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용자 검색목적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31초

사용자 검색 의도 추출을 위한 검색로그 분석 (Search Log Analysis for Extract User's Search Intention)

  • 지혜성;류기곤;임희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76-37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검색로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검색 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그 안에 내제되어 있는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찾고자 하였다. 분석은 질의어 110개에 대한 검색로그를 기반으로 검색 목적에 따라 Navigational, Informational, Transactional로 분류하였다. 또한, 질의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였으며 각 결과를 가지고 사용자 검색 의도가 내제되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질의어에 따른 검색 목적에 따라서 분포는 다르지만 검색 목적에 따른 검색 의도가 3가지 모두 내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Informational의 경우에는 질의어에 대한 서로 다른 정보가 나타났으며, 질의어 안에서 사용자의 검색 의도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용자 검색목적을 포함한 검색엔진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Search Engine Interface Design including User's Search Goal)

  • 진범석;지용구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304-309
    • /
    • 2008
  • 정보기술이 발달함으로써 우리 주변에 둘러싼 거의 모든 정보는 디지털 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정보에 대한 접근성(Accessibility)을 높여 정보화 시대를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무한의 정보 속에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별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뒤따르며, 어떠한 정보가 중요하고, 어떠한 정보가 중요하지 않은지 판단하기란 쉽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필요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검색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검색엔진의 필요성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검색목적과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간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검색엔진의 활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검색엔진의 사용편의성과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안 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의 검색목적 유형과 검색엔진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분류하고 서로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검색목적에 따라 각각의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 시에 중요한 인터페이스 속성을 파악하였으며, 인터페이스 속성과 중요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검색목적에 적합한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효과적인 광고 사용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검색엔진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며, 다양한 사용자층을 포함하여 궁극적으로 검색엔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사용자의 검색 목적을 포함한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Search Engine Interface Design including User's Search Goal)

  • 진범석;지용구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11-124
    • /
    • 2008
  • 정보기술이 발달함으로써 우리 주변에 둘러싼 거의 모든 정보는 디지털 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정보에 대한 접근성(Accessibility)을 높여 정보화 시대를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무한의 정보속에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선별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뒤따르며, 어떠한 정보가 중요하고, 어떠한 정보가 중요하지 않은지 판단하기란 쉽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필요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검색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검색엔진의 필요성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검색목적과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검색엔진의 활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검색엔진의 사용편의성과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중요 속성 제시하고자 한다. 즉, 사용자의 검색목적을 고려하여 검색엔진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활용될 수있는 가이드 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들의 검색목적 유형과 검색엔진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분류하고, 서로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중요 인터페이스 속성은 사용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며, 다양한 사용자층을 포함하여 궁극적으로 검색엔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목적을 가진 게임을 이용한 사용자의 검색 의도 자동 획득 시스템 설계 (The automatic acquisition system design of the user's searching intention using Game With A Purpose(GWAP))

  • 양영욱;임희석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810-812
    • /
    • 2009
  •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그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검색 기술들이 개발 되었다. 현대 검색 기술은 단순 텍스트 매칭 기반으로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는 정보까지 검색하는 경우가 많아서, 실제로 원하는 정보를 찾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 이런 단점들을 극복하고자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고려한 검색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검색 의도를 획득하는 방법에는 자동적인 방법과 수동적인 방법, 그리고 반자동적인 방법이 있다. 자동적인 방법은 사람이 아닌 컴퓨터를 통해서 획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를 완벽히 반영하는 것이 어렵다. 수동적인 방법은 사람이 직접 참여하여 작성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할 수 있지만,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반자동적인 방법은 위의 두 가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자동적인 방법인 목적을 가진 게임을 이용한 사용자의 검색 의도 획득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 후에 시스템에서 도입한 Game With A Purpose(GWAP)의 개념과 시스템의 구성, 그리고 발전방향 및 결론을 논의한다.

  • PDF

인터넷 정보검색 서비스를 위한 다중 에이전트 환경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agent Environment for Internet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

  • 박민식;최진석;김영관;김진혁;권혁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9년도 제1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73-78
    • /
    • 1999
  • 최근 인터넷에서 접근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급속히 증대함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도와 목적에 따라 개인화 또는 전문화된 검색기능을 제공하여 기존 인터넷 검색엔진의 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터넷 검색에이전트가 연구되고 있다. 현재 개발하고 있는 인터넷 검색 에이전트는 다양한 목적에서 개발한 인터넷 검색엔진의 검색 결과에 부가가치를 더하는(value-added) 접근 방법을 따른다. 하지만 이 방법은 검색엔진의 재현율이 떨어지면 문제영역 지식이나 사용자의 선호도를 이용해도 정확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검색엔진의 재현율과 정확도를 동시에 높이면서 효과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기존 검색엔진을 모듈화하여 효율적인 분산 및 다중처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문제영역 지식이나 사용자 선호도가 검색결과에 반영되도록 해야한다. 이 논문에서는 부산대학교의 인터넷 검색엔진인 미리내 시스템을 에이전트 기반 시스템으로 변환하고, 분산, 다중 처리 및 실시간 검색이 가능한 검색에이전트 환경을 구축하였다.

