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천(司天)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5초

예술.문화 - 강릉 서지마을 질밥과 씨종지떡

  • 김순경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제1권2호
    • /
    • pp.123-125
    • /
    • 2008
  • 1천년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는 강릉(江陵)은 태백준령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하천이 수놓은 기름진 들녘과 수자원이 풍성한 동해바다를 거느리고 있어 음식문화 또한 다채롭다. 날로 먹어도 꺼릴 것이 없는 청정한 해산물과 반가에 전래해오는 전통한식, 사천 한과를 비롯한 서지마을 질밥과 씨종지떡 등 고유한 민속음식들이 유구한 경지를 자랑한다.

  • PDF

삼성항공 사천공장 2000년 문제해결 사례

  • 강두원
    • 정보화사회
    • /
    • 통권118호
    • /
    • pp.29-31
    • /
    • 1997
  • 2000년 연도표기 문제를 해결하면서 느낀점은 병행처리 기간의 기존 시스템의 PSI리포트에 오류가 발생하게 될 수도 있으므로 당장 시작해도 빠르지 않다는 것이다. 그리고 예상보다 인력, 시간, 컴퓨터 자원등의 많은 자원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단순하고 쉽다는 인식은 금물이며, 기본에 충실한 기존의 인프라를 활용하여야 하고, 점검한뒤에도 또 재점검을 하여야 한다.

  • PDF

사천지역 레스토랑의 중국 및 지역 전통문화 표현 특성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Chinese and Local Traditional Culture at Sichuan Restaurants)

  • 이명로;오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56-16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Chinese and Sichuan traditional culture at the modernized restaurants which sells Sichuan food focusing on the Chengdu area.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12 selected Sichuan restaurants were visited from January 26th to February 1st, 2013 for the investigation research. The expression methods of traditional culture were divided into traditional reproduction, traditional transformation and traditional reinterpretation.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external space components, facade has brought the Chinese and Sichuan local tradition as original or applied negative transformation like the replacement of the materials even though it is modernized. Secondly, in terms of the components of the internal space, as for the ceiling, the Chinese traditional culture transformed or reinterpreted the traditional ceiling structure, with which the culture was expressed indirectly. Thirdly, in terms of the decoration elements in the interior space, as for the furniture, various methods like the reproduction, transformation and reinterpretation of the Chinese traditional furniture were employed but there was none furniture which included the Sichuan local traditional culture. In a short, both of Chinese and Sichuan local traditional cultures were used as they were or transformed diversely or expressed colorfully.

간의대 복원을 위한 외형 연구 및 복원 모델 제시

  • 이민수;전준혁;김상혁;이용삼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93.1-93.1
    • /
    • 2012
  • 세종대 간의대(簡儀臺)는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대규모로 수행된 천문 관련 국책사업의 일환으로 축조된 조선시대의 국립천문대이다. 지금까지 세종대 간의대에 대한 선행 연구는 주로 궁내 위치 및 변화, 개보수 상황 및 중수 여부, 규모와 관련한 주척(周尺) 또는 영조척(營造尺)에 대한 논의 등에 천착하고 있으나 간의대의 외형, 구조, 기능, 역할 등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이 중 간의대의 외형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원대(元代) 북경 사천대(北京 司天臺, 1279년 전후 축조) 또는 명대(明代) 북경 관성대(北京 觀星臺, 1442년 축조, 現 古觀象臺) 등을 간의대의 원형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간의대 복원을 위하여 외형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1997년 소더비(Sotheby) 경매 출품본 "경복궁도(景福宮圖)"를 비롯한 각종 경복궁 궁궐도(宮闕圖)를 분석하였다. 또한 구조와 축조 방식의 규명을 위하여 제단(祭壇) 등의 각종 석축물(石築物)을 분석하였으며, 이와 함께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각종 사료(史料)에 대한 조사를 병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원대 북경 사천대 또는 명대 북경 관성대와는 다른 세종대 간의대의 독자적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조선 간의대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

  • 김상혁;이용삼;양홍진;민병희;안영숙
    • 천문학회보
    • /
    • 제36권1호
    • /
    • pp.24.2-24.2
    • /
    • 2011
  • 13C이후 동아시아에서는 대규모의 천문관측시설들이 건설되었다. 중국 원대(元代) 북경(北京)에는 사천대(司天臺, 1276)라는 천문대가 축조되었다. 이 천문대 위에는 간의, 앙의, 규표를 비롯한 다양한 천문의기가 사용되었다. 명대(明代)에는 사천대의 자리에 관성대(觀星臺, 1442)가 만들어진다. 이후 관성대는 청대(淸代)에 관상대(觀象臺, 현재 古觀象臺로 불림)로 이름이 변화되었다. 관상대 위에는 청대에 제작한 8종의 천문의기가 남아 있다. 원대 등봉(登封)에도 대규모 천문대인 관성대(觀星臺)가 축조되었다. 현재 등봉에는 관성대와 40척 규표(圭表)가 남아있다. 조선에서는 1433년 간의대(簡儀臺)가 건설되었다. 간위대 위에는 간의(簡儀)와 정방안(正方案)을 설치하였다. 간의대 주변에는 보루각(報漏閣, 자격루 운영)과 흠경각(欽敬閣, 옥루 운영)이 위치해 있고, 다양한 천문관측기기가 설치되었다.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간의대 주변의 천문시설들은 대부분 파괴되었다. 이후 일부 관측기기가 새롭게 복원되었지만 조선 초기의 운영 형태는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런데, 간의대는 조선 후기까지 천문관측대로서의 위상을 유지하였다. 간의대 위에 놓여진 관측기기에 대한 뚜렷한 언급은 없었지만 천상의 이치를 논하거나 세종의 공덕을 기리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우리는 간의대 문헌자료를 분석하고, 중국에 남아있는 천문대 유적을 조사하여 간의대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신라 사천왕사 금당 기단의 변화 양상과 조영 특징 (A Study on the Changing Aspect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Geumdang Hall Stylobate of the Sacheonwangsa Temple in Silla)

