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업수행자

Search Result 70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Systems Engineering Educational Materials for Stakeholders of the Light Rail Transit Project (경량전철사업 이해관계자를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SE) 교육교재 개발 및 그 활용에 관한 연구)

  • Choi, Yo Chul;Lee, Seok Jeong;Heo, Jae 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ystems Engineering
    • /
    • v.11 no.2
    • /
    • pp.107-113
    • /
    • 2015
  •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경량전철시스템 건설 및 운영을 위해 시스템엔지니어링(SE) 기술의 적용은 필수적인 활동이 되었다. 이에 따라 사업수행과정에서 다양한 요구사항과 위험요소를 적기에 식별하고 조치하는 시스템엔지니어링 인력의 전문성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량전철 시스템엔지니어링 사업과 관련된 이해관계자들(획득자 및 공급자, 그리고 협력업체 등)을 위한 SE 교육교재를 개발하여 사업수행 전 및 수행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교재는 일반(공통)과정, 수행자(실무자)과정, 심화수행자(관리자)과정)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이는 경량전철사업의 성공과 우수한 성과 창출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업관리 절차서 개선 효율화 방안

  • Yun, Jae-Ho
    •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4 no.4 s.16
    • /
    • pp.58-64
    • /
    • 2003
  • 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사업관리운영 절차서는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일부 대형 공공 사업을 제외하고 프로젝트의 특성에 맞는 절차서를 개발하여 적용한 예는 드물다. 이러한 점을고려하여 현재 공사가 진행죽인 대표적인 국내민간자본 SOC사업을 표본으로 삼아 절차서의 활용현황을 검토분석하고 그에 따른 효율화 방안을 구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서 사업수행주체인 발주자, 사업관리자, 감리자, 설계자, 시공계약자 등을 대상으로 현재 보유/사용하고 있는 절차서에 대한 이해도, 사업관리지식체별 업무절차에 대한 이해도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건설사업관리수행상 업무수행절차의 전반적인 이행실태를 점검하여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서 향후 사업관리운영절차서의 체계적인 개발을 위한 추진방향을 설정하고 사업관리전반에 대한 인식제고와 효율적인 사업관리체계의 적용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A Study of the Integrated Cost Audit Model for the efficiency of IT project risk management with risk analyzing and using the function point in the IT project risk (사업위험 분석과 기능점수를 통한 사업원가 산정 및 정보시스템 감리점검모델 연구)

  • Yoon, Seong-Jeong;Han, Ki-Jun;Kim, Dong-Su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176-180
    • /
    • 2009
  • 현재 우리나라 SI(Service Integration)에서 사업발주자 및 수행자는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산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업발주자는 관례적인 사업비 산정으로 일관하고, 사업수행자는 근거없이 받아들이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감리 수행 시 사업비산정근거를 점검할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비용관리 위험 및 파생위험들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사업비 산정과 위험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과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 Deduction of Key Work for Service Guide of Construction Managerin Construction Project (건설사업관리(CM) 현장 참여자의 업무지침을 위한 핵심업무 도출)

  • Song, Sul-Min;Seo, Jin-Hyun;Lee, Chang-Hee;Kim, Yes-Sang;Cho, Hun-Hee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4
    • /
    • pp.11-20
    • /
    • 2011
  • Recently, the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of domestic construction environment has being extended because that is an effective means to supplement owner's management and improve a total management of construction. But existing CM service guide is staying simply defined level about a work scope and procedure. So the standard CM guide needs to set a detailed plan of the project. Therefore, the key works were deducted by doing survey after the main work of CM service based on CM case studies and an existing CM service guide. That is expected to use CM contract and do service.

A Study on the Determining Factors For Assessment Criteria of Project Performance Capability of CM(Construction Management) Considering Safety (안전을 고려한 건설사업관리용역업자(CM) 사업수행능력 평가기준 요인 도출 연구)

  • Kim, Do-Su;Kim, Baek-Joong;Shin, Yoon-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9 no.6
    • /
    • pp.557-566
    • /
    • 2019
  •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the most safety accidents of any of the domestic industries. Special care must be taken because disast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lead to social problems caused by huge property losses and casualties.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of disasters occurr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government departments are tightening their regulations on safety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OSH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focuses on the expansion of protection targets and the clarification of responsibility in the full amendment OSHA. As a result, a study that focuses on the client's responsibility for safety management is needed. In this study, the project performance capability assessment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contractors, which is being carried out with uniform assessment criteria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ject, is considered and all the amendments to the OSHA are considered, and the factors were derived for improvement measures.

Constitution of Work Process for Apartment Renovation Project in Design Phase (공동주택 리모델링 설계단계에서의 사업수행 프로세스 구축)

  • Kwon, Won;Chun, Jae-Youl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8 no.4
    • /
    • pp.167-175
    • /
    • 2007
  • A renovation project of apartment housing is generally divided into four stages: Project inquiry stage, planning and feasibility stage, design stage and construction stage. Currently, procedure and managerial technique for a remodeling project has not been systematically established so that many companies have difficulty in doing their business. In particular, the design stage in participant which a project managers, designers, residents and engineers is more complicate than the other stages in terms of roles and working procedure. The design documents can be found trial and error if it is not well managed. The insufficient design caused by lack of ability to efficiently utilize information obtained during the stage and inappropriate decision-making not only results in diverse problems in the construction stage but also makes people suspect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on the remodeling improvements. Therefore the design stage is very significant issue on the renovation project. As the consequence, the design stage of a remodeling project is so important that it should be carefully managed, and composit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to be executed. To do this, we provide roles and responsibility of each participant in the design stage and analyze the process where information is utilized in design stage. The information is analyzed in terms of input, tool and output.

