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 유사도

Search Result 1,848,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Post Recommendation Using Link-based Similarity in Blogosphere (블로그 공간에서 링크 기반 유사도를 이용한 게시글 추천)

  • Song, Suk-Soon;Yoon, Seok-Ho;Kim,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929-93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링크 기반 유사도 계산을 이용해서 블로그 공간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만한 게시글들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은 사용자가 관심을 가졌던 게시글들 중에서 시드 게시글을 선택하고 링크 기반 유사도를 계산하여 시드 게시글과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k개의 게시글들을 사용자에게 추천한다. 또한, 시드 게시글들 중에서 추천하고자 하는 주제가 아닌 다른 주제의 게시글들이 잘못 추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드 게시글과 동일한 주제라고 확실시 되는 게시글들만을 점진적으로 찾아 추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실제 블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추천 방안의 우수성을 검증한다.

User Preference Prediction Method Using Associative User Clustering and Bayesian Classification (연관 사용자 군집과 베이지안 분류를 이용한 사용자 선호도 예측 방법)

  • 정경용;김진현;이정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09-111
    • /
    • 2001
  • 기존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선호도 예측 방법에서는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이웃 선정 방법(Nearest-Neighborhood Method)을 사용하고, 피어슨 상관 계수에 의해 사용자의 유사도를 구하므로 아이템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희박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사용자 선호도 예측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연관 사용자 군집과 베이지안 분류를 이음한 사용자 선호도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협력적 필터링 시스템에서의 희박성(Sparsity)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RHP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장르별로 군집하며 새로운 사용자는 Naive Bayes 분류자에 의해 이들 장르 중 하나로 분류된다. 또한, 분류된 장르 내에 속한 사용자들과 새로운 사용자의 유사도출 구하기 위해 Naive Bayes 학습을 통해 사용자가 평가한 아이템에 추정치를 달리 부여한다. 추정치가 부여된 선호도를 기존의 피어슨 상관 관계에 적용할 경우 결측치(Missing Value)로 인한 예측의 오류를 적게 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기존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과 비교 평가하였다.

  • PDF

A Research of Documents Similarity Measuring Based on Word Weight (단어가중치 기반 문서간 유사도 측정에 관한 연구)

  • 김혜숙;박상철;김수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198-201
    • /
    • 2003
  •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정확히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개발 단계에 적용하기 위해 문서간의 의존성, 즉 상·하위 문서간의 연계성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데 이를 위해 적게는 두 용어가 얼마나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를 나타내는 용어간의 유사도 정보가 중요시된다. 이에 본 논문은 임의의 두 문서에 대한 다양한 유사도 측정방법을 통하여 최적의 유사도를 알아보고 두 문서간 유사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Neural Network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유사도 측정과 검증 방법은 분산환경에서 입력되는 요구사항 문서들을 효율적으로 분류, 관리해 줄 수 있으며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과 전체 Project 수행에 좋은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 PDF

A Study on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er system based on Item Knowledge (아이템 정보 기반 협업 필터링 추천 시스템 연구)

  • Yang, Yeong-Wook;Yun, You-Dong;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439-441
    • /
    • 2017
  • Matrix factorization은 사용자의 아이템 선호도를 통해 아이템을 추천해주는 성공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 이 기법은 사용자-아이템의 선호도 행렬을 채우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아이템의 선호도 행렬을 사용자 행렬(user latent factor)와 아이템 행렬(item latent factor)로 분해하고, 각 행렬에 대해 추론하여 완성된 사용자-아이템의 선호도 행렬을 추론한다. 하지만 Matrix factorization은 아이템의 수가 많고,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 데이터가 적을 때 성능이 제한된다. 또한 새로운 아이템이 추가되었을 때, 새로운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들의 선호도 정보가 없기 때문에 새로운 아이템이 추천되지 않는다는 문제를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아이템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인 아이템 간의 유사도 정보와 아이템의 시나리오 정보의 유사도를 모델링하여 기존의 전통적인 Matrix factorization에 추가하는 아이템 정보 기반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Application recommender system based on personalized collaborative-filtering using user's emotion information from smartphone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감성정보를 이용한 개인화된 협업필터링 기반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 Lee, Chang-Hyun;Lee, Sung-Young;Chung, Tae-Choong;Yun, Seo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224-226
    • /
    • 2012
  •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더불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공급과 수요 또한 활성화 되고 있다. 이에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시장 또한 활성화 되었다. 하지만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개인 정보와 감정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 정보와 감정을 k-means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군집화를 시켜주었으며 사용자가 평가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검출 및 추천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계수와 교차추천을 이용하였다. 또한 협업 필터링의 신규 사용자에 대한 초기 평가치 부재에 의한 콜드 스타트(cold-start)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규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감성정보를 활용하여 기존 사용자와의 유사도를 비교한다. 이웃사용자를 추출하고 이웃사용자로부터 추천을 받는다. 즉, 추천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내의 정보가 충분한 사용자에게는 협업필터링을 그렇지 않은 신규 사용자에게는 협업필터링 대신 제시한 방법을 적용하는 하이브리드 추천 방법을 제안하였다.

