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이버테러대응 기관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4초

주요국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Cyber Security Governance Analysis in Major Countries and Policy Implications)

  • 주문호;권헌영;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259-1277
    • /
    • 2018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사이버위협이 일상화되었으며, 그 범위 또한 단순한 개인의 장난과 사이버 범죄 수준을 넘어 대규모 범죄조직과 국가 주체가 개입된 사이버 테러 및 전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빠르게 국가차원의 대응 전략을 세우지 않는다면 우리나라도 정보통신 강국에서 사이버보안 취약국의 지위로 순식간에 전락할 것이며, 우리의 발달한 정보통신망은 세계가 부러워하는 4차 산업혁명의 기반시설이 아니라 국민 생활에 큰 위협을 가져오는 공격의 매개체가 될 것이다. 국가적 차원에서의 사이버 보안은 민 관 군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분야의 위협정보를 신속히 공유하고 사고 예방을 위한 대비책을 마련하며 유사 시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때 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각 부처, 각 주체들의 역할과 책임, 권한이 명확하게 부여되어야 하며, 이를 관리 조율하며 소통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효과적인 국가 사이버보안 거버넌스의 수립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차세대 국가 사이버보안 거버넌스의 정립을 위해 최근 국가 사이버보안 전략을 발표하여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체계를 신속히 정비해나가고 있는 미국, 독일, 영국, 일본, 중국 그리고 한국의 사이버보안 전략, 법령, 조직 및 추진 부처별 역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실질적인 거버넌스 구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의 주요 사이버보안 기능 분류 기준을 제안하고, 해당 분류 기준에 따라 국가 사이버보안 기능별 담당기관과 수행 전략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해당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사이버보안 거버넌스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사이버 위협에 대한 국내 경보 체계 현황 (The Present State of Domestic Alert Systems for Cyber Threats)

  • 이도훈;백승현;오형근;이진석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 2004년도 제1회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51-257
    • /
    • 2004
  • 오늘날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이에 대한 개인 및 사회 주요 시설의 의존도가 날로 심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 웜 및 바이러스와 같은 사이버 위협들이 이러한 정보통신 기술 인프라에 내재해 있는 취약성을 악용하여 로컬 PC를 공격하는데서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 기술 인프라를 공격하는 추세에 있다. 이런 추세에 있는 사이버 위협들은 사회 구성 주체들의 개별적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공동대응협력체계가 절실하다. 공동대응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사이버 위협 발생 시 정보통신 인프라에 미칠 영향력을 사전에 분석하고 분석한 정보를 사회 주체 간에 공유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국내의 관련기관이나 업체에서 사용 중인 사이버 위협의 경보 체계 현황을 조사한 후, 국내 경보 시스템을 산출 범위에 따라 두 부류(정보통신기술 인프라에 대해서는 전역적 경보 체계, 개별 위협에 대해서는 개별적 경보 체계)로 분류한다. 그리고 분류한 결과를 분석하여 국내 경보 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한 후 이의 해결을 위한 접근 방향을 간략히 제시한다.

  • PDF

실시간 사이버 공격 침해사고 탐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time Cyber Attack Intrusion Detection Method)

  • 최재현;이후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55-62
    • /
    • 2018
  • 최근 다양한 사이버 범죄 위협이 증가하는 추세로 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공격하는 사이버 공격에 대해 실시간 탐지 등 최전선에서 초동 대응을 해야 하는 보안관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보안관제센터,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침해 대응센터 등의 이름으로 기관의 관제인원들은 사이버 공격 예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침해사고 탐지를 위한 방법으로 네트워크 보안장비를 이용하거나 관제시스템을 활용하여 탐지를 하고 있지만 장비 위주의 단순한 패턴기반으로 관제를 하는 방법으로는 침해사고의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보안관제시스템은 지속적으로 고도화 되고 있으며 침해위협에 대한 예방활동으로 탐지방법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침해사고 탐지 방법에 대한 문제점 개선을 위해 주요 구성 모듈의 침해사고 탐지 방법을 정의하고, 성능테스트를 통해 효율적인 보안 관제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SIEM(Security Information Event Management)을 활용한 관제시스템 고도화를 통하여 효과적인 침해위협 탐지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협력대응기반 전역네트워크 보안정보공유 시스템 (A Security Monitoring System for Security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ve Countermeasure)