A Study on Evaluation of Construction Project Owner's Organizational Competency (건설사업 발주자 조직 역량 평가에 관한 연구)

  • Lee, Si-Wook;Woo, Sung-Kwon;Kim, Ok-K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0 no.1
    • /
    • pp.146-155
    • /
    • 2009
  •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uccess or failure depends on the capability and role of the project owner's organization, which has an effect on the peoples' lives and national finance because of a lot of involvement from the project owner.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project owner has the sufficient capability for the success of relevant industry and the further development of whole industry. Therefore, at the viewpoint of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systematic and in-depth research that defines and evaluates the capability of the project owner's organization is necessary. As-Is and To-Be competency can be measured by the individual areas and elements through the survey. By evaluating these capabilities simultaneously, it is possible to assume not only the project owner's organizational competency but also constant other capabilities. It is become to make plans for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and to establish the strategy, by catching which capabilities are really necessary. It will result in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capabilities of the project owner's organizational competency.

연안 중소형 선박 안전운행시스템 실증사업 효과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 Kim, Bo-Na;Gang, Won-Sik;Kim, Yeong-D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33-234
    • /
    • 2019
  • 인천시는 최근 해양재난 및 선박사고 해결을 위해 연안 중소형 안전운행 시스템 실증사업을 기획·추진하고 있으며 실증사업을 통해 선박충돌경고 등 4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사업 관련 정책 결정 및 사업예산 근거 확보 등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서비스 효과평가를 통해 사업이 사전에 설정한 목표를 충분히 달성했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필요시 추가적인 보완조치 등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평가 정의, 과정, 체계 및 모형 등 효과평가 관련 이론적 접근을 수행하였다. 또한 관련 선행연구와 효과평가 사례분석 등을 통해 효과평가 모델(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 관계자 및 서비스 체험자 등의 의견과 서비스로 인해 생성되는 Data 분석 등을 통해 효과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사업에 적용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해양사고 예방 등 사업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novating Software Acquisition and Pricing: Improved Process and Technique (정보화 사업 가격책정 방식 혁신에 대한 고찰)

  • Yu, David Jae-Hoon;Hwang, In-S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85-492
    • /
    • 2007
  • 정보화 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Risk)은 다양하다. 정보화 사업 관련 위험 요인 중 가장 대표적이고 보편적인 것은 발주 및 제안단계에서 발주자가 가진 요구사항의 불명확을 꼽을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정보화 사업 수행 도중 요구범위 증가와 변경, 그리고 사업원가 구조의 악성화가 발생하게 됨은 자명하다. 그러나 안타까운 현실은 그 동안 우리나라 정보화 사업의 관행이 요구사항 불명확이라는 잠재적 위험 아래에서도 발주자와 사업자 간의 계약이 보호장치가 미흡한 확정가(firm fixed price) 방식으로 수립되어 왔다는 것이다. 확정가로 계약이 수립될 경우 사업자는 발주자의 요구사항 불명확으로 인해 파생된 원가 위험까지 불합리하게 책임져야 하는 고리에 묶이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하는 한가지 방법은 발주자와 사업자간의 정보화 사업 획득 절차를 혁신하는 것인데, 본 논문은 이를 위해 가칭, 한국형 정보화 산업 활성화 획득 절차(KIPAP: Korea If Proliferation Acquisition Process)의 기본 개념을 고안하여 소개한다. 이 획득 절차는 정보화 사업이 내재하고 있는 요구사항의 불확실성을 계량화, 가시화하여, 그 정도에 따라 차등화된 계약방식의 선정방법 을 제시한다.

  • PDF

Study on the daily schedule after works analysis of process (건설공사의 사업 분석에 따른 일정계획)

  • Chun, Jin-Ku;Lim, Jong-Ah;Park, Young-Dae;Kim, Bye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418-421
    • /
    • 2006
  • 오늘날의 건설사업 환경은 차별화 ${\cdot}$ 정보화 ${\cdot}$ 특성화 ${\cdot}$ R&D등 지식과 기술 및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창조적 결과물 생산으로의 요구를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은 건설 사업을 수행하는 기술자 집단에게 사업수행의 미래 가치적 최적화를 위해 기획과 계획에서부터 시공과 유지관리 및 장기 지속가능성까지 보장하는 생애주기차원의 사업수행을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업의 타당성 분석에서부터 실시간 정보처리와 가치창조를 위한 사업수행 계획이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 사업일정계획에서 적용하고 있거나 적용할 필요성이 있는 사업단계와 단계별 업무영역을 구분하고, 정보화 운영관리 방안을 분석함으로서 국내 건설 환경에 적합하고 신뢰성을 보장 할 수 있는 일정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