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주 확장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Vegetation Expansion Process by Soil Survey in the Sand Bar of Movable Channel (이동상 하도의 모래사주에서 토양조사를 통한 식생역 발달과정의 평가)

  • Lee, Sam-Hee;Ock, G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58-1062
    • /
    • 2007
  • 본 연구에서 이동상 모래하천에서 식생의 변화과정을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 하천은 낙동강 상류 하회지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모래하천으로서 지형적인 요인으로 형성된 사행하천의 만곡부에 해당하고 있다. 특히 상류에 댐과 취수보 등 수자원개발시설이 건설되면서 수십 년 동안 물과 유사의 공급이 조절되어 안동시권역에서부터 하류방향으로 향하면서 점차 바뀌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가운데, 이동성을 지니고 있던 사주부에 식생이 유입되고, 식생역이 확장되면서 사주가 고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동상 하도에서 이동사주내 식생역의 발달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주내 토양의 물리화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안동 하회지구내 모래사주에서 식생이 정착 발달 확장 되어가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회지구의 식생역의 발달은 시기적으로 홍수기와 비홍수기의 반복적인 출현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리고 공간적으로는 홍수기 동안의 유사의 퇴적과 세굴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생역의 확장과정은 이러한 시공간적 상황으로 인해 유발되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높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Vegetation Recruitment and Restoration of a Gravel Bar in Tama River (다마천(多摩川)자갈사주의 식생이입 및 복원 과정)

  • 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6-19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일본 다마천 자갈사주의 식생 이입 과정을 조사하고, 과도한 식생 이입에 영향을 미치는 하상토의 특성과 수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자갈사주의 복원을 위한 방안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다마천 자갈사주는 넓게 분포하였던 자갈하천(white river)에 버드나무 등의 식생이 과다하게 성장하여(green river), 이를 억제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하였다. 또한 이곳에 서식하는 고유종(야생 국화)를 복원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다마천 자갈사주 식생번무의 원인으로, 자갈과 모래 채취, 하천 개수, 상류의 댐과 보의 축조를 들 수 있으며, 자갈사주를 복원하기 위한 종합적인 연구계획이 수립되어 사업이 시행되었다. 복원 대책으로 홍수터를 파고 모래톱 복원, 상류로부터 자갈과 모래 공급, 저수로 확장, 과다 성장한 버드나무나 아카시아 벌목, 표토 제거를 계획하였으며 이를 시행하였다. 모래톱은 성긴 조약돌로 포설하였으며, 다양한 높이로 조성하여 침수 빈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켰다. 가장 높은 모래톱은 5년 빈도로 하였다. 자갈사주의 복원 및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그룹도 발족하여 현재 자갈사주의 복원 모니터링이 진행 중이며,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복원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Expansion Process of Vegetation on Sand-bars in Fluvial Meandering Stream (충적하천 사행하도에 발달한 사주에서의 식생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Lee, Sam-Hee;Ock, Gi-Young;Choi, Jung-Kw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6
    • /
    • pp.658-665
    • /
    • 2008
  •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fluvial river channel with sand bed-material is the existence of movable sand bars not occupied with vegetation. However, sand bars at the Hahoe's reach of the Nakdong River showing a double-meandering channel has been changed into expanding vegetation area. Moreover, sand material, in recent years, has stopped moving to downstream in channel and the number and area of bare bars which did not occupied by vegetation have been decreased. In order to find out the mechanism, we carried out the channel characteristics surveys such as hydro-geomorphologic, soil physio-chemical and vegetation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on autumn season in 2005,2006. The results so far achieved showed that the reduced discharge of transported sediment and duration of dry season might be critical factors for the spread of luxuriant vegetation. The vegetation area was significantly expanded by floods exceeding the subsequent dominant flow discharge. Furthermore, the expansion of vegetation area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supply of organic matter, nutrients and alteration of soil texture by sediment deposition during the flooding event.

Topographical change of sandbar and vegetation settlement in Jang-Hang wetlands for Han River Estuary Wetlands Restoration (한강 하구 습지복원을 위한 장항습지의 사주 지형변화 및 식생정착)

  • Ahn, Hong-Kyu;Kim, Si-Nae;Chung, Sang-Joon;Lee, Dong-Jun;Lee, Sam-He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2
    • /
    • pp.277-288
    • /
    • 2012
  • Estuary is unique habitat ground under substantial changes of water quality, river side, bed material, and micro topography. Construction of SinGok underwater weir with excessive dredging for downstream of weir has changed hydraulic conditions of Han River. This study investigates spatial changes of estuary and expansion process of vegetation on sandbar for JangHang estuary in Han River through analysis of phys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we found that area of sandbar in JangHang estuary is expanded six times compared between 1985 and 2006, and area of Phragmites australis is gradually decreased while area of Salix subfragilis Anderson. is increased. Also the analysis result of soil layer shows that the Jang-Hang wetlands are created by effect from river, and woody plants are settled from middle part of wetlands, then spread to upper and lower part of wetla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High Water Channel in the Lower Han River (한강 하류 고수부지 형성 이력에 관한 분석 및 평가)

