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업발굴

Search Result 40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자판기 사업 유망 아이템을 찾아라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Vending industry
    • /
    • v.4 no.3 s.11
    • /
    • pp.42-47
    • /
    • 2004
  • '뚜렷한 사업 아이템이 없다.' '아이템이 고갈된 것은 아닌가?' 최근 자판기 산업의 부진을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 사업아이템 부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과거보다 새로운 아이템의 발굴과 상품화에 대한 업체들의 의지가 크게 꺽여, 시장 활성화를 주도할만한 뚜렷한 신제품이 많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 있다. 침체에 빠진 산업에 활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아이템에 대한 투자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하는 게 가장 시급한 과제이다. 큰 변화 없이 기존 제품 위주로 자판기 산업의 무한한 가능성을 묶고 있을 시점이 결코 아니다. 금호 기획특집에서는 자판기 산업의 아이템 다변화 동향이 부진한 이유를 규명해보고, 신시장 활성화를 주도할 만한 아이템 개발의 묘책은 과연 어디에 있는 지를 살펴봤다.

  • PDF

부가통신협의회 발족

  • Kim, Chun-Seok
    • 정보화사회
    • /
    • s.123
    • /
    • pp.65-69
    • /
    • 1998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는 15대 대선공약사항을 효율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산.학.연.관 등 각계의 의견교환 및 의견수렴의 장을 마련하여 국민 누구나 저렴한 비용으로 PC통신 및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도록 통신사업자들의 자율경쟁을 통해 PC통신이나 인터넷 요금인하를 유도하는 한편, 민간의 활력과 창의성의 유입을 통해 부가통신사업의 현안 과제를 적극 발굴.개선하는 등 종합적인 부가통신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지난 3. 31일 첫 모임을 갖고 “부가통신사업협의회”를 발족하는 등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 PDF

정부출연연구기관 주요사업 연구기획 강화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메타분석연구

  • Le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393-407
    • /
    • 2017
  • 최근 정부 R&D 방향을 보면 정부출연연의 역할은 중장기, 대규모 신규사업발굴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출연연 자체적으로 연구기획에 많은 투자와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출연연 주요사업 연구개발계획서에 철저한 준비가 되어야 함에도 기획 전문지식이 체계적으로 축적되지 않았으며 연구기획에 대한 좋은 본보기를 요구하는 연구자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져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논리적이고 심도있는 검토를 거치는 사전평가 과정인 국가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 사업을 본보기로 제안하며 주요사업 기획에 도움이 되는 평가항목들과 내용을 메타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ISTEP에서 공개한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의 평가항목들 중에서 출연연 주요사업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적 타당성 평가항목들을 선별한다. 그리고, 선별된 평가항목들끼리의 내용분석을 통해 사업 타당성에 대한 지적사항을 항목별로 정리하여 시사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주요사업 대규모, 중장기 연구기획 시 실무적으로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

  • PDF

Review of the Korean Indigenous Species Investigation Project (2006-2020)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한반도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사업 고찰(2006~2020))

  • Bae, Yeon Jae;Cho, Kijong;Min, Gi-Sik;Kim, Byung-Jik;Hyun, Jin-Oh;Lee, Jin Hwan;Lee, Hyang Burm;Yoon, Jung-Hoon;Hwang, Jeong Mi;Yum, Jin Hw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9 no.1
    • /
    • pp.119-135
    • /
    • 2021
  • Korea has stepped up efforts to investigate and catalog its flora and fauna to conserve the biodivers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ecure biological resources since the ratification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in 1992 and the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BS) in 2010. Thus, after its establishment in 2007,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initiated a project called the Korean Indigenous Species Investigation Project to investigate indigenous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For 15 years since its beginning in 2006, this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in five phases, Phase 1 from 2006-2008, Phase 2 from 2009-2011, Phase 3 from 2012-2014, Phase 4 from 2015-2017, and Phase 5 from 2018-2020. Before this project, in 2006, the number of indigenous species surveyed was 29,916. The figure was cumulatively aggregated at the end of each phase as 33,253 species for Phase 1 (2008), 38,011 species for Phase 2 (2011), 42,756 species for Phase 3 (2014), 49,027 species for Phase 4 (2017), and 54,428 species for Phase 5(2020). The number of indigenous species surveyed grew rapidly, showing an approximately 1.8-fold increase as the project progressed. These statistics showed an annual average of 2,320 newly recorded species during the project period. Among the recorded species, a total of 5,242 new species were reported in scientific publications, a great scientific achievement. During this project period, newly recorded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identified using the recent taxonomic classifications as follows: 4,440 insect species (including 988 new species), 4,333 invertebrate species except for insects (including 1,492 new species), 98 vertebrate species (fish) (including nine new species), 309 plant species (including 176 vascular plant species, 133 bryophyte species, and 39 new species), 1,916 algae species (including 178 new species), 1,716 fungi and lichen species(including 309 new species), and 4,812 prokaryotic species (including 2,226 new species). The number of collected biological specimens in each phase was aggregated as follows: 247,226 for Phase 1 (2008), 207,827 for Phase 2 (2011), 287,133 for Phase 3 (2014), 244,920 for Phase 4(2017), and 144,333 for Phase 5(2020). A total of 1,131,439 specimens were obtained with an annual average of 75,429. More specifically, 281,054 insect specimens, 194,667 invertebrate specimens (except for insects), 40,100 fish specimens, 378,251 plant specimens, 140,490 algae specimens, 61,695 fungi specimens, and 35,182 prokaryotic specimens were collected. The cumulative number of researchers, which were nearly all professional taxonomists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taxonomy across the country, involved in this project was around 5,000, with an annual average of 395. The number of researchers/assistant researchers or mainly 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Phase 1 was 597/268; 522/191 in Phase 2; 939/292 in Phase 3; 575/852 in Phase 4; and 601/1,097 in Phase 5. During this project period, 3,488 papers were published in major scientific journals. Of these, 2,320 papers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and 1,168 papers were published in Science Citation Index(SCI) journals. During the project period, a total of 83.3 billion won (annual average of 5.5 billion won) or approximately US $75 million (annual average of US $5 million) was invested in investigating indigenous species and collecting specimens. This project was a large-scale research study led by the Korean government. It is considered to be a successful example of Korea's compressed development as it attracted almost all of the taxonomists in Korea and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with a massive budget in a short time. The results from this project led to the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where all species were organized by taxonomic classifi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is available to experts,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https://species.nibr.go.kr/index.do). The information, including descriptions, DNA sequences, habitats, distributions, ecological aspects, images, and multimedia, has been digitized, making contributions to scientific advancement in research fields such as phylogenetics and evolution. The species information also serves as a basis for projects aimed at species distribution and biological monitoring such as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Moreover, the species information helps bio-industries search for useful biological resources. The most meaningful achievement of this project can be in providing support for nurturing young taxonomists like graduate students. This project has continued for the past 15 years and is still ongoing. Efforts to address issues, including species misidentification and invalid synonyms, still have to be made to enhance taxonomic research.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investigate another 50,000 species out of the estimated 100,000 indigenous species on the Korean Peninsula.

