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육체계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8초

일주일 양잠과 다회육

  • 양성열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1-74
    • /
    • 1992
  • 우리나라 양잠의 안정적 성장 발전을 위해서는 생산기반의 재정비 및 호당 양잠 규모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를 위한 생산체계의 획기적인 탈바꿈의 하나로 애누에 공동육을 함으로써 농가에서 누에의 사육기간을 단축하는 것이 시급히 요청된다고 림은 "잠사업이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술적 대응방안"에서 주장한 바가 있었다. 1. 전제조건 1) 애누에 공동육이 꼭 이루어져야 한다. 2) 뽕밭 생산성이 저해 받아서는 안 된다. 3) 성력 기계기구 개발 및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4) 가장 중요한 것은 잠작안정이다. 5) 각 잠기별 표준관리된 잠종이 공급되어야 한다. 6) 각 수견 시기에 맞추어 고치공판이 이루어져야한다. 2. 누에 사육시간 선정 1) 뽕나무 생리를 감안한 가지뽕 수확법에 따른 누에 사육기간은 춘잠기는 5월 하순부터 6월 중순까지이고 추잠기는 9월 초순부터 하순까지이다. 2) 병충해 방제관리상으로는 하잠 및 초추잠만이 문제점이 있다. 3) 잠작에 따른 사육기간은 춘잠기는 5월 하순부터 6월 중순까지이며 추잠기는 9월 초순부터 중순까지잠작이 양호하다.(중략)

  • PDF

RFID 기술 기반 싸움소 이력관리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Bullfight Career Management System Based-on RFID Technique)

  • 조용현;홍성준;이성욱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5-7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싸움소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RFID 기술 기반 싸움소 이력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싸움소의 사육 및 훈련 정보들을 분석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필드의 싸움소에 대한 사육 및 훈련 정보들을 분석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필드의 싸움소에 대한 사육 및 훈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RFID 미들웨어 시스템과 인터넷 기반으로 사육, 훈련, 전적 등의 정보를 통합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는 RFID 서버 시스템을 설계${\cdot}$구현하였다. 이력관리 시스템에서는 Tag의 순차적이 인식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전적정보 관리시스템에서는 동시에 다수의 Tag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천잠의 사육기술체계에 관한 연구 - 사육환경요인과 견질을 중심으로 - (Study on Technical System of Rearing Japanese Oak Silkworm, Antheraea Yamamai Cuerin-Meneville)

  • 김주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0-137
    • /
    • 1994
  • 천잠의 사육환경을 구명하기 위하여 사료자원, 기상환경 및 사육방법등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천잠의 실내사육에 있어 사육온도는 항온보다 변온이 좋은 편이며, 치잠기 25~26$^{\circ}C$, 장잠기 22~23$^{\circ}C$ 범위가, 사육습도는 치잠기 80~90%, 장잠기 60~70% 범위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천잠사육에 있어 광조기는 유충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아니하였다. 3. 귀잠시기는 빠른것이 늦은 것보다 유충시기에 단축되는 경향이 있으며 질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사료수종은 상수리나무가 밤나무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수보다 재배수가 사육성육이 더 좋았다. 5. 천잠을 옥외사육으로 전환하는 시기는 빠를수럭 작황이 불안정해 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야생조수(野生鳥獸) 인공사육농가(人工飼育農家)의 경영실태분석(經營實態分析)(사슴, 꿩, 멧돼지와 여우 사육농가(飼育農家)를 중심(中心)으로) (An Economic Analysis of Wildlife Rearing Farmhouses in Korea (Deer, Pheasant, Wild Boar and Fox Rearing Farmhouses))

