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용자평가

Search Result 4,592, Processing Time 0.072 seconds

A Music Recommendation System Suitable to the Individual Taste (개인 취향에 맞는 음악 선곡 시스템)

  • 조용성;강은영;손영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435-438
    • /
    • 2002
  • 본 논문은 웹 상에서 음악을 듣는 사용자의 음악 취향을 평가 한 후, 취향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초기 음악 취향 평가 단계에서는 평가 요소인 장르, 가수, 최신곡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와 평가 요소에 대한 실험을 통해 얻은 중요도를 이용하여 퍼지측도.적분을 수행한다. 수행 결과 값이 높은 음악의 평가 요소에 의해 인터페이스를 추천하고, 추천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곡 수와 들은 시간으로 퍼지 추론을 통해 인터페이스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한다. 평가된 만족도에 의해 중요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을 제안한다.

A preliminary study of sound quality evaluation of cochlear implant users (인공와우 사용자의 심리음향적 음질평가 예비연구)

  • Bahng, Junghwa;Oh, Soo Hee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1 no.1
    • /
    • pp.45-51
    • /
    • 2022
  • Sound quality evaluation is one of the psychoacoustic methods to measure subjective judgements for sound col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und quality benefits of bimodal users by comparing sound quality scores between bimodal hearing condition and unilateral cochlear implant(CI) condition as a preliminary study. Thirteen bimodal users and seven unilateral CI us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udiologists performed pure tone and speech audiometry and measured functional gain and real-ear insertion gain. Subjective assessment of sound quality was followed with four sounds including violin sound, male and female voices, and refrigerator noise. Participants judged the sound quality with six sound quality index. Bimodal users showed mean 0.8 points more sound quality improvements in bimodal condition than unilateral CI condition. Group comparison between bimodal and unilateral CI users showed no differences. A follow-up study of sound quality tools an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to evaluate subjective bimodal benefits of cochlear implant users.

Evaluating Method of User's Satisfaction for the Service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동작하는 서비스의 사용자 만족도 평가 방법)

  • Lee, Keon-Soo;Kim, Mi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340-343
    • /
    • 2008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는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대상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이때, 수행되는 서비스는 사용자로부터 명시적인 요청을 받아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서비스가 사용자가 정말 원하는 서비스인가를 판단하는 것은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 평가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서비스 수행을 보장하기 위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OCC 감정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계산하고, 이 결과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와 서비스의 수행 조건을 일치시킨다. 만족도 계산 작업의 자동화를 통해 서비스의 수행 조건은 사용자의 의도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 가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스템에 대한 하위수준의 조정 작업 없이 자신의 행동 변화만으로 서비스의 실행 조건을 변경시킬 수 있다.

  • PDF

Learning User Profile with Reinforcement Learning (강화학습 기반 사용자 프로파일 학습)

  • 김영란;한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325-327
    • /
    • 2002
  • 정보검색 태스크에서 사용자 모델링의 목적은 관련정보 검색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하여 사용자의 관심도 또는 필요정보의 모델을 학습하는 것으로 시간적인 속성(temporal characteristics)을 가지며 관심 이동을 적절하게 반영하여야 한다. 강화학습은 정답이 주어지지 않고 사용자의 평가만이 수치적으로 주어지는 환경에서 평가를 최대화 한다는 목표를 가지므로 사용자 프로파일 학습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문서에 대해 행하는 일련의 행위를 평가값으로 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용어를 추출한 후, 사용자 프로파일을 강화학습 알고리즘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선호도에 적응하는 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역 최대값들을 피할 수 있고, 가장 좋은 장기간 최적정책에 수렴하는 R-Learning을 적용한다. R-learning은 할인된 보상값의 최적화보다 평균 보상값을 최적화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사용자 모델링에 적합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of Connected Car Service User Experience (커넥티드 카 서비스의 사용자경험 평가방안 연구)

  • Cho, Y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305-30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의 사용자경험 디자인을 위한 평가 요인을 제안한다. 모바일 및 IoT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통한 다양한 디지털서비스 제공 플랫폼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플랫폼 개발을 위한 기술적 연구는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실재 서비스 소비의 주체인 사용자 관점에서의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경쟁이 가속화 될수록 커넥티드 카 구현 기술은 평중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결국 커넥티드 카 서비스의 핵심 쟁점은 주행 중 서비스 사용자의 긍정적 경험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커넥티드 카에서 제공되는 기능과 이에 따른 주요 서비스 요인들을 살펴보고 자동차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경험 요인을 도출하여 둘의 상관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등장할 차세대 커넥티드 카 서비스 및 플랫폼의 사용자 경험평가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e-Navigation 사용성 평가 기법 개발