  • Lee, Sam-Hee;Hwang, Seung-Yong;Ryu,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16-1621
    • /
    • 2006
  • 하천 지형은 흐름과 유사거동에 의한 세굴 또는 퇴적에 의하여 끊임없이 변한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하천지형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고 있는 한강 신곡수중보 직하류 우안의 고수부지 형성 이력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1981년 이전까지 하중도(제주초도)가 안정된 형태로 존재하였으나, 1980년대 중반을 거치면서 하중도는 소멸되었고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우안에 비슷한 규모의 고수부지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고수부지의 형성과정을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단계(흐름 변화에 따른 이동사주의 정지): 1995년 이전까지는 하천 내 자연적/인위적 교란에도 불구하고 이열사주 형태의 이동상이 유지되다가 1995년 이후 1988년 준공된 신곡수중보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로 인한 하중도의 소멸이 가중되면서부터 신곡수중보 직하류 우안의 이동사주가 정지하기에 이른다. 2) 성장단계(조석에 따른 부유사 반복 퇴적): 이동상 사주가 정지된 뒤 매일 2회씩 반복되는 조석의 영향을 받은 고농도의 부유사가 정지된 사주 위에 반복되어 퇴적되는 양상이 일어난다. 3) 정착단계(정지사주의 고수부지화): 정지사주에서 부유사가 퇴적하고 갈대와 같은 초본류 식생이 활착하게 되면서 부유사 퇴적은 가중되어 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1999년과 같은 대홍수 때 부유사의 고수부지 내 퇴적이 결정적이었을 것이다. 4) 확장단계(고수부지 확장단계): 대홍수 때 고수부지의 퇴적과 아울러 산재하던 버드나무가 교란을 받아 고수부지에서 새로운 버드나무 군락의 터전을 이루어 밀생하게 된다. 향후 고수부지가 잠기는 규모의 홍수가 빈발할 경우 퇴적층의 유실보다는 부유사 퇴적이 많아져 고수부지는 확장단계에 접어들게 된다.70{\sim}90$ 시간 동안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굴의 측정은 투명한 아크릴로 제작된 수제 내부에 CC카메라를 수제 전 후면 및 측면에 설치하여 월류수제의 세굴 발생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동시에 수제의 각 면에 각각 3개의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압력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월류수제 주변의 압력변화에 따른 세굴심의 실시간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 PDF

Field Survey of River Environment at River Basin of Cheongmi-Cheon (청미천 유역의 하천환경 조사 - 2008년 하천 물리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

  • 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65-197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하천 물리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청미천 유역의 본류에 대한 하천 수변환경을 평가하였다. 평가 지침은 수생태 건강성 평가에서 제시된 지침을 따랐다. 평가 결과, 죽산천과 청미천 합류부 지점은 2등급으로 생태서식 여건이 좋은 편으로 나타났다. 모래로 된 교호사주가 좌우안 넓은 지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하중도 및 식생 사주도가 형성되어 식생활착이 왕성하며, 주로 달뿌리풀 위주의 군락이 형성되어 있었다. 특히 합류점 상류 본천은 자연하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었으며, 양안에는 식생과 수목이 왕성하게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화봉천과 청미천 합류부 지점에서의 수변환경 모니터링 조사 결과, 하도는 정비되어 있으나 저수로는 사행을 유지하고 있으며, 제외지의 토지이용 상태와 하천 복개율 및 횡방향 인공구조물 상태는 비교적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도 내 저수로는 호안공이 설치되지 않고 흐름의 다양성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다. 이 지점은 하천환경이 비교적 잘 보전되어 있어, 지속적인 보전을 위한 유지관리가 요구된다. 특히 죽산천에 축산 농가 및 시가지의 확장으로 오염원이 증가되고 이들이 하천으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생태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비점오염원 유입 차단 및 수질개선 대책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Vegetation Development Mechanism and Flood Drainage Capability Reduction Characteristic at Downstream of Dams (댐하류 하도의 식생 메카니즘과 홍수소통능력 저감특성)