  • 이상명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2호
    • /
    • pp.55-70
    • /
    • 2021
  •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established in 670 under the leadership of Myeongnyang in response to the invasion of the Tang Dynasty. At this time, Geumdang hall stylobate was constructed, which was about 30% smaller than the reconstruction. Due to the wartime situation, the construction of wooden buildings did not seem to have been achieved.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reconstructed in 679 as a symbol of the Hoguk(護國) temple. The size of the Geumdang Hall stylobate was planned as an important module for the entire temple. The stylobate fasad was designed at intervals of Tangju(撑柱), just like the JuKhan(柱間) plan of wooden architectur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ight Devas may have been decorated in Front fasad. When the Sacheonwangsa Temple was rebuilt, the Geumdang Hall was added by the ChayangKhan(遮陽間) and an Ikrang(翼廊) was installed next to it. These changes affect the material and form of the stylobate. It was changed to a durable stone post-lintel style stylobate and the intervals of Tangju(撑柱) in Front fasad was also adjusted. As the highest-quality stylobate in East Asia at the time, the Geumdang Hall stylobate is considered to have taken Silla's architectural skills to the next level.

대순진리회 교리에서의 '여덕'사상과 현대적 가치 (The Meaning and Modern Value of Daesoon Jinrihoe's Doctrinal and Philosophical Notion of 'Feminine Virtue')

  • 잔스촹;위꿔칭
    • 대순사상논총
    • /
    • 제31집
    • /
    • pp.1-45
    • /
    • 2018
  • 대순진리회는 한국의 영향력 있는 종교단체 중의 하나로서, 그 교리 속에는 관념이 풍부하고 가치가 큰 '여덕'사상을 포함하고 있다. 이 글은 먼저 '여덕'의 함의를 정리한 뒤에 이것을 기초로 하여, 보편적인 '여덕'과 특수적인 '여덕' 두 가지 측면으로 대순진리회 교리 속의 '여덕'사상을 해석하였다. 그리고 그 배경에 담겨있는 이론의 취지와 뚜렷한 특색을 분석하였고, 이는 오늘날 아주 큰 본보기가 될 만한 가치가 있으며, 연구하고 보급할 만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GIS를 이용한 동해안 하천유역의 토양유실량과 오염부하량 평가 -사천천을 중심으로- (Soil Loss and Pollutant Load Estimation in Sacheon River Watershed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조재현;연제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1331-1343
    • /
    • 2000
  • GIS와 USLE를 접목해서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여 동해안의 소규모 하천인 강릉 사천천에 적용하였다. GIS를 이용해서 유역의 수계도를 작성하고, 유로추적, 유역면적의 결정 등의 공간분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토양도와 토지이용도를 이용해서 유역내 토양과 토지이용정보를 일정한 크기의 그리드별로 입력하였고, 공간분석 결과도 그리드별로 저장하였다. 이들 정보에 기초하여 USLE의 각종 인자에 대한 주제도를 생성하였고, 각각의 주제도를 중첩하여 토양유실량을 산출하였다. 이와 같이 GIS를 활용함으로서 지역별로 토지이용 형태별로 토양유실량의 정도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사천천 유역 전체의 평균 토양유실량은 약 1.36ton/ha/yr로 나타났으며, 임야지에서는 0.15ton/ha/yr, 밭에서는 27.04ton/ha/yr, 논에서는 0.78ton/ha/yr로 산출되었다. 밭은 전체유역면적의 약 4.4%인 $2.4km^2$를 차지하는데 밭에서의 총토양유실량은 약 6561ton/yr로 전체 유실량의 84.9%를 차지하고 있어서 면적에 비해 토양유실량이 많다. 산림지역의 토양침식량은 적은 편에 속하나, 밭에서는 경작지에 대한 토양유실 허용치 11.2ton/ha/yr와 비교하면 밭에서의 토양침식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사천천 하류부에서 98년 7월 24일~28일, 98년 9월 29일~10월 1일 2회의 집중호우시에 유출량과 수질을 실측 조사한 결과, 유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SS, TN, TP의 오염물질 농도가 높아지고, 유출오염부하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토양유실이 많은 홍수기에 인과 질소의 영양물질의 유출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천천 유역에서 년간 발생되는 오염부하량 중에서 SS는 21%, TN은 39%, TP는 약 19%가 본 연구에서 조사한 2회의 강우동안에 유출되었다. 따라서 우리 나라의 하천에서는 여름의 홍수기에 단기간에 많은 양의 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