An Approach to Improve the Credibility of Similarity Calculation in CF-based Recommender Systems (협업필터링 기반 추천시스템에서 유사도 계산의 신뢰성 향상 방안)

  • Lee, Gun Woo;Jeon, Dong Yeoup;Ha, Jiwoon;Kim, Hyung-ook;Kim,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144-1145
    • /
    • 2015
  • 협업 필터링 기반 추천 시스템에서는 이웃 사용자를 정확하게 찾는 것이 추천 정확도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기존의 유사도 척도는 사용자가 공통으로 평가한 아이템만을 고려하여 유사도를 계산하기 때문에 이러한 아이템이 적은 사용자 간의 유사도가 부정확하게 계산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공통으로 평가하지 않은 아이템을 함께 고려하여 유사도를 계산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안이 협업 필터링 기반 추천 시스템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함을 보인다.

Measuring Similarity Between Lecture Notes Based on Tree Structure (트리 구조로 된 강의노트 사이의 유사도 측정 기법)

  • Lim, Seon-Kyu;Kim, M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25-2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강의노트의 저장 형식이 XML 문서라는 사실을 기반으로 강의노트 사이의 유사도 계산 문제를 XML 문서 사이의 유사도 계산 문제로 치환해 해결한다. 그리고 유사도를 계산할 때 강의노트가 포함하는 컨텐츠의 논리적 구조의 특징을 반영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을 사용해 사용자가 소유한 강의노트와 유사한 강의노트들을 정확하게 검색함으로써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강의노트를 학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Social Relationship Value Computation based on the Influence of Human Attributes classified by Topics (토픽별 인간 속성의 영향력 기반 소셜 관계 지수 산정)

  • Kwon, Oh-Sang;Park, Gun-Woo;Lee,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884-887
    • /
    • 2010
  • 최근 검색엔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검색결과에 있어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많은 방법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는 방대한 정보 속에서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맞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검색하고자 하는 토픽별 사용자의 인적 속성들이 미치는 영향력을 기반으로 사용자간 소셜 관계 지수(SRV : Social Relationship Value)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소셜 관계 지수란 인간의 내재적인 특성을 수치로 산정한 것으로, 웹 사용자들에게 있어서는 검색 성향의 유사정도와 직결된다. 따라서 검색하고자 하는 토픽별 개인 성향의 유사정도를 수치로 부여하고 유사성이 높은 사람들의 검색 정보를 이용하면 사용자에 보다 만족된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글 디렉터리(Google directory)의 정제된 각 토픽별 하위 범주(category)에 대해 선택 결과가 같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적 속성을 분석하고, 그 영향력을 가중치로 적용해 산정된 소셜 관계 지수와 사용자들의 검색 패턴을 비교 하였다. 그 결과 특정인을 기준으로 소셜 관계 지수가 높은 사람들의 검색 패턴이 매우 유사함을 확인 하였다. 이를 통해 토픽별 개인 간 연결 강도가 강할수록, 즉 유사성이 높은 사용자간에는 검색 패턴 또한 유사함을 검증 할 수 있었다.

A Empirical Study on Recommendation Schemes Based on User-based and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사용자 기반과 아이템 기반 협업여과 추천기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Ye-Na Kim;In-Bok Choi;Taekeun Park;Jae-Dong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714-717
    • /
    • 2008
  • 협업여과 추천기법에는 사용자 기반 협업여과와 아이템 기반 협업여과가 있으며, 절차는 유사도 측정, 이웃 선정, 예측값 생성 단계로 이루어진다. 유사도 측정 단계에는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방법 등이 있고, 이웃 선정 단계에는 상관 한계치(Correlation-Threshold), 근접 N 이웃(Best-N-Neighbors) 방법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예측값 생성 단계에는 단순평균(Simple Average), 가중합(Weighted Sum), 조정 가중합(Adjusted Weighted Sum) 등이 있다. 이처럼 협업여과 추천기법에는 다양한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기반 협업여과와 아이템 기반 협업여과 추천기법에 사용되는 유사도 측정 기법과 예측값 생성 기법의 최적화된 조합을 알아보기 위해 성능 실험 및 비교 분석을 하였다. 실험은 GroupLens의 MovieLens 데이터 셋을 활용하였고 MAE(Mean Absolute Error)값을 이용하여 추천기법을 비교 하였다. 실험을 통해 유사도 측정 기법과 예측값 생성 기법의 최적화된 조합을 찾을 수 있었고, 사용자 기반 협업여과와 아이템 기반 협업여과의 성능비교를 통해 아이템 기반 협업여과의 성능이 보다 우수했음을 확인 하였다.

User Positioning Method Based on Image Similarity Comparison Using Single Camera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이미지 유사도 비교 기반의 사용자 위치추정)

  • Song, Jinseon;Hur, SooJung;Park, Yongwan;Choi, Jeonghe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40 no.8
    • /
    • pp.1655-1666
    • /
    • 2015
  • In this paper, user-position estimation method is proposed by using a single camera for both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Conventionally, the GPS of RF-based estimation methods have been widely studied in the literature for outdoor and indoor environments, respectively. Each method is useful only for indoor or outdoor environ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adopts a vision-based approach which can be commonly applicable to both environments. Since the distance or position cannot be extracted from a single still image, the reference images pro-stored in image database are used to identify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single still image captured by a single camera. The reference image is tagged with its captured position. To find the reference image which is the most similar to the current image, the SURF algorithm is used for feature extraction. The outliers in extracted features are discarded by using RANSAC algorithm.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for two buildings and their outsides for both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