  • Yeo, Woon Ki;Lim, Ki Seok;Lee, Seung Yun;Jee, Hong 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922-926
    • /
    • 2004
  • 1970년대부터 시작된 산업화와 도시화는 국토 전반에 걸쳐서 개발을 촉진시켰으며, 그 결과로 나타나기 시작한 홍수재해와 용수부족은 보다 많은 저수시설을 요구하게 되었다. 즉, 홍수유출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유역의 저류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댐 건설은 이수적인 측면에서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보장해주는 수단으로 겸용되어 왔으며, 특히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하도의 첨두홍수유출량을 줄이는데 크게 기여해 왔다. 댐에 의해 홍수가 사실상 사라진 댐 하류에서는 유사이송이 줄어들면서 주수로는 좁아지며, 낮아진다. 홍수가 없어진 주변 홍수터에는 식생이 활착하여 그 폭이 점차 커지고 하상은 높아진다. 과거 댐 건설 전까지 불안정했던 작은 독려 사주에도 홍수가 없어지면서 식생이 뿌리를 내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식생에 의한 난류변화와 와류의 형성으로 주변에 유사의 퇴적이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식생이 활착할 수 있는 면적이 확장되면서 사주는 점차 넓어진다. 특히, 홍수터나 사주의 외딴 관목 식생에 의한 주변 하상의 세굴, 미립토사의 퇴적, 하상재료의 분급효과는 생태 서식 측면에서 귀중한 휴식처나 피난처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도의 상류에 댐이 건설되고 난 후에 댐하류의 하도에서 발생하고 있는 식생 메카니즘과 이로 인한 조도증가와 유속저하 및 홍수소통능력의 저감현상을 규명하였다.

  • PDF

파ㆍ흐름 공존장 수치모델의 적용성

  • 이창호;김헌태;류청로;이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6-167
    • /
    • 2003
  • 파랑ㆍ흐름의 공존장에서 그 간섭작용은 Tidal inlet 와 하구부근와 같은 천해영역에서 중요한 물리적 현상이다. 이러한 파ㆍ흐름간섭현상은 파랑의 파고, 스펙트럼과 파향등을 현저하게 변화시키고, 하구와 inlet부근에 출현하는 사주(砂洲)등의 발생기구 및 해빈 안정화에 관계하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해석이 필요하다. 본 보고에서는 확장형 부시네스크방정식을 토대로 한 수치모델을 통하여 파ㆍ흐름 공존장에서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중략)

  • PDF

Effects of Reduced Sediment Dynamics on Fluvial Channel Geomorphology in the Jiseok River (유사계의 역동성 감소가 지석천 충적하도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

  • Ock, Gi-Young;Lee, Sam-He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5
    • /
    • pp.445-454
    • /
    • 2012
  •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ong-term channel morphological changes derived from channelization, embankment and levee construction works in unregulated fluvial channel of the Jiseock River. Analyses of aerial photographs taken past (Year 1966) and recent (Year 2002) showed the temporally remarkable changes in channel planform such as channel shape, bar migration, vegetation encroachment in bar. During the period, the natural single threading changed into braided types together with decreasing sinuosity by 9.2%, increasing vegetation occupied bar ranged 97% of total bars area. Because such channel morphological changes are closely similar to those in dam downstream channels, we assume that both/either flow regime alteration and/or sediment transport discontinuity may be critical for the fixed channel and spread of vegetated bars even in unregulated river without dam reservoir upstream. We found more reduced frequency and magnitude of flooding water level comparing with past, but no significant alteration of inter annual water level variation. Bed material has been coarsened by 4~5 times and the riverbed has been degraded in overall channel but aggraded locally in conjunction reach of tributaries. The results indicates that reduced sediment dynamics in fluvial channel which derived by bed material coarsening, river bed degradation and unbalanced sediment transport capacity between tributary and mainstem can be a causal factor to trigger channel morphological changes even in unregulated rivers.

Short-term Change in Channel Morphology of the Naeseong Stream before the Operation of Yeongju Dam, Korea (영주댐 운영 전 내성천에서 하도 형태의 단기 변화)

  • Lee, Chanjoo;Kim, Donggu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4 no.1
    • /
    • pp.12-23
    • /
    • 2017
  • The Naeseong Stream is a meandering sand-bed stream flowing through mountains and has so long maintained its geomorphological uniqueness characterized by extensive braided bare bars. Recently, its long-lasting landscape has been changed due to encroachment of vegetation. In this study being a part of long-term monitoring research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56.8 km long study reach of the Naeseong Stream, which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2012 - 2016 were analyzed. Airborne LiDAR and terrestrial cross-section surveys were carried out. Hydrological and on-site investigation data were also collected. Among the main four sites, two bend reaches showed point bars enlarged, while along the other two straight reaches mid-channel bars were either newly formed or increased in area and height. At the highest deposition point of each bar, vertical changes which were caused by one or two times of sediment deposition amounted to 0.6 - 1.4 m. On the contrary channel bed degradation was not obvious. Overall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tudy reach were attributed to deposition of sediment which occurred during the flood in July 2016 on the bar surfaces vegetated during the precedent dry seasons. These kind of geomorphological processes are thought to be the same as those related to the existing mid-channel islands along the mid- and downstream reach of the Naeseong St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