.23-36
    • /
    • 2024
  •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의존도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 37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데이터, SNS 의존도, 사회적 관계망,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평가하였다.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한 매개분석을 통해 SNS 의존도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1.8세(standard deviation = 2.1)였으며, 70.3%가 여성이었다. 매개분석 결과, SNS 의존도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직접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β = -.078, standard error [SE] = .052, p = .128). 그러나, 사회적 관계망을 통한 간접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β = -.052, SE = .020, p = .011). SNS 의존도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미치는 총 효과는 유의미했다(β = -.130, SE = .053, p = .014). 결론 : 대학생의 사회적 관계망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강 전문가들은 SNS 의존을 해결하고 사회적 관계망을 활용하여 더 건강한 행동을 장려하는 개입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고령은퇴자의 사회적 관계망과 은퇴만족도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s and Retirement Satisfaction of Old Retirees)

  • 정순둘;문진영;김성원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145-116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은퇴자의 다양한 측면의 사회적 관계망이 은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고령은퇴자의 은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에 사용한 데이터는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전국 데이터인 한국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이하 KLoSA) 2006년도 제1차 기본조사 데이터이다. 조사 참여자 중 65세 이상의 노인 가운데 대도시 및 중소도시에 거주하고, 은퇴만족도 질문에 응답한 1,0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을 실시하여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과 기타 변수들이 은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적 관계망 중 자녀와의 접촉빈도와 사회활동 참여 개수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만족도가 은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타 변수에서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 은퇴 형태, 은퇴 경과 기간이 은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앞으로 고령은퇴자를 위한 예방적 차원의 은퇴 준비 프로그램 제공과 고령은퇴자의 가족 자원 활용 및 사회활동 참여 기회의 장을 확대하는 등 제도적 기반 마련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고 하겠다.

노년기의 인지 저하가 활동참여와 사회적 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gnitive Decline of Elderly on Activity Participation and Social Network)

  • 최유임;우희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4
    • /
    • 2019
  • 목적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인지수준이 여가나 일상생활활동 뿐만 아니라 활동에 대한 참여와 사회적 관계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중인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MMSE-K의 점수가 15점 이상 23점 이하인 경도인지장애노인들을 대상으로 선별하였다. 대상자들의 영역별 인지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MoCA-K를, 활동참여 수준 및 사회관계망 지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K-ACS와 LSNS-18을 각각 적용하였다. 결과 : 인지와 활동 참여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지의 다양한 하위 능력(시공간능력, 어휘능력, 주의력, 추상력, 지남력)이 수단적 일상생활, 여가활동, 사회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인지의 모든 하위 능력이 사회적 관계망의 하위 요소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인지의 전반적 요소들이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다양한 영역의 활동참여 및 사회적 관계망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들을 통하여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활동 참여와 사회적 참여를 높이는 방안들이 마련되기를 제언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