Development of Construction R&D Strategy through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Analysis (해외건설 시장 분석을 통한 건설기술개발 전략 수립)

  • Park, Hwanpyo;Kim, Se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2
    • /
    • pp.49-57
    • /
    • 2016
  • R&D projects for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is to identify challenges through academic-industrial demand survey, and to promote R&D projects through detailed planning projects. These R&D projects have been promoted to be applied to most domestic project-oriented. Despite continuous R&D investment, the investment has been promoted to the world top technology rather than to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trends and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ntracts in order to promote technology development for enhancing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This study suggests three R&D technology development directions and ten research projects for expanding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A Study for Establishment of 3P-based Big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Focusing on Localization Strategies of Core Components for Heavy-Ion Particle Accelerator (3P기반 거대과학 기술개발 전략수립을 위한 연구 : 중이온 입자 가속기 핵심부품 국산화 전략수립 사례를 중심으로)

  • Yun, Seong-Uk;Kim, Yu-Bin;Choe, Won-Jae;Do, Hyeon-Su;Gwon, Su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533-1549
    • /
    • 2017
  • 정부 R&D성과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중장기 국가 재정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각 연구 기관의 시도들이 있어 왔다. 연구사업의 발굴, 기획 및 수행에 있어 효과적인 정부 R&D 예산의 배분, 우선순위를 도출, 기술개발 전략 수립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 재정사업인 국가 R&D사업은 국가 기간산업을 활성화하고 경제발전을 수반할 수 있는 중요한 모멘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국가 R&D사업의 한 축인 거대과학은 최첨단 기술의 개발과 미래성장동력의 발굴이라는 대명제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거대과학 연구는 그 분야의 특수성으로 인해 대학의 과학자, 공공 연구기관의 연구원, 기업의 엔지니어가 함께 참여하여야 하고 대규모 국가 예산을 동원하는 과학 연구 사업이다. 이는 대규모 예산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집중적 투자가 수반된다면 단기적으로 기초과학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다. 이것은 산업발전에 밑거름이 되어 그 분야 자체로 하나의 산업생태계를 구성하고 요소 기술들의 응용으로 파생기술이 전파된다면 새로운 신산업 창출 등 국가산업에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인력과 대규모 투자 그리고 중장기 프로젝트라는 특성으로 인해 실패 가능성도 높아 전략적 선택 및 추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거대과학의 기술개발전략의 수립을 위하여 중이온 입자가속기 핵심부품 국산화 전략수립 사례를 중심으로 효율적인 R&D추진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또한, 논문, 특허를 기반으로 한 3P분석을 통하여 중이온 가속기 핵심부품의 국산화 전략을 제안하고, 추진 우선순위 및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기술력과 해외경쟁력 갖춘 사업아이템이 투자 1순위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
    • /
    • pp.28-29
    • /
    • 2000
  • ''첫째는 해외시장을 무대로 경쟁할 수 있는 기술력이 관건입니다. 남들도 다하는 그런 기술이 아니라 세계적인 경쟁 가능성을 갖춘 기업을 적극 발굴하고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한, 대표이사의 추진력이나 됨됨이 등 자질 역시 핵심포인트입니다.''

  • PDF

'에너지는 곧 환경의 문제입니다!'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14
    • /
    • pp.36-37
    • /
    • 2002
  • ''전년도까지의 사업이 모색과 고민의 시기였다면 올해부터는 에너지절약 우수사례 발굴 등을 통한 전국 확산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교육과 홍보활동에 역점을 둘 예정입니다. 또 국제적인 문제에도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NGO의 목소리를 담아낼 계획입니다.''

  • PDF

VD Special-인크루트 채용대행팀 팀장 임경현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48
    • /
    • pp.10-11
    • /
    • 2004
  • 벤처인에게 인맥은 사업 파트너이며, 고용과 인재발굴의 루트이며 , 정보교류의 창구이다. 인맥을 넓힌다는 것이 쉬운 일만은 아니지만 그 방법을 알면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몇 배로 커진다 . 인맥의 중요성과 효율적인 관리에 대해 우리나라 커리어 코치1호인 임경현 팀장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다 .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