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 행태

Search Result 24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User Interface Modeling Method by Structure Analysis of User Behavior Information (사용자 행태 정보의 구조 분석을 통한 UI 모델링 방법에 관한 연구)

  • Lee, Eun-Shin;Bae, Hong-Joo;Jung, Ji-H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387-394
    • /
    • 2007
  • 사용자-제품 간의 인터랙션 환경의 변화로 인해 사용자 행태 정보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 되고 있으며, 사용자 행태 연구의 접근 가능성 보다는 행태 정보를 UI 디자인 과정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 제품 개발 환경에서 효율적인 UI디자인을 위하여 사용자의 실 생활에서 수집된 사용자 행태 정보를 UI 디자인 설계 과정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자 행태 정보가 갖고 있는 단계별 구조의 특성을 정의하고, 행태 정보의 구조 분석을 통해 미래 제품 개발 환경에서 제품 사용 단계별 적용 가능한UI 고려 요소 및 UI 해결 방안의 도출 과정을 가시화 시켜 주기 위한 UI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사례 연구로 현재 현관문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행태 정보에 UI 모델링을 적용하여 미래 환경에서 제공 가능한 GATE System의 UI 고려 요소 및 UI 해결 방안을 추출하여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Modeling of Home Network Interface through User Behavior Analysis (사용자 행태 분석을 통한 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델링)

  • Seo Yunsuk;Kim Yaejin;Jung Jihong;Kim R. 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490-492
    • /
    • 2005
  • 최근 사용자 행태 분석 개념이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HCI(Human-Computer Interface)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행태와 시스템 모델링은 적절한 모델링 언어나 도구가 부족하여 사용자의 행태를 전부 표현하지 못한다. 소프트웨어공학에서는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있다. 물론 UML에 액터 개념은 있으나 시스템 중심의 모델에 초점을 두고 있어, 사용자의 행태 표현에 제약이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행태를 모델링하기위해 OBA(Object Behavior Analysis)방법론을 기반으로 사용자 행태에 초점을 맞춰 시스템을 모델링 하고, 결과로써 HCI관점을 위해 부족한 UML의 문제와 확장성을 언급하고자 한다.

  • PDF

Empirical Study on User Behavior in Character Intelligent Agent on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상황에서 캐릭터 인텔리전트 에이전트 사용 행태 연구)

  • Choi, Yoo-Jung;Jo, Yun-Ju;Park, Su-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56-161
    • /
    • 2007
  • 본 연구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Character Intelligent Agent (CIA)의 사용 행태를 연구하여 CIA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와의 1대 1 심층 개인 인터뷰를 실시하여 사용자와 CIA의 상호작용 시 영향을 주는 행동, 대화, 말투 등의 사용자와 CIA의 요소를 확인하였다. 여기서 더 나아가 CIA를 대하는 사용자의 인식이 생물과 무생물로 나누어 지고, 이는 다시 사람과 애완동물, 기계와 장난감으로 나누어 지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CIA를 사용하는 행태에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아내었다. 특히, 사람으로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태와 기계로 인식하는 사용자의 행태가 더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사람으로 인식하는 행태가 캐릭터에 대한 긍정적 요소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추후 연구를 통해 각 요소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user-centered interface of consumer electronics based on log analysis (가전 제품의 사용 Log 분석을 통한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 TV 사례를 중심으로 -)

  • Ha, Yoon;Choi, Go-Woon;Kim, Hyo-Sun;Ahn, Jeo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179-184
    • /
    • 2007
  • 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해당 제품의 사용 행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핵심적이다. 사용자 행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는 설문이나 개별/집단 면접 등이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들의 기억에 의존하는 간접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그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이 연구에서는 사용자 조작 로그(Log)를 기록, 수집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가전 제품의 사용 행태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파악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디지털TV실사용자 가구들을 조사 대상으로 선발한 후 해당 가정의 실제 사용 환경에서 약 1개월간 사용 로그를 기록하였다. 로그 수집과 함께 면접 설문도 실시하였다. 수집된 로그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제품의 주요 기능별 사용 빈도와 패턴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면접에서 대상자들이 응답한 내용과 비교하여 간접 조사 방법의 정확도를 검증해 보았다. 로그 분석 결과에서 도출된 사용 행태 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 맞춤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가구별 결과를 2차 분석하여, 사용 행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세분화(Segmentation)를 하였고 각 세그먼트(Segment)별 주요 특징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여러 분석 결과는 가전 제품의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 개발에 사용 Log분석이 활용될 다양한 가능성과 유용성을 보여주었다.

  • PDF

based on Bluetooth Handsfree Headset UI Design Project (<사용자 참여를 통한 미래 사용자 사용패턴 예측 방법론 제안>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의 UI 디자인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Jo, Hyun-Jae;Kim, Sun-Ah;Lee, Hyun-J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524-529
    • /
    • 2006
  • 짧은 기간에 비약적으로 기술이 발전하는 시대에는 사용자의 미래환경과 그에 따른 사용자의 행태를 미리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의 UI 디자인 개발을 위해 사용된 사용자의 제품 사용행태 예측 과정을 통해 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차로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 사용자가 그것을 사용하는 사용행태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조사의 결과를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방법으로 구성하여 아이디어개발을 위한 보조도구로 개발하였다. 조사의 대상은 블루투스 헤드셋의 주요 사용자 층인 10 대 후반에서 20 대 중반에 속하는 사용자 그룹이며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변용 가능한 패션 액세서리를 선정하고 선정한 액세서리를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으로 가정하여 사용시의 그들의 사용 포즈를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주사용자 층의 사용행태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블루투스 헤드셋 개발팀내의 기획자, 기술자, 디자이너들이 제품의 개발 방향에 대한 아이디어 공유를 위하여 Macromedia Flash 를 사용하여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으로 제작하여 디자인을 위한 보조 툴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과 같이 사용자의 새로운 요구와 사용성이 기대되는 제품 UI 디자인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미래 요구사항을 예측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배경에서 시작되었으며, 블루투스 핸즈프리 헤드셋의 사용자의 요구 파악 및 예측을 위한 방법으로 제품과 사용자의 사용 포즈를 연계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Predicting User Profile based on user behaviors (모바일 사용자 행태 기반 프로파일 예측)

