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용자만족도

Search Result 1,11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지식검색서비스 사용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Chae, Gyeong-Seop;Jeong, In-Geu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29-236
    • /
    • 2007
  • 지식검색서비스의 사용자들이 많아지면서 정보를 획득하고 전파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고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단순히 사용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개인이 느끼는 자신의 컴퓨터 활용능력에 따라 지식검색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상이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만족도에 정보 품질과 서비스 품질, 재미, 웹 사이트 신뢰도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절 변수로 사용한 자기 효능감은 서비스 품질에 대해서만 조절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기 효능감은 정보품질과 재미, 웹 사이트 신뢰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앞으로 지식검색서비스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들이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사용자들을 유인할 수 있는 컨텐츠의 개발에 도움이 되고 사용자들의 손쉬운 정보 공유와 활용에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 PDF

Can users' important usability factor bring users' satisfaction?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성 요소의 충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Baik, So-Yeon;Jin, Beom-Suk;Ji, Yong-G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917-925
    • /
    • 2009
  • 본 연구는 실제 사용자 언어로서의 사용성 평가를 시도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기존의 획일화 된 잣대로서의 평가가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성 요소가 충족되었을 때의 지각되는 사용성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제품 및 서비스의 인터페이스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용성 요소가 다를 것이라고 가정한 뒤, 그 사용성 요소의 충족여부에 따라서 사용자의 주관적인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 연구문제를 위하여 혁신 수용의 사용자 유형 별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용성 요소를 추출하였다. 조기사용자는 사용성 요소 중 Affect의 사용성 요소를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하였으며 후기사용자는 사용성 요소 중 Productivity의 사용성 요소를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이후 각각의 사용자 유형에 중요평가된 사용성 요소가 충족되거나 충족되지 않은 프로토타입을 제시한 뒤, 사용 경험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각 사용자 유형 내에서의 만족도는 충족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각 사용자 유형 간의 만족도는 충족여부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성평가를 평가자의 언어가 아닌 사용자의 언어로 측정하는 새로운 평가방식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사용자 유형 별 중요하게 기대하는 사용성 요소의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제품 및 서비스의 인터페이스의 개발에 있어 사용자 군 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속성들의 판단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PDF

Evaluating Method of User's Satisfaction for the Service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동작하는 서비스의 사용자 만족도 평가 방법)

  • Lee, Keon-Soo;Kim, Mi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340-343
    • /
    • 2008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서비스는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대상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이때, 수행되는 서비스는 사용자로부터 명시적인 요청을 받아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서비스가 사용자가 정말 원하는 서비스인가를 판단하는 것은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 평가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서비스 수행을 보장하기 위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OCC 감정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를 계산하고, 이 결과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와 서비스의 수행 조건을 일치시킨다. 만족도 계산 작업의 자동화를 통해 서비스의 수행 조건은 사용자의 의도 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 가능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스템에 대한 하위수준의 조정 작업 없이 자신의 행동 변화만으로 서비스의 실행 조건을 변경시킬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a Kansei Analysis System on the Physical User Interface (사용자 만족도개선을 위한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조작감성 평가체계 수립방안)

  • Oh, Jin-Wook;Park, Jong-Hyun;Jo, Jang-Hyeon;Lee, Cheol;Yun, Myung-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194-1200
    • /
    • 2006
  • 사용자-제품 상호작용(User-product interaction)의 관점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는 제품의 사용편의성(Usability)과 감성품질에 의해서 결정된다. 특히, 물리적으로 사용자와 제품의 기능을 연결하는 PUI(Physical User Interface)의 감성품질은 시각뿐 아니라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문헌조사에 의하면, 사용자의 감성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품의 시각적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촉감, 동작감, 청감 등의 감성품질에 관련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품의 전체적인 감성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제품과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PUI의 전반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User Satisfaction)의 정량적인 평가가 필수적이며, PUI의 감성품질을 구성하는 시각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조작장치를 잡는 느낌, 조작장치가 움직일 때의 동작감, 조작장치 작동 시의 청감 등 사용자와 조작장치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전반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UI의 구성요소 중 동적인 조작장치의 촉감, 동작감, 청감에 대하여 문헌 조사를 통해 조작 장치의 감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였고, 감성의 요소를 중복 설명하지 않는 상호독립적인 의미를 가진 감성 형용사를 수집하고 분류한 후, 추출한 형용사를 기초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사용자들의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 기법을 사용하여, 조작장치의 전체적인 사용자 만족도와 촉감, 동작감, 청감 간의 상관관계 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공학 전문가와 제품설계 전문가로 이루어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잡는 느낌, 동작감, 청감과 관련된 조작장치의 적절한 설계 변수를 결정한 후 설계값을 측정하였으며 감성 만족도와 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감성품질 요소의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실제 산업현장에서 제품개발자들이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품 설계요소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고, 감성품질을 결정하는 설계특성값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User Satisfaction by Letters Input UI of cellular Phone (휴대전화기의 문자 입력 UI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 조사)

