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업관리정보시스템

검색결과 973건 처리시간 0.033초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의 도메인 지식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omain Knowledge Development of Expert System for the Project Management in the Defense Information Systems)

  • 김화수;문세진;장호석
    • 지능정보연구
    • /
    • 제5권2호
    • /
    • pp.43-61
    • /
    • 1999
  • 국방정보체계는 종류가 다양하고 대규모로 추진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사업관리에 어려움이 많이 따른다. 더구나, 현재 국방정보체계의 사업관리는 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실시하지 않고 수동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고 현재의 소프트웨어 개발 표준인 ISO 12207을 수정 없이 그대로 대규모 실시간 국방정보체계의 소프트웨어 개발사업에 적용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효율적인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관리를 위해서 국방정보체계별로 적절한 개발 생명주기 모델을 선정하고, 각 단계별로 사업관리자가 수행할 태스크를 식별하는 등의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할 때 활용함과 동시에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의 일환으로 최종 산출물에 대한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험평가 방안에 대한 도메인 지식도 개발하여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 구축 시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방정보체계의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식별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관리를 위한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생명주기 모델 선정을 위한 도메인 지식, 생명주기 각 단계별 세부활동을 위한 도메인 지식, 시험평가 방안선정을 위한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도메인 지식을 전문가 시스템 개발도구에서 지원되는 각종 에디터에 사용되는 형태나 IF A, THEN B 형태로 개발하지 않고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베이스에 포함될 지식들을 식별하는 것을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즉, 본 논문에서는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검증하는 용역연구과제로써 프로토타입 혹을 완벽한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 아니며, 전문가 시스템 개발 시 가장 어렵고 중요한 지식베이스 모듈속에 포함될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도메인 지식이 국방정보체계의 사업관리를 위한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베이스 모듈 구축 시 기초/기반 및 핵심 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한 사업관리정보시스템 (The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or the Work Efficiency Improvement)

  • 류지웅;송종철;문병주;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8-24
    • /
    • 2014
  •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단계별 체계적 관리를 제공하는 사업관리정보시스템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 관리시스템은 사업을 통한 공모과제들의 접수, 선정, 수행관리 등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며, 사업 자체에 대한 관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모과제의 관리뿐만 아니라, 시행사업에 대한 총괄관리가 가능한 하향식 전주기적 사업관리의 시스템화를 통해 연구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사업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또한,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관리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에 대해 기술한다. 이러한 사업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표준화된 체계적 사업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시스템간 연계를 통한 즉각적인 후속 업무 진행으로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적용 사례를 통해 확인한다.

공종분류체계를 활용한 도시철도 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Urban Metro Maintenance Facility System Using Construction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 현지훈;양병수;문성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69-77
    • /
    • 2012
  • 건설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생성부터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을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사업관리정보시스템 (PMIS,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은 설계를 포함하여 시공단계에서 사업관리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어서 유지관리와의 연계가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지관리분류와 도시철도시설물 공종분류를 활용하여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유지관리 활동에 활용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유지관리분류와 공종분류를 연계함으로써 시공정보와 유지관리정보를 일괄적으로 추적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 시 필요한 시공정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업관리정보시스템과 유지관리정보시스템(MMIS, Maintena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을 연동할 수 있으며, 시공정보를 건설사업의 라이프싸이클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하여 생애비용을 추적관리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논문에서는 유지관리정보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했으며, 업무적용 시 타당성이 있음을 보여줬다.

프랜차이즈 사업을 위한 지역 정보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about the regi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franchise business)

  • 박남섭;이윤정;김정범;김태윤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1)
    • /
    • pp.499-501
    • /
    • 2001
  • 프랜차이즈 사업에 있어서 지역 정보 관리 시스템은 고객의 편의 제공 및 프랜차이즈의 수익 구조에 큰 영향을 준다. 프랜차이즈 사업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다양하게 존재하는 지역 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데 있다고 할 것이다. 현재 국내 사이트에서 구축되어 있는 지역 정보 관리 시스템은 분리된 해당 지역 정보만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통합된 체계의 정보 서비스가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의 부 프로세스에서는 지역 사업을 하는 데 있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지역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그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또한 상점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프로그램의 개발과 상점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부 프로세스의 개발의 기반 구조가 되는 관리자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즉, 지역 사업을 함에 있어 초기 데이터 구축 및 사업권 영역의 확장 및 관리라는 측면을 고려할 때 각 지역을 관리하게 될 MF(Master Franchise)와 F(Franchise)가 협력하여 현지의 현실감 있는 정보를 즉 시적으로 반영하며 구축해 나갈 수 있는 관리자 시스템을 개발한다.

