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유시설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Recovery Cost Evalu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for Index Assessment of Private Facilities Damaged by Natural Disaster (자연재난 복구비용 산정을 위한 기법 및 실용화 연구)

  • Jung, Woo-Young;Kim, Sung-Jun;Choi, Hyun-K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3
    • /
    • pp.67-73
    • /
    • 2009
  • Financial supports of private facilities which were damaged by natural disaster are currently performed partially by a government and the guideline of corresponding recovery costs be the natural disaster prevention law in South Korea. However, current financial recovery guidelines for the damaged private facilities has not been estimated objectively so far. This research presents advanced recovery cost search and assesment methods for the damaged private facilities under natural disaster. To produce more accurate data, an investigation for practical field markets which are appointed in Kangwon area is conducted and the proposed recovery values per each item are compared to exact field market values. Finally. more realistic and accurate recovery cost guideline including evaluation and more effective market surveying method are suggested her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gram for systematic recovery cost calculation is proposed and expected to be used at public institution before long.

Analysis on the Effects of Disaster Mitigation Facility Using Debris Flow Numerical Model (토석류 수치모형을 이용한 재해 저감시설의 효과 분석)

  • Kang, Bae Dong;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68-168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과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 증가로 국토의 64%가 산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에서 산사태와 토석류와 같은 산지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토석류는 물과 흙, 자갈, 유목 등이 계곡을 따라 이동하여 하류 지역에 위치한 주거 및 공공시설, 도로, 하천 그리고 인명에 피해를 입히는 자연재해이다. 본 연구대상 지역인 강원도 삼척시를 기준으로 2019년 10월에 발생한 태풍 '미탁'은 시간당 최대 110mm/hr, 누적강수량 487mm를 기록하였으며, 태풍으로 인한 강풍, 폭우, 홍수뿐만 아니라 산사태, 토석류와 같은 산지 재해로 사망 13명, 실종 2명, 이재민 910세대 1,442명의 인명 피해와 공공시설 1,835건, 사유시설 3,700건 등의 재산피해를 발생시켰다. 연구대상 지역에 높이 2m의 기설치된 저감시설이 있었으나 당시의 토석류 발생량을 저감하기에 규모가 작아 주택, 도로와 주민들이 있는 하류 지역에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피해가 발생한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획득한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Hyper KANAKO 모형의 입력 매개변수로 사용하였다. 실측 자료를 모형에 적용하여 최대 유동심과 유속이 발생한 지점을 분석한 후 기설치된 재해 저감시설과 동일한 제원의 재해 저감시설을 설치하였을 때와 재해 저감시설의 높이와 종류를 변경하였을 때를 비교·분석하였다.

  • PDF

어항소식

  • 한국어항협회
    • Monthly Newsletter
    • /
    • no.80
    • /
    • pp.1-4
    • /
    • 1994
  • 시설공사 수의계약사유평점제도 규제완화 건의 배경 - 예산회계법령 개정내용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for the Facilities of the Korea Forest Welfare for Life Cycle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시설의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Bum-Jin;Yeom, Dong-geol;Kim, Se-bin;Kyeon, ChiWon;Joung, Dawou;Kim, GeonWoo;Choi, Yoon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2
    • /
    • pp.285-293
    • /
    • 2015
  • This study aims to find some characteristics for the facilities of the 'Korea Forest Welfare for Life Cycle' through the domestic case analysis, so that we draw implications applicable to the policy on Korea Forest Welfare. For this, we brought and analyzed statistical data together from scattered sources. As the characteristics for the facilities of the Korea Forest Welfare for Life Cycle, first, there is the quantitative imbalance of forest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each life cycle. Second, there is a lack of facilities in urban areas. Third, the facilities are mostly located in national or public forests. And,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we suggest several things as follows that is applicable to the related policy. First, it is necessary to meet the needs of facilities that need to be built evenly for each life-cycle. Second, facilities of the Forest Welfare for Life Cycle which is adjacent to the life zone should be built more to increase accessibility. Third, forests in Korea are almost comprised of private forests. Using only national and public forests has an unfavorable condition to confer a benefits of forest welfare on the people evenly than using national, public and private forests all together.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nvigorate private capital and utilize private forests so that the favorable condition can be made to confer a benefits of forest welfare on the people evenly and adjust balance of the quantity for the facilities of forest welfare.