  • Jang, Jun-Hyeok;O, Seung-Bin;Park, Jin-Hyeong;Kim, H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26-328
    • /
    • 2013
  • IMO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e-navigation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서비스와 기술의 아키텍쳐를 수립하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사용자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현재의 상황과 요구사항 간의 운영적, 기술적, 규정적, 교육훈련 측면에서 격차를 식별하여 인간공학적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e-navigation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환경 구축을 위해 관련 장비들에 대해 사용자 입장에서의 평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해장비의 사용성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Personalized web searching with Reinforcement Learning (강화학습을 사용한 개인화된 웹 검색)

  • 이승준;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1.12a
    • /
    • pp.259-26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춰 특정 웹 문서를 탐색하는 개인화된 웹 검색기의 구현을 다룬다. 사용자의 취향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평가와 사용자의 검색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간접적인 평가를 사용한 강화 학습을 사용하여 학습된다. 웹 문서의 검색은 사용자의 취향과 현재 문서와의 관련 도를 보상으로 사용한 강화 학습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 PDF

A Study of User Oriented Web Interface Design and Appraisement (사용자 중심의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송승헌;기우서;김응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478-480
    • /
    • 2001
  • 웹사이트의 폭발적 증가는 여러 계층의 사용자들에게 기존 미디어의 정보 유통체계에 대한 급작스런 변화를 가져왔다. 단순한 지사의 홍보사이트뿐만 아니라 사이버커뮤니티와 전자상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매체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여러 가지 웹사이트들의 성공 여부는 웹페이지를 통한 많은 사용자의 확보와 지속적인 방문의 유도를 통해 결정된다. 성공적인 웹사이트의 구축에는 다양하고 변화하는 사용자 계층에 적합한 웹 인터페이스의 디자인과 평가에 달려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사용자 중심의 웹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고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적 요소를 기술하고 제안한다.

  • PDF

Remote Video Evaludation System Using Scene Change Detection and User Profile (장면전환검출과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한 원격 비디오 학습 평가 시스템)

  • J.H, Lim;N-Y, Kook;S.Y, Kwag;Y.W,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787-790
    • /
    • 2003
  • 전통적인 원격 평가 시스템들은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성향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하고 획일적이라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돈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비디오를 통한 평가를 위하여 장면전환검출과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한 원격 비디오 평가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비디오 문제 출제를 위한 장면 전환 검출을 통하여 키 프레임과 문제 출제 구간을 추출한다. 문제 출제 방법은 평가에 사용자 프로파일의 적용을 위하여 카테고리 기반 시스템과 키워드 기반 시스템을 합성한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하여 학생들은 자신의 부족한 영역을 보충하고 관심 영역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한 본 시스템은 사용자의 문제 풀이 결과에 따라 영역별 문제 수를 조절하고 평가의 질과 효율성을 최대화시킨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Analysis based on the Commercial Benchmarks at User Aspect (사용자 측면에서 상용 벤치마크에 의한 컴퓨터 성능 비교)

  • Jeong, Munseong;Chang,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22-25
    • /
    • 2018
  • 상용 벤치마크에 의한 PC 의 성능 평가는 다양한 측면의 성능 분석이 가능하지만 모든 벤치마크들이 동일한 성능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성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벤치마크들은 각자의 특성에 따라서 사용자의 응용 프로그램의 활용 측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측면에서 서로 다른 방법으로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컴퓨터의 성능으로 도출하도록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측면에서 성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인 SYSmark 2014 와 PCMark 8, 그리고 Passmark PerformanceTest 9 를 서로 다른 CPU 사양을 가지는 PC 들에 대하여 실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하드웨어 측면에서의 성능 평가 결과와 사용자 측면에서의 성능 평가 결과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벤치마크별로 성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 SYSmark 2014 와 PCMark 8 은 CPU 사양에 따른 하드웨어 구성요소 측면에서의 변화에 대한 Passmark PerformanceTest 9 결과치의 차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성능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벤치마크 결과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사용자 측면에서의 성능이 하드웨어 측면에서의 성능 차이에 반드시 비례하는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분석적으로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