  • PDF

환경관리를 고려한 건설CALS시스템의 개선방향 (Improvement Direction for Construction CALS System considering Environmental Management)

  • 정인수;김진욱;이찬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B)
    • /
    • pp.469-472
    • /
    • 2008
  • 건설부문의 정보화를 위해 국토해양부는 건설CALS(Continuous Acquisition & Life-cycle Support)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건설CALS란 건설사업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전 과정의 생산정보를 발주자, 관련업체 등이 전산망을 통하여 교환 공유하기 위한 정보화 전략이다. 건설CALS사업은 시스템 개발 부문과 건설정보 표준화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개발된 시스템으로는 건설사업관리시스템(건설사용, 발주기관용), 시설물유지관리시스템, 건설인허가시스템, 용지보상시스템, 건설CALS포탈시스템 등이 있다. 건설CALS시스템에는 건설사업의 공정관리, 원가관리, 안전관리 등의 많은 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환경관리 기능은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CALS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하고 환경관리가 가능한 체크리스트와 매뉴얼을 개발하여 시스템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 이석형;김현;류범종;강남규;양명석
    • 지식정보인프라
    • /
    • 통권7호
    • /
    • pp.68-75
    • /
    • 2001
  •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연간 4조원이 넘는 국가예산을 연구개발부문에 투자하는 사업으로 이 사업의 효율적인 관리는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제고에 직결된다. 그러나,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는 부처별로 분산되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종합적인 정보자원의 획득과 사업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연구개발사업의 중복투자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국가연구개발사업의 부처간 정보장벽을 해소하고 효율적이고 포괄적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관리가 이루어지며, 대국민 정보 서비스가 실현된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정보시스템이 구축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종합정보시스템 개요에 대해 설명하고, 본 시스템의 성공 요인 및 기대효과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소프트웨어 사업관리 지원용 전문가시스템의 지식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Base Construction of Expert System for S/W Project Management)

  • 김화수;최병권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0년도 추계정기학술대회:지능형기술과 CRM
    • /
    • pp.397-406
    • /
    • 2000
  • 대부분의 국방정보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높은 가용성, 신뢰성, 신속성, 정확성 등을 요구하는 대규모이면서 복잡한 실시간 시스템이다. 이러한 국방정보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발사업에 있어서 저비용 고효율의 미개국방경영 건설을 위하고 강한 전투력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국방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사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국방정보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사업관리자가 개발사업을 관리하고 감독하는데 있어서 개발자와 사용자간의 조정 및 통제 기능을 수행하고 해당 국방정보시스템의 특성을 파악하여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사업관리 측면에서 구체적이고 상세화된 방안/지침을 제공하기 위한 전문가시스템의 지식베이스 도메인 지식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국방정보시스템의 사업관리자가 경험을 동해 축적해 온 기술, 정책, 아이디어, 노하우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사업 관련자료에서 제시한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단계별 방안이나 지침 등을 바탕으로 하여 식별된 사실이나 내용을 지식베이스로 구축하여 국방정보시스템의 사업관리자가 필요로 할 때 설명모듈을 거쳐 임무 및 세부활동사항을 게시하여 줌으로써 사업관리 경험이 부족하거나 사업관리자가 교체되었을 때 사업관리자들이 업무를 지속적으로 연계시켜 임무수행이 가능하도록 기초/기반 여건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국방정보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발사업에서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단계별 사업관리자의 임무 및 세부활동사항 지원용 전문가시스템을 개발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는 것이며 논문의 결과를 활용시 기대되는 효과는 본문을 참고 바란다.의 장점을 취합하여 설계되었다. 본 시스템은 기존의 UN/EDIFACT표준을 사용하고 있는 EDI환경과 기존 VAN 방식의 EDI 중계 시스템과 연동되며, 향후 관세청의 XML/EDI 표준 시행을 미리 대비하는 선도연구로서 자리매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XML/EDI 통관시스템은 향후, 서비스의 최대 걸림돌이 되어왔던 값비싼 EDI 사용료의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할 것이며, 저렴한 EDI구축/운영 비용으로 전자문서교환의 활성화와 XML이 인터넷 기반의 문서유통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재무/비재무적 지표를 고려한 인공신경망기법의 예측적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로지스틱회귀 분석의 재무적 지표모형은 훈련, 시험용이 84.45%, 85.10%인 반면, 재무/비재무적 지표모형은 84.45%, 85.08%로서 거의 동일한 예측적중률을 가졌으나 인공신경망기법 분석에서는 재무적 지표모형이 92.23%, 85.10%인 반면, 재무/비재무적 지표모형에서는 91.12%, 88.06%로서 향상된 예측적중률을 나타내었다.ting LMS according to increasing the step-size parameter $\mu$ in the experimentally computed. learning curve. Also we find that convergence speed of proposed algorithm is increased by (B+1) time proportional to B which B is