The Component of the 3D CAD Modelling through the Review of Dismantling Procedure on a Core Part in the KRR-2 (연구로 2호기 노심 부분 해체 절차 검토를 통한 3D CAD 모델링 구성요소의 도출)

  • 김희령;박승국;정운수;정기정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9-134
    • /
    • 2002
  • 상업용 원자력 발전소와 연구용 원자로, 재처리시설 또는 원자력 관련 연구시설 등은 일반적으로 한계수명의 도달, 정치 경제적 사유 또는 안전성 둥의 이유로 폐지조치 하게 된다. 현재 세계적으로 80여기 이상의 발전소와 수백 개의 연구시설, 연구로 및 재처리 시설 등이 폐로 중에 있거나 대기중이다.(중략)

  • PDF

Construction of Long-term Unexecuted Urban Plan Facilities DB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DB구축)

  • Ahn Hyung-June;Koh June-Hwan;Lee Mi-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8-162
    • /
    • 2006
  • 급격한 도시화로 인하여 도시기반시설의 필요성에 의해 도시계획시설들이 많이 결정되었다. 헌법재판소는 도시계획시설의 지정으로 인한, 토지소유자의 토지 사적 이용권의 배제에 대해 헌법 불합치 판정을 내렸고, 2000년 1월 28일 도시계획법의 개정이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미집행 시설로 인한 사유권의 침해는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 및 재정비 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GIS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향후 LMIS의 지리정보 전산화일과, UPIS의 도시계획시설 데이터, 조서 자료 및 고시자료 등을 이용하여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관리를 위한 기본 DB를 구축하고자 한다.

  • PDF

Site Selection for Public Facility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Analysis Technique (공간정보분석기법을 이용한 공공시설물의 적지분석)

  • Han, se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49-450
    • /
    • 2017
  • 공공시설물 건설을 위한 적지분석을 위해서는 대상지에 국유지 또는 시유지(지자체소유)의 포함비율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일반 건설과는 다르게 사업예산을 축소하기 위해서 국가 또는 지자체소유의 토지를 포함할 수 있다는 특수성이 있기 때문이다. 사유지를 수용할 경우 소유자와 필지수 그리고 지가 등이 판단요소가 된다. 뿐만 아니라 물리적조건으로 경사도, 향(aspect), 교통편이성 등이 동시에 분석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속성과 공간적인 분석을 통해 공공시설물의 적지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atabase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DB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Kwang-Yeol;KIM, Shin-Hey;BAEK, T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3 no.3
    • /
    • pp.1-1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analysis for classification of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o prepare measures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management of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and to find ways to establish national territory information for continuous management and operation by database of spatial data of classified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state of urban management plan, thematic map, cadastral map, satellite image of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KLIS) were collected from Miryang City,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xecution and non-execution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was conducted by combining the layer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satellite images, and continuous cadastral layers of cadastral maps with classified and processed owner attrib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unexecuted facilities were derived as unexecuted facilities, as most of the private land, without any current status roads or facilities created in satellite imagery. In addition, although the current status road was opened, the facilities that included some private land were derived as facilities that were recognized and executed by the local government as the de facto controlling entity through public transportation. The derived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layers of shape data and the unexecuted property data were organized to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the status of non-executed and statistical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d an analysis plan that introduced GIS technology for scientific and rational analysis of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reliable spatial data, and proposed a plan to establish a database for connection with existing systems and use of information.

재해로 인한 농작물의 생산비 피해액 산정

  • Shim, Kee-Oh;Lee, Cheol-K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2 no.4 s.7
    • /
    • pp.77-85
    • /
    • 2002
  • Korean government compensates 100% for natural disaster relief fund to public facilities, and provides 70 percents to crops through unit price calculation. This study estimated disaster damage according to the standard production cost of crops. Disaster damage was estimated according to the unit price of crops. Those crops are lettuce, pumpkin, red pepper, spinach, tomato and cucumber. As a result, the ratio of natural disaster relief fund to damage was revealed as $3.3%{\sim}13.8%$ with present method, 5.7%{$\sim}34.1%$ with suggested method. Suggested method is the first one considered damage ratio of crops, producer price and raising period.

Numerical modeling of debris flow damaged area Using Hyper KANAKO (Hyper KANAKO 모형을 이용한 토석류 피해지역 수치모델링)

  • Kang, Bae Dong;Jun, Kye won;Kim, You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5-305
    • /
    • 2020
  • 2019년 10월에 발생한 태풍 미탁은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기준 시간당 최대 129mm/hr, 누적강수량 488.5mm를 기록하며 폭우와 강풍, 홍수, 토석류 및 산사태로 사망 13명, 실종 2명, 이재민 910세대 1,442명의 인명피해와 공공시설 1,835건, 사유시설 3,700건 등의 재산 피해가 발생하였다. 한편 Hyper KANAKO 모형은 일본에서 개발된 토석류 수치 모델로 오픈소스인 QGIS와 연동되어 도구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토석류 해석 시 침식 및 퇴적작용의 해석이 가능하다. 1차원의 지형(계류)과 2차원의 지형(퇴적부)의 지반설정과 사방댐의 종류(Closed, Slit, Landslide) 및 개수, 위치, 높이 등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DEM을 기반으로 변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축한 자료인 LP(Laser Profiler) 데이터를 바탕으로 3차원의 지형을 볼 수 있어 2차원의 지형보다 사용자의 직관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QGIS와 Hyper KANAKO를 이용하여 태풍 미탁으로 토석류 피해가 발생한 강원도 삼척시 신남지역을 대상으로 DEM과 LP 데이터를 구축하고 수치모델링을 실시하여 현장조사 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