  • 곽경호;조응혁;김세빈;오경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25-33
    • /
    • 1993
  • 이상과 같이 사슴, 꿩, 멧돼지와 여우 사육농가(飼育農家)를 대상(對象)으로 경영실태(經營實態), 경영성과(經營成果)와 적정(適正) 경영규모(經營規模)를 구명(究明)한 연구결과(硏究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슴, 멧돼지 사육농가(飼育農家) 경영주(經營主)의 사육년수(飼育年數)는 6년(年) 이상(以上)이 각각(各各) 68.3%, 66.7%로 나타나서 높은 경력소지자(經歷所持者)였다. 2. 대부분의 사육농가(飼育農家)가 야생동물(野生動物)을 부업(副業)으로 경영(經營)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3. 주요(主要) 비용항목(費用項目)중에서 종축구입비(種畜購入費), 사료구입비(飼料購入費), 인부임(人夫賃)과 감가상각비(減價償却費)가 높은 비중(比重)을 차지하고 있었다. 4. 사육농가(飼育農家)의 연간(年間) 이익율(利益率)은 사슴 사육농가(飼育農家)가 25.5%로 가장 높은 반면, 멧돼지 사육농가(飼育農家)가 10.3%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사육농가(飼育農家)의 손익분기점(損益分岐點) 매출액(賣出額)은 사슴사육농가(飼育農家)가 8.7백만(百萬)원, 꿩 사육농가(飼育農家)가 7.3백만(百萬)원, 멧돼지 사육농가(飼育農家)는 24백만(百萬)원, 여우 사육농가(飼育農家)는 12백만(百萬)원으로 나타났다. 최적매출규모(最適賣出規模)는 사슴 사육농가(飼育農家)가 11두(頭), 꿩 사육농가(飼育農家)가 1,027두(頭), 멧돼지 사육농가(飼育農家)가 69두(頭), 여우 사육농가(飼育農家)가 102두(頭)로 나타났다. 6. 이상의 결과(結果)로 미루어 볼때 사육농가(飼育農家)를 체계적(體系的)으로 보호(保護) 육성(育成)하기 위한 정책적지원(政策的支援)이 필요(必要)하다. (1) 축사환경개선(畜舍環境改善), 선진사육기술(先進飼育技術)의 보급(普及) 등(等)으로 생산비(生産費) 절감(節減)을 지속적(持續的)으로 추진(推進)해야 할 것이다. (2) 생산농가간(生産農家間)의 상호권익(相互權益)을 위한 조합(組合) 혹은 법인체(法人體)의 결성(結成), 유통체계확립(流通體系確立), 가공산업(加工産業)의 육성(育成) 등(等) 경영구조개선사업(經營構造改善事業)이 모색(模索)되어야 할 것이다. (3) 생산농가(生産農家)의 경영활성화(經營活性化)와 보호(保護) 육성(育成)을 위하여 금융(金融), 세제지원(稅制支援) 및 각종(各種) 관련법규제(關聯法規制)의 완화(緩和) 등(等) 제도적(制度的) 운영방안(運營方案)이 모색(摸索)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네발나비과 나비류의 계대사육법 체계확립 (Establishment of the Successive Rearing System of Brush-footed Butterflies (Lepidoptera: Nymphalidae))

  • 설광열;김남정;홍성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57-264
    • /
    • 2005
  • 곤충관의 연중 전시용으로서 붉은 색 계통의 화려한 나비로서 공급하기 위하여 네발나비류의 계대사육법 체계확립을 위해 일련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실내 제대사육용 인공사료를 개발하기 위해 3종의 사료를 공시한 결과 종에 따라 선호하는 사료의 종류가 달랐으나 Bu사료가 대체로 사육 성적이 양호하였으며 사료 중 기주잎 분말은 냉동 건조한 것이 좋았으며 C/N율은 1:1이 가장 양호한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발육단계 별 냉장가능기간을 조사한 결과 알의 경우 $5^{\circ}C$에서는 3일간, $15^{\circ}C$에서는 5일간 저장이 가능하였고 번데기의 경우에는 저온에 오래 보관할수록 기형 나비의 출현율이 높아 $15^{\circ}C$에서 최대 15일간 냉장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비의 장기 저온보호시험을 통해 냉장전의 흡밀기간, 냉장 온도에는 관계없이 법 장기간이 생존을, 산란전기간 및 산란수에 영향하였으며 60일까지 냉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발나비는 기주식물의 자극없이는 산란하지 않아 페트리 접시를 이용한 간이 인공산란용 키트를 개발하여 기주식물(한삼덩굴)잎의 에테르 물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암컷 1마리 당 평균 $278{\pm}27$개를 산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네발나비류의 연중 실내제대사육 체계도를 완성하였다.