  • PDF

하천사업 공사관리를 위한 공종 표준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onstruction Types for the Management of River Project)

  • 장초록;장문엽;송주일;김한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6-486
    • /
    • 2021
  • 국가에서는 수해예방 및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하천사업을 수행한다. 국토교통부의 경우 매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하천정비 및 재해복구사업 등을 추진 중에 있으나, 체계적인 공사관리와 산출물의 전산화를 위한 시스템은 부재한 실정이다. 현재 건설사업정보시스템(건설CALS)을 통해 하천공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나 총 공사비, 참여업체 등 기본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공정관리 및 예산정보에 관한 상세한 내역을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은 부재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하천사업(공사)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우선적으로 하천사업 공종 표준화를 수행하고자 한다. 현재 건설공사표준품셈을 통해 건설공사의 공종을 확인할 수 있으나 '제2장 하천공사' 내에는 사석, 돌망태, 하천호안공에 관한 정보만을 담고 있다. 하천공사 공종 표준화를 진행하게 될 경우 공종별 공사 세부정보에 대한 관리가 가능해지며, 현재 하천을 관리 중인 국토교통부, 지방국토관리청 및 지자체 등 하천사업을 수행 중인 기관의 시스템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다. 하천사업 공종표준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현재 건설공사표준품셈, 도로대장 전산화 입력지침 등기 수립된 지침 및 기준을 통해 건설토목공사 시의 공종을 조사·분석한 후, 하천공사 준공보고서 및 감리보고서 등 공사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하천공사에 주로 수행되는 공사들에 관한 종류를 도출하였다. 이후 건설토목공사 공종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하천공사에서 주로 수행되는 공종을 도출·표준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하천사업 공종의 경우 향후 하천사업(공사)관리시스템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며, 하천공사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PDF

항만건설사업관리시스템 통합화 (Integration for Port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 정성윤;김영진;김태학;옥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1-432
    • /
    • 2013
  • 본 연구는 기존에 운영 중인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 시스템 운영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을 통합화하였다. 도로와 항만 건설사업관리는 대상목적물만 다르고 기본적인 업무프로세스는 유사하다. 따라서 통합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안정적으로 통합화하기 위해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을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도로건설사업관리시스템으로 통합하는 방식으로 추진하였다. 도로건설사업관리시스템은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보다 시스템 사용이 쉽고 편리하며 건설사업관리 업무프로세스 지원 및 관리기능이 안정적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시스템 통합화 과정에서 겪었던 애로사항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타 시스템을 통합화할 경우에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면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하천사업(공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개발 방안 제시 (Proposal of System Developmen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Stream Project(Construction))

  • 장초록;장문엽;송주일;김한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51-351
    • /
    • 2020
  • 하천은 이수, 치수 및 환경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문화생활의 공간 제공, 재해예방 기능, 생활용수 공급 등 다양한 형태로 국민의 생활과 문화의 발전에 기여한다. 국내에는 총 5,937개의 하천이 존재하며, 정부는 매년 많은 예산을 투자하여 다양한 하천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하천사업의 경우 국토교통부, 환경부,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하천수변공간의 복원, 홍수예방 등에 관한 사업을 수행해 왔으나 현재 지방의 자율성, 책임성과 권한확대를 위해 지방하천 관련 사업들의 경우 각 지자체로 기능이 이양되고 있으며 국가하천을 대상으로 한 사업만을 중앙정부기관에서 관리하는 중이다. 그러나 중앙정부 기관에서 관리 중인 국가하천 관련 사업들에 대한 관리 또한 수월하지 않아 사업 현황관리, 예산 관리 등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에서는 수자원관리를 위한 시스템인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과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을 운영 중에 있으나 하천에 관한 제반사항 및 하천기본계획 등의 관리만을 수행하며 하천공사관리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사업(공사)관리 시스템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중앙부처에서 관리 중인 국가하천 관련 사업의 체계적인 관리와 사업수행 중 발생 가능한 문제 상황 대응력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