  • 권영경;문남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798-801
    • /
    • 2004
  • 본 연구는 휴대전화기의 문자메시지 전송UI가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의 문자메시지 전송UI은 한글, 영문, 숫자, 특수문자, 기능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연구결과 사용자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한글 모음 입력임이 입증되었다. 가장 만족도가 높은 모음 입력방식은 점과 선을 이용하여 모음을 조합하는 방식이며, 짧은 동선과 그로 인한 입력시간 단축이 주요인이었다. 조사방법은 사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사용하였고, 연구 방식은 문장을 입력할 때의 각 휴대전화 문자입력 UI의 동선과 버튼을 누르는 횟수를 비교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e-learning 사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사이트를 중심으로)

  • Park, Seong-Taek;Lee, Seung-Jun;Kim, Yeong-Gi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443-449
    • /
    • 2006
  • 인터넷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은 비즈니스를 변화시켰고, 교육산업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또한 교육환경과 방법 등에 대하여 다양한 변혁을 가져오고 있다. e-Learning으로 대변되는 교육의 변화는 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다양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e-Learning은 현재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을 하여 확산시키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중고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사이트의 교육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e-Learning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조사하여서 사용자 만족도를 항상 시킬 수 있는 양질의 컨텐츠를 설계하고 개발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 PDF

Finding Correlated Keyword b Analyzing User's Implicit Feedback (사용자 선호도 분석을 통한 검색어 조합 추출)

  • Chul-Woo Shim;Eun Ju Lee;Ung-M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229-232
    • /
    • 2008
  • 웹 정보량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원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는 검색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검색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검색 질의어와 함께 사용자의 환경, 검색 만족도와 같은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다. 사용자의 명시적 피드백을 요구하는 것은 거부감을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잠재적 피드백과 연관 검색어 분석을 통해 검색 질의어를 확장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색어 확장과 검색 정확성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이 없어 연관 검색어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검색 질의어를 변경하면서 검색을 반복하는 과정을 사용자의 잠재적 피드백의 하나로 보고 사용자 만족도를 반영하는 페이지 방문 시간과 함께 분석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된 검색어가 검색 결과 순위와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우스 클릭 정보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의 검색 만족도를 정량화하였고 특정 주제어에서 관련 검색어가 확장되어 가는 과정은 트리 구조로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하나의 주제어와 관련해 연속적으로 입력된 검색어 집합으로부터 연관검색어를 추출하고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안된 트리 구조를 다양한 방향으로 분석하여 검색어, 검색 결과, 사용자 만족도, 배경 지식 등 단순 검색어 분석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웹 기반 추천시스템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추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Choe, Jae-Won;Lee, Hong-J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585-590
    • /
    • 2007
  • 기업과 소비자간 일대일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상거래의 기술적 발달을 통해 소비자에게 더 나은 웹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개인화 추천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추천을 받을 사용자와 유사한 다른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반영하는 협업 필터링 기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많은 사이트들이 추천을 받은 사용자에게 유사한 사용자들을 보여주어 사회망 연결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개인화 추천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품을 추천하기 위해서, 사회적 실재감(Social Presence)이 추천시스템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사회망(Social Network) 데이터의 제시를 통해 다양한 차원의 사회적 실재감과 추천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및 신뢰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을 나누어 세 가지 차원의 사회적 실재감을 부여하고, 집단간의 추천 시스템에 대한 신뢰와 만족도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Performance: With Focus on the MOFE (지식관리시스템 사용자 만족도와 성과에 관한 연구: 재정경제부를 중심으로)

  • Lee, Hong-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5 no.4
    • /
    • pp.67-85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ser satisfa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KMS) and the influence of the user satisfaction on the performance, and to search the strategies for effective KMS operating.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al analyses indicate that the factors-knowledge quality and KMS qualit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user satisfaction. User satisfaction also significantly affects the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potential implications for the strategies of KMS implementing to improve the us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 Study of Plans to Enhance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사이버가정학습 사용자 만족도 향상 방안 연구)

  • Koo, Duk-Ho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3 no.3
    • /
    • pp.281-290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rvey user status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to find the plans to enhance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ultimately. For this, onlin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7,911 students in cyber home learning system under the Office of Education in D region and 582 teachers that participate on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Based on this, the plans to enhance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was induc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