미국에서 브로일러 사양 관리상의 문제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방안

  • 데이빗M. 토마슨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81
    • /
    • 1986
  • 수익성 높은 브로일러 사육을 위해서 체계적으로 문제해결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 과정에서 입수된 자료나 정보는 그 회사 또는 농장의 품질관리, 문제예방 및 사양관리 프로그램에 활용되어야 합니다. 계열화된 회사나 생산자 협회 또는 기타기관이나 기술지도 요원들에 의한 각종 세미나는 생산자들에게 브로일러산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문제예방책에 대하여 교육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문제가 한번 발견되면 어떤 조치를 취하기에는 너무 늦습니다. 브로일러의 사양과 관리에 있어서 급이기와 사료 빈을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항상 기억하십시오. 그밖에도 곰팡이 핀 사료를 먹이지 말고 급이기에는 적당한 수준사료를 유지하십시오 (이따금씩 닭들이 급이기 내의 사료를 다 먹어 치울 수 있도록 하십시오). 급이기의 적당한 공간을 제공해야 되며 여름철에는 사료를 조금씩 자주 입고하도록 하십시요. 사료원료의 품질을 철저히 점검하는 것은 품질관리 프로그램의 중요한 측면이며 문제발생을 상당히 줄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수익성 높은 브로일러 사육으로 향하는 문은 열려질 것입니다.

  • PDF

벼논 오리 사육방법에 따른 벼 생육 및 수량 반응 (Rice Growth and Yield Response under Rice-Duck Farming System in Paddy Field)

  • 김희동;박중수;방관호;조영철;박경열;권규칠;노영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9-347
    • /
    • 1994
  • 생산비 절감과 잡초방제 가능성 및 경지이용도 향상을 위하여 1992∼1993년 동안 오리방사체계, 오리 1회 사육시 방사밀도별 질소시비량 구명, 오리 방사밀도에 따른 시비적량 등을 구명하고자 시험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논 오리 방사는 중묘 기계이앙후 40일부터 가능하였으며 년간 적정 방사회수는 3회였다. 2. 벼 생육은 오리사육시 대조구에 비하여 출수기가 1∼3일 지연되었으며 시비량이 적을수록 주당수수와 영화수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등숙비율은 대차 없었다. 3. 벼논에 오리를 10a당 100∼150마리씩 방사할 경우 년 1회 방사시는 질소시비량 11kg수준이, 년 3회 방사시는 질소시비량 8.8kg 수준이 쌀수량에 유리하였다. 4. 잡초방제가는 오리를 년 1회 10a당 100마리 사육시 87∼89%, 150마리 사육시 93∼9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5. 벼논 오리 년 3회 방사시 방사밀도별 오리생장량은 매회 100마리 사육시 2.82∼3.37kg보다 150마리 사육시 2.49∼2.99kg으로 다소 낮았으나 상품성에는 영향하지 않았다. 6. 벼논 오리 사육시 10a당 소득은 벼 단작 639천원에 비하여 오리 150마리를 년 3회 방사하고 질소를 8.8kg 시용할 경우 845천원으로 32%증가되었다.

  • PDF

암수 분리 사육과 혼합 사육이 토종닭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parate-Sex and Straight-Run Rearing on the Productivity of Korean Native Chickens)

  • 손시환;최은식;조은정;김보경;신가빈;이슬기;이승학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23-131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 토종닭의 암수 분리 사육과 혼합 사육이 개체의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토종닭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사육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시험은 토종 실용계인 GSP한협토종닭® 1,140수를 대상으로 암컷 사육 구, 수컷 사육 구 및 암수 혼합 사육 구로 구분하고, 1일령부터 12주령까지 생존율, 체중, 사료 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시험 구의 평균 생존율은 97.9%로서 사육 형태 간 차이는 없었다. 체중은 모든 주령에서 사육 형태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P<0.01), 4주령 이후부터 수컷 분리 사육 구, 혼합 사육 구, 암컷 분리 사육 구의 순으로 높은 체중을 나타내었다. 사육형태별 집단의 체중 균일도는 10주령 체중의 경우 암컷 분리 사육 구가 78%의 높은 균일도를 보이고, 혼합 사육 구는 44%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사육 형태에 따른 수컷 간 체중비교에서 분리 사육 개체가 혼합 사육 개체보다 대부분의 주령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암컷 간에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육 형태별 사료 섭취량은 수컷 사육 구, 암수 혼합 사육 구, 암컷 사육 구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사료요구율은 이와 반대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암수 분리 사육과 혼합 사육 간 암컷과 수컷 공히 개체 간 생산능력의 차이는 없으나, 생산성 측면에서 집단 균일도로 인하여 암수 분리 사육이 혼합 사육에 비해 훨씬 유리한 사육 형태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