  • Sim, Myo-Seop;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7
    • /
    • pp.1-7
    • /
    • 2020
  • As the performance of mobile devices has dramatically improved, users can perform many tasks in a mobile environment. This means that the use of behavior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device can tell a lot of users. For example, a user's text message and frequently used application information (behavioral information) can be utilized to create useful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user is interested in parenting(profile prediction).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user that can be collected in the mobile device and propose the item that can profile the user. And I also suggest ideas about how to utilize profiling information.

A Study on Behavior of the User using the mirror by Distance between the Mirror and the User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른 거울 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디지털 거울에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Hahm, Won-Sik;Soh, Yeon-Jung;Choi, Hea-Ju;Park, In-Chan;Jung, Ji-H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345-350
    • /
    • 2006
  • 거울은 자동적인 시각적 피드백이라는 특성으로 특별한 조작을 요구하지 않는 인간의 친숙한 도구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우리는 빚과 정보를 함께 전달하는 거울에 대한 여러 가지 접근들을 보아왔지만, 이와 관련된 제품화는 아직 초기단계이다. 또한, 거울의 기본적 특성에 정보가 표현되는 것이 기능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사용자 관점의 정보 표현방식이나 조작에 관련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디지털 거울에서 사용자 관점의 정보 표현방식과 조작 인터페이스 요소 추출을 위한 기반조사로써, 거울과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른 사용자의 거울 사용행태와 니즈를 알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 전선거울을 보는 사용자의 관찰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거리의 기준을 잡아 태스크를 정리한 후, 주어진 디지털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의 거울 사용행태 및 니즈를 추출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디지털 거울에서 사용자 관점의 다양한 정보 표현방식과 조작 인터페이스 요소의 적용 가능성을 Digital Mirror UI 제안을 통해 살펴본다. 나아가 추출된 사용행태 및 니즈의 분석을 통해 정보의 표현방식과 정보조작방식의 방향을 예상할 수 있다.

  • PDF

Play Behaviour and Environment Using User Research (Focused on Air-bounce Space in Theme Museum) (사용자 조사법을 이용한 어린이 놀이행태 및 놀이환경 분석 (테마박물관의 실내 에어바운스 공간을 대상으로))

  • Song, Mi;Yun, Hee 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
    • /
    • pp.274-28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y behaviour and play environment of children at the Air-bounce space in the theme museum, using user observation and interviewing user behaviour, main methods of user research. Study area is Animation theme museum in Chuncheon City, Kangwon Province, Republic of Korea. Main results show that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and social behaviour of playing children in the study area are observed, and this study draws the planning and design related implications of play space such as carrying capacity, waiting room and safety guard and so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planning and design process of children's play environment as important guidelines.

A Study on the Snack Culture Phenomenon in YouTube Shorts : Focused on Users' Perceived Value (유튜브 쇼츠(Youtube Shorts)의 스낵컬처(Snack Culture)현상 요인 분석: 사용자의 인지된 가치를 중심으로)

  • Won Jin Hong;Seung In Kim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9 no.3
    • /
    • pp.193-203
    • /
    • 2024
  • This study analyzes user behavior on YouTube Shorts within snack culture and proposes short-form video production strategies by identifying key value factors. Prior research identified seven characteristics (playfulness, time killing, information provision, social presence, interactivity, escapism, conciseness) and criteria based on the 5W1H principles. Surveys and interviews revealed that key user values are playfulness, time killing, conciseness, and interactivity. Users engage without specific purposes, watch 10-20 consecutive pieces selectively, and use it in comfortable environments.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s for understanding user behavior and short-form video production strategies.

User Behavior Classification for Contents Configuration of Life-logging Application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구성을 위한 사용자 행태 분류)

  • Kwon, Jieun;Kwak, Sojung;Lim, Yoon Ah;Whang, Min Cheol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9 no.4
    • /
    • pp.13-20
    • /
    • 2016
  • Recently, life-logging service which has expanded to measure and record the daily life of the users and to share with others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as life-logging services based on the application has become popular with the development of wearable-devices and smart-phones, the contents of this service are produced by user behavior and are provided in infographic menu for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tract user behavior and classify for making contents items of life-logging service. For this paper, the first of all, we discus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life-logging and research the contents based on user behavior related to life-logging by the publications including thesis, articles, and books. Secondly, we extract and classify the user behavior to build the contents for life-logging service. We gather users' action words from publication materials, researches, and contents of existing life-logging service. And then collected words are analyzed by FGI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As the result, 39 words which suit for contents of life-logging service are extracted by verify suitability. Finally, the extracted 39 words are classified for 19 categories -'Eat', 'Keep house', 'Diet', 'Travel', 'Work out', 'Transit', 'Shoot', 'Meet', 'Feel', 'Talk', 'Care for', 'Drive', 'Listen', 'Go online', 'Sleep', 'Go', 'Work', 'Learn', 'Watch' - which are suggested by the surveys, statistical analysis, and FGI. We will discuss the role and limitations of this results to build contents configuration based on life-logging application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