  • 김기영;이성원;김종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2호
    • /
    • pp.60-69
    • /
    • 2013
  • 최근 사이버공간의 위협이 사이버전쟁이라고 할 정도로 사실상의 위협으로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APT 같은 특정기업이나 조직을 노린 표적공격이 치밀하게 계획된 국가 간 사이버전 공격기법의 성향을 띠고 전 세계의 사회기반시설을 통제하려는 위협으로 발전하고 있어 현재 각 ISP 및 기관에서 제공하는 통합보안관리 시스템과 같은 기존 보안장비 및 솔루션으로는 대응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테러의 체계적인 대응을 위하여 국가차원의 전역네트워크 위협 상황 대응을 위한 협력대응기반 보안정보공유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 이를 실 ISP 운영센터에 적용한 결과에 대하여 기술한다. 개별 ISP의 이종보안 장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보안 이벤트 통합 인터페이스의 정의 및 수집, 보안정보 전달 프로토콜 정의, 전역 네트워크 차원의 연관성분석과 시각화 인터페이스를 통한 대응 기술 등을 제공하도록 구현하였으며, 실 ISP 운영환경에 적용하여 연동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운영사이트 적용가능성 또한 확인하였다.

공공분야 정보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단기 교육과정 연구 (A Study on the Short Term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Information Security Capability in Public Sector)

  • 윤주범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769-776
    • /
    • 2016
  • 최근 사이버공격은 국경을 초월하여 국가의 사이버 공간을 지속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이런 사이버공격은 국가 주요기반시설을 마비시킬 수 있는 수준으로 지능화 고도화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사실은 원전 해킹 위협, 3.20 사이버테러 등의 사건에서 잘 볼 수 있다. 특히 국가 중요 정보가 존재하는 국가 공공기관에서는 이와 같은 사이버공격으로 대규모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에 사전예방이 중요하다. 기술적인 대응도 중요하지만 국가 공공기관 근무자에게 사이버보안 교육을 통해 사이버 보안의식 고취 및 보안 전문지식 향상을 통해 보안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공분야 근무자들에 대한 단기 교육과정을 통해 최고의 보안 효과 상승을 위한 교육과정을 제안한다.

사이버안보 추진체계의 제도적 개선과제 연구 (A Study on Tasks for the Legal Improvement for the Governance System in Cybersecurity)

  • 박상돈;김인중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10
    • /
    • 2013
  • 사이버공격은 단순 범죄의 차원을 넘어 테러의 성격을 보이고 있으며 국가안보를 위협하고 있다. 오늘날 사이버안보 위협 양상은 국가 기밀과 개인정보의 유출 및 확산, 기반시설 제어시스템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의 현실화, 정치 사회적 목적을 지닌 핵티비즘 대두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는 남북분단에 따른 북한의 위협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더해져 있다. 따라서 사이버공격을 국가안보적 측면에서 다루면서 사이버안보 추진체계를 점검하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개선해야 한다. 정부는 국가 사이버안보 종합대책을 발표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제도적으로 미흡한 점이 있다. 사이버안보 추진체계의 제도적 개선을 위한 과제로는 관계부처 기관 역할의 법적 근거 정비, 국가차원 합동대응 강화, 정보공유 체계 정립 및 활성화, 산업육성 및 인력양성을 통한 기반조성, 연구개발 강화를 통한 방어수단 확보 등이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률의 제 개정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법제도 개선을 실천하여야 한다.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공증기관을 이용한 디지털 증거 수집 기법 (Digital Evidence Acquisition Scheme using the Trusted Third Party in Smart Grid Infrastructure)