  • PDF

지능형 프록시 서버를 이용한 웹검색시간 개선 (Improvement of Web-surfing Respose Time using Intelligent Proxy Server)

  • 권영미;이극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89-393
    • /
    • 1998
  • 프록시(proxy)는 보안과 캐쉬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서버이다. 에이전트는 사용자를 대신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자동적으로 해결해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에이전트의 인터넷 관련한 대표적 응용으로는 인터넷 정보검색과 온라인 전자상거래를 들 수 있다. 인터넷 정보검색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주제를 받아 계속적으로 새로운 웹 사이트를 찾아다니며 정보를 찾아주는 기능이다. 온라인 전자상거래는 사용자가 원하는 물품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주는 기능이다. 에이전트는 지능(intelligence)를 가지면서 사용자의 취향을 추출하고 이를 학습해 나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에이전트의 기능과 프록시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갖되 사용자 특성 파악을 단순한 정도로만 하여 요구가 예상되는 문서들을 미리 가지고 옴으로써 사용자의 웹정보검색(web surfing)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지능형 프록시 서버(Intelligent Proxy Server)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가공하여 제공함으로써 검색대기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게 한다.

  • PDF

특화된 정보에 대한 Tag 기반 연속정보검색 시스템 (A Continuous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Based-on Tag for Specialized Data)

  • 이기은;박영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74-1477
    • /
    • 2011
  • 정보화 사회에 접어 들면서 정보를 판별하는 능력이 중요시 되고 있다. 그러나 정보가 점점 이질적이고 방대해 짐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와 목적에 맞는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이 어렵다. 정보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외 포털 사이트에서는 랭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랭킹보다 더 중요한 것 정보를 압축시켜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메인을 제한하여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 위주의 더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친구추가 기능을 제안한다. 동시에 주 검색 기능으로 사용자가 등록한 태그 링크를 따라 클릭하면서 연속적으로 정보 검색을 할 수 있는 연속정보검색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시스템을 실제 웹 사이트를 구현을 통해 나타낸다. 제안한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대효과가 있다.

기계학습을 이용한 동영상 서비스의 검색 편의성 향상 (Machine Learning Assisted Information Search in Streaming Video)

  • 임연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361-367
    • /
    • 2021
  •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정보 검색은 전통적인 정보 검색 서비스를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동영상 안에서 원하는 세부적인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여러 부분을 반복해서 탐색하며 시간과 네트워크 대역폭을 낭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클러스터링과 LSTM을 이용하여 이러한 사용자의 동영상 내 정보 검색을 보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정보 검색을 위한 탐색 지점 순서와 DBSCAN이 범주화한 최종 목적 지점 범주를 이용하여 LSTM 모델을 학습하고, 이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검색을 시작할 때 선택한 탐색 지점 순서에 기반을 둔 사용자의 예상 목적 지점 범주를 제시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 지점을 평균적으로 98%의 정확도와 7초의 시간 오차로 찾아내는 것을 보였다.

웹정보콘텐츠리뷰 / 국내 뉴스 3사의 사이트의 비교 분석

  • 김한용
    • 디지털콘텐츠
    • /
    • 1호통권140호
    • /
    • pp.57-61
    • /
    • 2005
  • 최근에는 포털들이 대체로 모든 서비스를 집적해 서비스하고 있어 각 사이트만의 색깔을 쉽게 구분하기 어렵게 됐지만, 얼마 전만해도 포털들은 검색 포털, 메일 포털, 커뮤니티 포털등으로 세분화 돼 각각의 사업 영역을 확고히 해왔다. 이러한 기능 중심의 웹사이트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즉각적인 반응을 일으켰다. 이러한 기능 중심의 웹사이트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즉각적인 반응을 불러 일으켰다. 그동안 커뮤니티 서비스가 인기를 모으면 싸이월드, 다모임, 이이러브스쿨 등의 커뮤니티 포털이 사이트의 우위를 차지했고, 검색이 인기를 모으면 네이버나 야후가 떠오르는 등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상당한 기복을 보여왔다. 또한 인터넷이 특별한 목적을 갖고 접속하는 시절과는 달리, 최근에는 특별한 목적없이도 TV나 라디오를 켜듯 자연스럽게 인터넷에 접속하는 시대에 이르렀다.

  • PDF

협력적 여과 시스템을 위한 효과적인 사용자 군집 알고리즘 (Effective User Clustering Algorithm for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 고수정;임기욱;이정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8B권2호
    • /
    • pp.144-154
    • /
    • 2001
  • 협력적 여과 시스템은 사용자가 검색하고 읽었던 웹문서를 기반으로 사용자 군집을 생성하여 웹문서의 정확한 추천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설계된 다양한 알고리즘이 있으나 속도가 느리거나 정확도가 낮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협력적 여과 시스템을 위한 효과적인 사용자 군집 알고리즘인 CUG알고리즘은 사용자 군집을 생성하기 위해 Apriori 알고리즘, Native Bayes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Apriori 알고리즘은 연관 단어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고, Native Bayes 알고리즘은 구축된 연관 단어 지식 베이스에 가중치를 추가하며, 사용자가 검색하여 읽은 웹문서를 클래스별로 분류한다. CUG 알고리즘은 분류된 웹문서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 군집을 만든다. 이러한 방법으로 설계된 CUG 알고리즘은 사용자들이 사용할 문서를 미리 검색하여 저장함에 의해 정보검색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CUG 알고리즘의 선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의 K-means 방법과 Gibbs샘플링 방법에 의한 군집과 비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