  • 조영준;최재덕;김신규;서정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319-328
    • /
    • 2013
  • 세계 주요 국가들은 전력수요 증가,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국의 전력망을 스마트그리드로 변경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스마트그리드 도입을 위한 다방면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양방향 통신을 적용한 스마트그리드에는 기존 IT에 존재하는 사이버 위협이 적용되어, 국가적 차원에서 사회적 경제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사이버 테러의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 침해사고 발생 시 이에 대한 조사와 이를 분석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침해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증거 수집에 대한 연구는 그간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스마트그리드 환경에 적합한 디지털 증거 수집 방안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필요한 증거 수집 요구사항과 기존까지 연구된 디지털 증거 수집 방안을 분석하여 스마트그리드 환경에 적합한 디지털 증거 수집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국방 정보보호 발전 방안 (A Development Plan of Military Information Security in Ubiquitous Environment)

  • 김영화;김정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636-640
    • /
    • 2008
  • 정보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유.무선의 통합, 광대역 통신기술 구현 및 디지털 컨버전스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생활에 적용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진입을 위한 환경 구축이 정부 및 자치단체, 연구소, 관련 기업 등 여러 기관 및 단체의 주관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방 부분에서도 첨단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의존도는 점점 심화되고 있으나, 이와 더불어 해킹 바이러스 기술의 고도화를 통한 사이버테러 및 범죄 등의 침해 행위가 고도화, 전문화되고 점차 치밀한 형태로 발전하여 국가적인 차원의 대응이 필요한 형태로 급진전되고 있다. 특히 국방에서는 이러한 위협으로부터의 정보보호가 더욱 중요하며,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유비쿼터스 국방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정보보호 발전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정보보호산업 육성정책의 시스템 다이내믹스 분석

  • 전재호;최남희;홍민기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 /
    • pp.1-27
    • /
    • 2003
  • 인류 역사를 획기적인 기술혁명을 기준으로 대별할 때, 정보화 혁명을 농업혁명과 산업혁명에 이은 제3의 혁명으로 간주한다. 흥미로운 것은 급속한 기술발전은 긍정적 효과와 더불어 이에 상응하는 부정적 효과를 동반해 왔다는 것이다. 현 시점에서 가시적으로 가장 심각하게 부각되고 있는 정보기술혁명의 부작용은 컴퓨터 바이러스와 해킹에 의한 피해로 나타나고 있다. 2000년의 바이러스 발생건수는 572건이고, 특히 Nimda 바이러스가 출현했던 2001년 9월에는 그 피해사례 접수만도 12,054건에 이르렀다. 또, 2001, 2002년 해킹사고 누적건수는 각각 10,526건과 14,065건으로, 2000년의 해킹사고 총괄 누계인 449건과 비교할 때 23,443%와 31,325%의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경찰청 사이버테러 대응센터 2003, 황성원 2002, 정보통신부 2001). 이외에도, 정부기관이나 민간기업의 전산시스템에 불법으로 침입하여 정보를 도용하거나, 전산시스템을 마비시키는 등 다양한 형태의 부작용들로 증가 추세에 있다(CERTCC-KR, 2002).(중략)

  • PDF

추세 모형 기반의 예측 모델을 이용한 비정상 트래픽 탐지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Abnormal Traffic Detection Technique Using Forecasting Model Based Trend Model)

  • 장상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256-5262
    • /
    • 2014
  • 최근 국가기관, 언론사, 금융권 등에 대하여 분산 서비스 거부(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DDoS) 공격, 악성코드 유포 등 무차별 사이버테러가 발생하고 있다. DDoS 공격은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대역폭 소모를 주된 공격 방법으로 정상적인 사용자와 크게 다르지 않는 패킷을 이용하여 공격을 하기 때문에 탐지 및 대응이 어렵다. 이러한 인터넷 비정상적인 트래픽이 증가하여 네트워크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위협하고 있어 비정상 트래픽에 대한 발생 징후를 사전에 탐지하여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 트래픽 탐지 기법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예측방법인 추세 모형, 지수평활법, 웨이브렛 분석 방법 등을 비교 분석하여 인터넷 트래픽의 특성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예측이 가능한 가장 적합한 예측 모형을 이용한 탐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